#exhibition review
Explore tagged Tumblr posts
panfritoo · 4 months ago
Text
Exhibition Review: Women in Revolt! Art and Activism in the UK 1970-1990
Tumblr media
Anything feminist puts me instantly on guard. Feminism sells. Sure. But can't female artists be recognised for anything other than having a vagina? Female artists in Britain did not occupy the spaces of museums and galleries, their work has been safeguarded under individual mattresses and home archives. So I approached Tate Britain's exhibition with a certain scepticism, wondering if the show would be a tokenistic gesture of promoting ‘inclusivity’.
From the get-go, there is one thing obvious. There are no Guerrilla Girls. There are no Mona Lisas. Each piece, interdependent, brings dimension to all the contradictions and experiences of women at a time of significant sociopolitical change. As a result, the exhibition is messy and fatiguing; it almost tries too much at once. However, this is no sign of failure, there is a feminist, non-capitalist politics which informs the curation of the exhibition. Women in Revolt! Art and Activism in the UK 1970-1990 showcases the works of over 100 female artists who used their work to campaign for women’s rights and whose contribution to British culture has been incredibly uncredited. 
Arranged chronologically, the exhibition begins with photographs taken by then-20-year-old Chandon Fraser of the First Women’s Liberation Conference that took place in Oxford. Unlike images of any male gathering, these images are intimate, women are smiling and some carrying their infants with them. These women are wives, mothers, activists and artists all carrying the burden of being a woman in each role. Maureen Scott's painting Mother and Child at Breaking Point supplies an honest reflection on being a devoted mother and at the same time, losing the sense of ‘I’. Or, Susan Hiller's "10 Months," where she documents her growing pregnant belly through photographs, along with text from her journal where she writes about being a woman artist. At the time, being a female artist and a mother were considered incompatible. These works demonstrate that while society accepts that there are good, bad, and they-went-to-buy-milk-they-said fathers, mothers are held to different standards. 
The works are witty and thought provoking, for instance, Monica SJOOS referencing phallic culture with a painting of a big penis overcasting a city or Rose Finn-Kelcey's 'The Divided Self' a self-portrait of her sitting on a bench at Hyde Park, bookended, appearing on opposite sides of the bench in conversation with her 'other' self. The photograph examines the dichotomy between the person we are in private and the person we are in public. 
The exhibition also recognises the influence of subcultures in their role of pushing the boundaries behind the theatrics of womanhood. In the 1980s, against London's depressive political backdrop, a bunch of working-class teenagers were determined to build their own swinging London and escape into an electric new counterculture. These kids would gather around cubs like Blitz's which made the ultimate test bed for new romantics, punks, fashion and lesbian squatters. The photographs by Jill Posner of lesbian couples inhabiting new places were a way to challenge traditional female beauty canons aimed at male arousal and defy sexual orientation attitudes. While others such as Jill Westwood’s photographs of her wearing a latex outfit or Liz Rideal’s self-portraits of her face in a photo booth as she reaches orgasm would use hyper-sexualisation as a means of declaring control over their bodies and acknowledging their sexual self. 
It becomes evident that women produced work on the fringes of the art industry, creating their magazines, putting shows at alternative venues and sustaining their work through collaboration. The postal art project supported by Monica Ross and Su Richardson is an example of the networks women built to disseminate their work. These works included in the exhibition are small-scale pieces of artwork using DIY techniques that women would produce on kitchen counters with random items found in the house. These collectibles were mailed between women creating documentation of their experiences. Forms of low-status art became a significant medium of feminist art, which is a direct reflection of women's precarious material conditions at the time. 
The exhibition does not focus on a universal experience of women, each room has the function to provide a new layer to the narrative of feminism activism in Britain. Marlene Smiths' “My mother opens the door at 7 am. She is not bulletproof” a portrait of Dorothy Cherry Grace who was shot at her home in Brixton documents the BLK Art Group's contribution to feminist activism and racism in Britain.  
Turning our view back to the present, what does it all mean? Perhaps this is the most important. One cannot stop themselves from making connections between women’s rights then and now. Abortion is being criminalised in my countries disowning women from their bodies, women are still inflicted between becoming a mother and pursuing their careers, walking alone at night is still dangerous, and social media algorithms have taken a role in exposing young minds to figures such as Andrew Tate and their “toxic masculinity” content. But at the same time, I wouldn’t want to live anywhere else in time but now.  
I’ve confessed to myself that I am not a feminist of my time, as a young woman I’ve become weary of the term. Women In Revolt has put into question why I refuse to recognise this history of my gender when it means everything I take for granted now. Despite my initial judgements, this exhibition is a revelation. 
3 notes · View notes
wroteonedad · 2 years ago
Text
Body Poetics Review
Writing about art is difficult. Especially when you live in a town that doesn't have much art, you work full time and you also can't drive. It makes me feel as though I am restricted to the amount of inspiration around me I can find, unfortunately Bournemouth pier just really isn't doing it for me anymore. I love to be on the move, I love to see new places, but I feel as though I am never going to find the place that I want to be settled into forever. Or the place I want to go to is going to be too expensive and that I may as well just flush that dream down the toilet. And did I mention that the cost of living crisis is also making it even harder to be able to go out and explore anymore, that is on the odd occasion that the trains are even running at the moment.
It feels as though I wait for the one gallery to open up their new exhibition before I wander in and end up reviewing every show that they do, except for Martin Parr. I really don't think there was much to say about his work other than it's pretty and they're of beaches. This show, also presented by the wonderful Giant gallery, is called Body Poetics. I was reluctant to go to this show at first, and you want to know the real reason why I wasn't sure if I wanted to see it? It was because I hated the main piece that is advertised on all of the posters of the show, at first glance it essentially just looks like a furry wearing a winter outfit, I hate it. I'm not judging people who say it's their thing, but it really just isn't for me. I decided to give the show a chance anyway, though I had no idea what I was going to ultimately end up saying about it.
The show has been curated by a group of 9 different female artists from across the world. Most of the deeper meaning behind these works is feminist theory from the 70s and 80s and all of these works available to feast your eyes on are made from the 70s and onwards. The works also feature many contemporary values to what it means to be a feminist.
Tumblr media
Upon general entry into the gallery, one of the first things I saw was Carolee Schneemann's Eye Body works. It features the idea of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female / femme or queer body. The selection of works on the wall all featured different positionings of the body surrounded by materials; all of which discussed pain, suffering, political protest as well as joy and sexual expression. I for one was a huge fan of the collection of images on the wall, there are 4 different images. This one in particular is my favourite because it reminds me of a still you would see from a horror movie in the 60s. The way in which to see an image like this in the 60s would be terrifying, enough to make the film only available for an adult audience. I think it's visually fantastic and perhaps one of the stronger pieces from the show in my eyes, this is purely based around the fact there is little to no photography featured in the show and although I love art from every medium, I still feel as though I am drawn to photography the most.
Tumblr media Tumblr media
This piece is Rite of Spring by Florence Peake. Her collection of works also feature the same themes as Schneemann when it comes to female / femme and queer attitudes of representation. I loved this piece from all of the colours it contained as well as the texture of it. I am obsessed with textures that have been edited as the piece has been curated overtime and think it really adds an extra depth of field to it. However, and this is not down to the artist, but rather the gallery. When I posted an image of this on my Instagram story a few days ago, I actually managed to tag the wrong artist in the post. This is due to the signs of the works being very unclear in the work. The list talks about two artists body of works, one being hers, but the sign simply named the work and wrote (opposite) on it while also displaying another list of works near the piece itself. It made the show very difficult to navigate and I apologise to Peake for giving another artist credit for the work.
Tumblr media
The work above is Untitled (Hands Waving) by Kiki Smith. I feel like this work stuck out to me in the gallery space because it feels very simple in comparison to a lot of the complex works I saw in there; and sometimes it makes me feel bad because I don't look at everything in the space and immediately know what the deeper meaning behind the work is. This is a piece that I feel like I could stand there and look at for quite some time, it stuck out on the back wall full of eccentric colours and deep meanings, but this piece made me just want to wave back at her. I want to feel what she feels here. I love the focus on the hands, I think people can forget how expressive hands can be. How important they are, I don't want to sound fake deep and be like we take them for granted, but I do feel as though we forget how much we actually can do with them.
I think that Kiki Smith's work was some of my favourite pieces on show in the gallery. The other piece is a ceiling to floor length tapestry with star constellations and crescent moons titled Visitor (Stars, multiple crescent moons). In a way, I feel as though both pieces of work she displayed in the gallery really interlink with each other in opposing ways. The pieces all feel simple, with their matching colour schemes and dainty details all visible to the eye from afar. This piece in particular feels very feminine, the glitter, the stars in general, and like I said before the dainty details. It adds a whole new level of feminism to a piece of work without being an in your face piece of 'this is feminism'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W: the pieces I hated the most in the gallery.
I was complaining on my story when I saw the show that I was so upset that they chose to use this model as the poster image for the show because every piece of work I saw in the gallery was so much better than this. Perhaps it's harsh to say this, but I feel as though this set of work felt like a whole waste of space, but I just hate it. I really hate it. The work is by Ad Minoliti who is all about the use of abstract forms of art to explore social aspects of the body and gendered experience. I see it I really do, I just hate that they chose to display a full blown furry. Perhaps that was the point, for it to hold a discussion, to use something so bold on the poster to advertise the show that it made people feel something. Enough to come to the show to see what it looked like up close. Maybe I'm being closed minded when I look at this, but I will simply just be walking straight past it next time I come to the show.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canvas works submitted by the artists were bright, bold and super eye catching. These were works I enjoyed to look at a lot more.
Tumblr media Tumblr media
This piece was the one I enjoyed the most by the artist. This is Queer Modulor and it slayed.
Tumblr media
I gotta say though, this is the bad boy that stole the entire show for me. This sculpture slowly rotates in circles and is literally full of surprises. Not only do we get the sculpture, but there's also a fun accompanying drawing of it in the gallery (I'm really sorry I don't want to post every detail of this show, but I urge everyone to go to this). This piece is by Rae-Yen Song and is called happy little leaf.
Tumblr media
Next up is Guerilla Girls with Birth of Feminism. The group are very well known for their loud and outspoken media to discuss issues with being a woman and so it only made sense for them to be apart of the show. The poster adds an extra level of overall comedy to the end project.
Tumblr media Tumblr media
Holly Steveson
Overall, I think the show is really fun. There's a bunch of outstanding forms of media and installation works and it's so nice to see a big artist collaboration in the space, a space that works really well for the works they are exhibiting. The only thing is I feel there is not much discussion to have with all of the works, rather they are good pieces by good artists and that is all that is left to say on the matter.
Body Poetics is on at Giant Gallery until 8 May 2023.
7 notes · View notes
calvinpo · 2 years ago
Photo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An exhibition/pavilion review:
Ringing Hollow: A Review of Black Chapel, the 2022 Serpentine Pavilion
Calvin Po
It’s perhaps an unfortunate coincidence that on my way to this year’s Serpentine Pavilion, Black Chapel, designed by Chicago-based artist Theaster Gates, I had a rather more spiritual experience when I passed by a group of street preachers on the square next to Speaker's Corner. With their Union Jack bunting draped all around their assembly, placards with JESUS IS LORD, large banners of the English flag adorned a patriotic lion and names of the all the London boroughs proudly proclaiming LONDON SHALL BE SAVED. Puncturing through even my atheistic, bemused scepticism, the blaring music and odd bursts of song had a patriotic, messianic energy that was electric. By the time I got to the Chapel I came to see, it had simply been upstaged.
Pavilions have often mattered more for the reason they are built, than the actual functions they house. From completing the composition of a Picturesque landscape, to Mies van der Rohe’s Barcelona Pavilion itself becoming a manifesto, the purpose of pavilions often exists beyond the building itself. In the case of the Serpentine Pavilion, it is more about the annual cycle of patronage by the London cultural elite as they pat the “emerging architect” of the year on the back. So I was intrigued when Gates claimed a loftier, more sacred ambition of creating a ‘Chapel’, a “sanctuary for reflection, refuge and conviviality”, for “contemplation and convening”, on top of the usual purpose as a place to sit and buy an expensive coffee.
The pavilion’s imposing 10.7m high cylindrical form, clad in all-black timber has an immediate presence as I approach. Gates claims the form references inspirations as eclectic as “Musgum mud huts of Cameroon, the Kasubi Tombs of Kampala, Uganda [...] the sacred forms of Hungarian round churches and the ring shouts, voodoo circles and roda de capoeira witnessed in the sacred practices of the African diaspora.” Perhaps the subtlety of these references is lost on me, but the Pavilion mostly evokes an industrial structure, like a water tank or gasometer, especially with its external ridges of timber battens  and internal ribs of timber and metal composite trusses. Yet despite the grand gesture of an open oculus in the roof, letting light into the inky, voluminous interior, it fails to move me in that transcendental way that even a modest place of worship can. 
Is it perhaps the quality of the execution? Serpentine Pavilions are often put together on hasty timescales, with six months from conception to completion. Little details give this away: boards of the decking and cladding not quite lining up, the black-stained timber a bargain basement imitation of yakisugi (Japanese technique of timber charring). Perhaps this can be forgiven of a non-permanent structure: in a nod to sustainability credentials, this year the designers have taken care to ensure the structure is demountable, down to the reusable, precast concrete foundations. But seeing that the Pavilions are almost always auctioned off to recoup the costs and relocated to the grounds of private collectors and galleries, this seems more a convenient commercial expediency, than an environmental one. Perhaps it is difficult to be spiritually moved by a structure that is sold and delivered like a commodity, with little rootedness in its physical and congregational geographies. 
Or could it be the atmosphere, a lack of drama? One of Gate’s flourishes, such as his seven silvery ‘Tar Paintings’ that are suspended in the inside walls of the space like abstract icons, are a nod to his father’s trade as a roofer, and Rothko’s chapel in Houston. Yet these self-referential gestures seem lost on the throngs of sun-seeking Londoners taking brief shelter from the heat and wilted grass, with hardly anyone giving them a second glance. Most seemed more interested in the shade than symbolism. For a project that also emphasises “the sonic and the silent”, the acoustic atmosphere of the space I found wanting, perhaps because of the sound that leaks out of the two full-height openings that puncture straight through the volume: its acoustic experience had neither the reverberant, sanctified silence once expects from a chapel, nor the sonic presence that the street preachers managed to carve out of a busy corner of a London with just their vocal chords. Instead, all I heard was the low chatter of visitors going about their own business. The Pavilion is being programmed with “sonic interventions” (read: music performances), and the jury is out on whether or not the Pavilion can serve as a suitable venue for sounds with a more explicit, ceremonial intentionality.
But perhaps the coup de grâce was the decision to relocate a bell from St Laurence, a now-demolished Catholic Church from Chicago’s South Side. Sited next to the entrance, it is to be “used to call, signal and announce performances and activations at the Pavilion throughout the summer.” Gates explains this decision as a way to highlight the “erasure of spaces of convening and spiritual communion in urban communities.” But now mounted on a minimal, rusty steel frame like an objet d’art, I can’t help but feel a cruel irony that a consecrated object that once used to convene a lost community is now used as a performative affectation for the amusement of London’s arts and cultural gentry. This perhaps exemplifies a deeper ethical issue at the heart of the Pavilion’s concept: narratives of collective worship, cherry-picked from across communities and cultures, are sanitised, secularised and aestheticised in a contemporary art wrapper for the tastes of the largely godless culture crowd. The curator’s spiels of a creating “hallowed chamber”, if anything ring hollow.
As I leave Hyde Park, I pass by again the assembly of street preachers, who have now moved on to delivering a sermon. Gates said of his Pavilion, “it is intended to be humble.” Yet I can’t help but but feel how much more these preachers have achieved, with so much less.
2 notes · View notes
louart1 · 2 months ago
Text
Rising Star Amy Bravo Sold Out Her New Solo Show. What’s Behind Her ‘Grandma’s House’ Art Installation? https://news.artnet.com/art-world/amy-bravo-swivel-gallery-2541243
0 notes
rosesarebleu · 4 months ago
Text
관람기를 나눠 쓰기는 처음이다. 텀블러는 왜 첨부할 수 있는 이미지 수를 제한한걸까. 흐름을 이어 북미 원주민들의 삶을 부분이나마 살펴보는 여정을 이어 가려 한다.
Tumblr media
좌우 대칭이 인상적인 호청크족 여성의 치마. '파우와우' 에 착용할 용도로 제작된 레갈리아의 한 종류다. 파우와우를 위한 옷은 절대 코스튬이라 불러서는 안되며 '레갈리아' 라 칭해야 한다. 도대체 파우와우가 무엇이길래 옷 이름부터 함부로 다루지 말아야 하는 것일까. 우리 부족이 원조라는 식의 주장이 많으나 파우와우는 대평원 부족의 의식으로 시작해 북미 전역에 퍼지면서 전통 축제로 자리잡았다는 설이 유력하다. 크고 작은 규모의 파우와우가 열리지만 상당수의 원주민들이 모이는 파우와우는 경연 대회의 성격을 띠고 있어 우승자에게 상금이나 경품을 주기도 한다. 사실 별도의 부상은 사소한 일이고 부족의 명예가 걸려 있어 그로 인해 경쟁이 치열해진다. 각 부족과 지역마다 형식에 약간 차이는 있지만 기본은 동일하여 파우와우의 모든 참가자는 원형을 이루는 것이 원칙이다. 파우와우는 조직부터 굉장히 체계적으로 위원회를 두어 한 해에 가까운 시간을 보내며 자금을 모으고 스태프를 뽑아 대회를 준비한다. 파우와우 참가자는 댄서, 비트를 연주하는 드럼 그룹, 북소리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합창단, 진행자, 관람객, 각종 공예품과 음식을 판매하는 상인 등 다양한 이들로 구성되어 있다. 댄서가 메인이기는 하나 파우와우가 흥미진진하려면 진행자의 역량이 중요하다. 대회 중계와 동시에 농담을 던지면서 지루할 틈을 주지 말아야 하므로 입담이 좋은 사람이 진행자를 맡는다. 비유가 좀 민망하지만 현대식 예능 프로그램처럼 진행자가 리드한다는 점이 왠지 친근하다. 하지만 파우와우에는 엄격한 질서가 있어 댄서의 입장 순서가 정해져 있다. 전사들이 앞장서고 제일 기량이 뛰어난 헤드 댄서, 남성, 여성, 청소년, 어린이 순이며 헤드 댄서가 나오지 않으면 다른 댄서는 입장할 수 없다. 춤은 장르와 연령대가 세분화되어 있고 각 부문에 걸맞는 레갈리아를 착용해야 한다. 레갈리아는 광택이 나는 밝은 색상의 천이나 가죽을 이용해 만들며 자수를 놓고 조류의 깃털, 구슬, 술 장식을 달아 으리으리하게 꾸민다. 얼마나 레갈리아에 공을 들였는지, 부족의 전통과 아름다움을 잘 살렸는지, 춤과 어울리는지도 심사에 반영되므로 정성을 다해 레갈리아를 짓는다. 레갈리아라는 명칭은 이번 전시를 계기로 알게 됐지만 파우와우는 미디어를 통해 자주 접해서 화려한 실물을 볼 수 있으리라 내심 기대했는데 치마 한 벌만 가져오다니 실망스럽지만 원주민에게 레갈리아가 각별하고 소중한 만큼 나라도 섣불리 해외 반출을 결정하지는 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파우와우의 특성을 종합해보면 브라질의 삼바 페스티벌과 흡사한 측면이 있다. 축구, 종교와 더불어 브라질 사람이 인생을 바치는 게 삼바다. 브라질에는 삼바 음악과 춤을 연습하고 페스티벌 참가에 매진하는 삼바 스쿨이 존재한다. 스쿨이라는 단어 탓에 교육 기관이라 오해하기 쉽지만 스쿨은 축구의 팀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브라질에 무수한 삼바 스쿨은 일 년 내내 퍼레이드의 콘셉트를 짜고 음악, 의상, 소품을 비롯해 거대한 수레를 직접 제작한다. 삼바 스쿨이 넘쳐나 축구��� 마찬가지로 리���가 나뉘어져 있으며 페스티벌에서 연속 우승한 명문 스쿨은 깊은 존경을 받기 때문에 구성원들은 강한 자부심을 느낀다. 삼바 페스티벌이라 하면 지나치게 외설적이고 상업성이 짙다는 편견이 있으나 페스티벌에 참가하는 삼바 스쿨은 반드시 삼바를 탄생시킨 바이아주와 노예로 끌려왔던 흑인 공동체를 향한 존경을 표해야 한다. 더불어 자국의 역사, 전통, 다양성에 찬사를 보내는 테마를 선보이거나 정치, 사회 문제를 비판하면서 삼바는 오락거리가 아니라 조상이 남긴 문화와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의식임을 강조하고 있다. 몸매가 훤히 드러나는 의상도 신체 본연의 미와 성을 수치라 여기지 않는 브라질인의 자유로운 정신을 표현하는 수단일 뿐 불순한 의도 따위는 없다. 뚜렷한 차이라면 파우와우가 더 보수적이라는 점이다. 노출 여부와는 상관없고 파우와우는 관람객조차 제한해 비원주민의 참가를 불허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설사 관람이 허용돼도 축제를 시작하기 전에 치르는 신성한 의식과 원주민의 모습은 촬영을 금지하기도 한다. 개방적인 삼바 페스티벌과 크게 다르지 않은 축제를 즐기는 카리브해 도서 국가들도 관광객에게 관대한 분위기임을 고려하면 북미 원주민과 중남미 크리올이 겪은 역사의 차이가 오늘날 외부인에 대한 태도까지 이어지게 된 결과로 보인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여성복은 부족을 막론하고 생김새도 각양각색에 정교한 장식으로 꾸며진 반면 남성복은 그림만 있고 재봉마저 안한 가죽만 덩그러니 놓여 있어 당혹스러웠다. 입는 법도 가늠하지 못했는데 뜻밖에 백인 화가가 그린 유화에서 답을 찾았다. 유럽 백인들에게 아메리카 대륙이 (도둑질에 최적인) 지상낙원이라 홍보할 목적으로 원주민을 낭만화하여 묘사한 그림이라 기분 나쁘지만 아주 쓸모가 없지는 않았다. 사진 속 옷은 대평원 부족의 남성복으로 가죽에 말을 탄 전사 무리와 붉은 선을 그려 넣었다. 전쟁에서 승리할 때마다 붉은 선을 하나씩 추가했다고 하는데 가죽을 가득 채울 정도로 빽빽하니 옷의 주인은 대평원에서 이름깨나 날린 전사임이 틀림없다.
*원주민 복식을 다룬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된 추가 사실인데 재봉하지 않은 가죽은 대평원 부족이 성별을 막론하고 덮개로 착용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성용에는 말을 탄 전사, 승전을 의미하는 붉은 선을 그리지 못했으며 그러한 도안은 전사가 될 자격이 있는 남성에게만 허용됐다.
Tumblr media
영어로는 War Bonnet이라 불리는 대평원 부족의 머�� 장식이다. 직역하면 전쟁 보닛인데 원래 보닛은 유럽 여성들이 쓰던 모자를 가리키는 말이라 보닛보다는 머리에 쓰는 관이 더 어울리지 않을까. '전사의 관' 이 괜찮은 표현같아서 앞으로는 이 말을 쓰도록 하겠다. 전사의 관은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 사자의 갈기처럼 독수리의 깃털이 넓게 펼쳐진 관, 들소 혹은 소의 뿔이 달린 관, 독수리 깃털을 세워 꽂은 관이 있으며 그중 첫 번째 관이 가장 유명하다. 사진 속 관은 두 번째 것으로 사슴의 두개골을 이용하여 만든 모자에 소 뿔을 달고 올빼미 깃털과 말 갈기로 꾸민 뒤 독수리 깃털을 달아 장식했다. 사진만 봐도 대충 짐작이 가겠지만 실물이 전신을 덮을 정도의 길이라 보는 이를 압도하는 힘이 있다. 전사의 관은 부족장과 영적 지도자, 공을 세운 전사가 쓰지만 공동체의 존속에 기여하거나 이타적 행동을 했을 때 수여되기도 했다. 이러한 관은 남성에게만 허용되었으나 최근 부족 문화가 변화하면서 몇몇 여성이 받은 사례가 생기고 있다. 우리가 아는 원주민의 관은 지극히 일부에 불과하며 각 부족마다 그들이 숭상하는 조류의 깃털, 동물 가죽과 털을 이용해 만든 고유한 형태의 관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도 대중은 독수리 깃털을 쓴 관만 원주민의 상징이라 인식하고 비원주민이 자주 전유해 문제를 야기한다. 대평원 부족은 인정받지 않은 자가 감히 전사의 관을 쓰는 짓을 심각한 모욕으로 간주하므로 전유가 만연한 분위기에 격렬히 항의한다. 이제는 원주민 문화를 존중하는 이가 늘어나 핼러윈 데이에 전사의 관을 쓰는 무식한 백인은 드물어졌지만 몇 년 전 미 국회의사당에 쳐들어간 트럼프 지지자 가운데 한 백인 남성이 전사의 관을 써 원주민 공동체가 분노에 휩싸이고 사회 전반에 걸쳐 공분이 일기도 했다. 문제는 한국이다. 지금이 어떤 시대인데 아이들이 전사의 관을 어설프게 흉내낸 모자를 쓰고서 원주민이 경사스러운 날에 입과 손을 부딪치며 내는 소리를 아직까지 따라하며 놀고 있다. 제발 부모부터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자. 본인의 아이에게는 장난일지 몰라도 특정 집단에게는 정체성을 위협하는 폭력이 될 수 있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모카신은 북미 원주민의 전통 신발로 각 부족마다 모카신을 지칭하는 말이 따로 있고 사용하는 주재료나 꾸밈새도 다르다. 위 사진은 대평원 지대를 누비던 오체이티샤코윈족, 아래 사진은 중서부에 터를 잡았던 모호크족의 모카신이다. 두 유물의 기본 형태는 엇비슷하나 디테일을 보면 발목을 감싸는 부분, 앞코의 모양, 무늬, 색감 등에 차이가 있다. 거주 환경에 따라 밑창도 달라 척박하고 험준한 지대의 부족은 밑창을 단단하게 만들고 비교적 평탄한 곳의 원주민은 부드러운 밑창을 단다. 오체이티샤코윈족은 대평원 부족이라 평상시에는 밑창이 단단한 모카신을 착용하나 사진 속 모카신은 파우와우를 위해 만든 레갈리아이기에 밑창 없이 구슬로 장식한 것이다. 모호크족의 모카신이 내 눈에는 더 예뻐 보이지만 어느 부족이든 북미 원주민의 구슬 공예는 추상적인 도안을 촘촘하게 채움으로써 빼어난 기술적, 미적 수준을 자랑한다.
Tumblr media
오늘날에는 샌프란시스코라 불리는 지역에 살았던 포모족의 바구니. 포모족은 딱따구리, 청둥오리처럼 화려한 조류의 깃털을 조금씩 모아 바구니를 짤 때 요긴하게 썼다고 한다. 정성을 담아 만든 아름다운 바구니는 여아가 태어나면 외가에서 선물로 주거나 며느리가 시어머니께 예단으로 드리기도 한다. 왜 바구니를 여성들끼리 주고 받는지 곰곰이 생각해봤는데 바구니가 여성용이라 그런 풍습이 생긴 듯하나 여러 기술 중에서도 공예를 모계 전승하는 북미 원주민의 경향도 반영되지 않았을까.
Tumblr media Tumblr media
위는 캐나다 원주민인 미크마족, 아래는 미국 남부 원주민인 치트마차족의 바구니다. 우리네 시골에서 할머니들이 잡다한 물건을 수납하는 데 쓰시는 오래된 바구니가 떠올라 묘하게 친근하다. 정반대 지역의 원주민들이 만들었지만 기하학적인 무늬로 짠 뚜껑이 있는 각진 상자라는 공통점이 있을 뿐 차이가 없어 보이나 쓰인 재료는 완전히 다르다. 미크마족의 바구니는 호저의 가시와 자작나무 껍질을 엮어 만든다. 호저란 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 동물로 외모는 고슴도치와 닮았으나 덩치가 훨씬 크다. 더구나 고슴도치는 전신이 가시로 덮인 반면 호저는 꼬리에 긴 가시가 집중적으로 박혀 있고 나머지는 부드러운 털이다. 북미 원주민에게 호저는 친숙한 동물이며 털은 옷이나 천을 활용한 물품 끝에 술로 달아 장식하고 빳빳한 가시는 공예품 제작에 주로 쓴다. 사실 우리는 호저를 이미 알고 있다. 혹시 '산미치광이' 라는 이름을 접한 적이 있는가. 요즘 온라인상에서 살벌한 이름에 어울리지 않는 귀여운 외모의 산미치광이가 소소하게 인기를 끌고 있는데, 호저가 바로 산미치광이의 정식 명칭이다. 과거에는 순우리말인 산미치광이라 불렸지만 어감이 나쁘다는 이유로 호저라는 한자어 이름을 지어 주었다고 한다. 그런데 산미치광이가 낯선 호저보다 괜찮지 않나. 외모는 귀여워도 야생 동물답게 가시를 내뿜는 공격성이 있어 상반된 매력이 부각되고 은은한 광기가 느껴지는 산미치광이가 딱 어울리는데 듣기 싫다면서 굳이 바꿀 필요는 없었다고 본다. 치트마차족은 미시시피강 인근에 살던 부족으로 그곳에서 자생하는 대나무를 이용해 공예품을 만들었다. 미국에 대나무가 있다는 사실에 적잖이 놀랐는데, 찾아보니까 미시시피강이 흐르는 미국 남동부 끄트머리에만 대나무 숲이 자리하고 있다. 아시아만 대나무가 있는 줄 알았다마는 의외로 중남미,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도 대나무가 자라기 적합한 지역이 많다. 치트마차족 바구니 덕분에 내면의 편견과 무지를 깨닫게 되다니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직접 봐야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늘어나기 마련이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갑자기 분위기가 어두워졌는데 생김새가 우리에게 익숙치 않아 두려울 뿐이지 원주민에게는 친숙한 모습이다. 이 유물들은 '카치나' 인형으로 푸에블로 공동체에게 카치나는 매우 귀한 존재다. 카치나는 조상을 비롯해 사소한 물건부터 주변 환경, 자연, 대우주에 이르기까지 이세상 모든 것을 의인화하여 인간과 관계를 맺는 매개체다. 우리에게는 난해한 개념이지만 일본의 신토와 비교하면 이해하기가 수월해진다. 일본인도 만물에 신이 있고 정령이 깃들어 있다고 여기며 지브리 애니메이션이 그러한 믿음을 반영한 예잖나. 카치나도 별의별 것을 의인화하는데, 이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가 연결되어 있다는 원주민의 세계관을 집약했다고 할 수 있다. 푸에블로 공동체 중에서도 호피족과 주니족이 카치나 문화를 심도 있게 발전시켜 왔으며 부족 남성들이 가면을 쓰고 카치나로 분장하고서 춤을 추는 의식을 주기적으로 치른다. 두 부족은 농경을 근본으로 삼았기에 의식은 한해 농사가 풍작을 이루도록 기원하는 기복 신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의식을 치를 때 남성만 카치나로 변신할 수 있으며 여성은 카치나 인형을 돌보는 역할을 수행하고 절대 카치나가 되지 못한다. 카치나 인형은 장난감이 아니므로 어린 소녀에게 첫 카치나 인형을 선물하면서 소중히 다루어야 함을 강조한다. 카치나 인형을 만드는 목적은 범우주적인 만큼 수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호피족의 카치나는 2백 개가 넘는다고 하니 인형을 활용한 조기 교육이 ���잡한 전통 신앙을 가르치기에 효과적인 수단이었을 터이다. 위의 사진 속 인형들은 귀여워서 어린이에게 선물하기 좋아 보이지만 아래는 조금 부적합하지 않나 싶은데 저 인형들이야말로 중요한 카치나다. 두 인형은 의식을 이끄는 광대를 표현한 것이다. 광대는 의식에 참가한 부족민에게 웃음을 줌과 동시에 일부러 비도덕적인 행동을 연기하여 공동체가 지켜야 할 규범을 상기시킨다. '파우와우' 의 진행자와 같은 일을 맡고 있는 듯하나 광대 카치나에게는 신성성이 부여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크다.
Tumblr media
이제 우리는 극지방으로 간다. 요즘에는 극지방의 원주민을 가리키는 말로 '이누이트' 를 흔히 쓰지만 아직도 '에스키모' 라 부르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에스키모는 날고기를 먹는 자라는 비하적 의도를 담고 있어서 이누이트는 그 단어를 듣길 싫어한다. 이누이트가 사냥감의 날고기를 먹거나 피를 마시는 것은 사실이나 기후 탓에 불을 지피기 힘들고 날고기와 피를 통해 부족한 비타민을 섭취할 수 있어서 야만이 아닌 생존에 필수인 식문화다. 한국인이 유난히 음식에 예민한지라 음식을 두고 비하하면 기분이 나쁘듯이 이누이트도 마찬가지다. 그러니 에스키모는 잊어버리자. 이누이트는 그린란드부터 시베리아, 북미까지 광활한 지역에 퍼져 있지만 인구는 극소수다. 전통 문화도 대체로 비슷하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동질감이 느껴진다. 이번 전시에서는 북미 이누이트의 유물만 볼 수 있다.
사진 속 파카는 파카 위에 덧입는 파카인 '캄레이카' 다. 보통 파카는 순록, 곰, 늑대, 여우, 바다표범과 몇몇 조류를 포함한 여러 동물의 가죽과 털로 짓는다. 당연히 보온 기능은 우수하나 눈, 비와 바닷물까지 막아주지는 못해 필요시에 캄레이카를 덧입어야 한다. 캄레이카는 바다 포유류의 창자를 깨끗하게 씻어 말린 뒤 긴 조각 형태의 창자를 손바느질로 재봉하여 만든다. 이누이트 여성이 쓰는 실은 동물의 힘줄을 얇게 뽑은 것이라 탄성이 있으면서도 단단하다. 힘줄 실을 활용한 이누이트 여성의 바느질 솜씨는 기계보다 정교하여 캄레이카의 방수 기능은 아주 뛰어나기로 정평이 나 있다. 남성들의 사냥용 카누도 겉면을 재봉한 동물 창자로 감싸는데 어찌나 바느질을 잘했는지 배 안에 물 한 방울 들어오지 않는다고 한다. 이누이트 여성이 대를 이어 전승하는 재봉 기술은 패딩이 일상복인 캐나다에서 유명 방한용품 업체들의 주요 연구 대상이지만 현대 기술로도 완벽하게 모방하지 못하고 있다. 극한의 추위를 막는 게 최우선이라 이누이트 복식은 성별에 따른 구분이 거의 없다. 그러나 파카의 폭과 후드의 너비는 달라 거친 환경에서 사냥을 해야 하는 남성용은 작고 상대적으로 여성용은 크다. 출산한 지 얼마 안된 여성은 아기를 동여맨 채 그 위에 폭이 넓은 파카를 입어 추위로부터 아기를 보호하고 수유도 한다. 신생아기를 벗어나면 머리를 전부 덮고도 남을 큰 후드에 아기를 넣고 돌아다니며 일을 한다. 대평원 부족의 요람과 비슷한 용도로 후드가 쓰이는 것이다. 캐나다 엄마들 사이에서는 이누이트 여성의 파카처럼 후드가 큰 패딩이 육아 아이템으로 인기가 높다. 파카는 이누이트의 삶에 없어서�� 안될 생존 수단이자 자랑스러운 조상의 지혜와 전통이며 캐나다의 백인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하나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Tumblr media
이누이트 남성의 갑옷이다. 구조가 정말 특이해서 어떻게 입는지 방법을 찾아봤는데 파카를 입은 후 층층이 쌓은 몸통 부위에 다리를 먼저 넣고 양쪽에 달린 끈에 팔을 끼워 착용하는 식이다. 투구와 팔 보호대를 따로 만들지 않은 갑옷은 처음 봤다. 투구 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나. 마름모 형태의 판으로 뒤통수는 보호 가능하겠지만 앞에서 오는 공격은 어찌 막으려고 그랬을까. 기술이 부족했을 리는 없고 투구가 필요치 않았던 이유가 있을 텐데 그게 무엇인지 몹시 궁금하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고래와 바다표범을 사냥할 목적으로 사용했던 작살과 손목 보호대다. 실물은 가까이 들여다봐야 할 만큼 작은데 고래 꼬리 모양으로 조각한 작살이 참 귀엽다. 손목 보호대에 점과 선을 이어 새긴 무늬는 다양한 동물을 의미한다. 사냥 도구를 동물의 형상으로 만든 점이 모순적으로 보일 수도 있겠으나 이누이트는 인간을 위해 희생된 동물들에게 반드시 경의를 표했다. 전통이라는 구실을 달아 고래를 학살하거나 연구용이라며 금지된 포경을 고집하는 일부 국가들 때문에 고래 사냥에 대한 인식이 나쁘지만 이누이트는 필요 이상의 남획은 결코 하지 않는다. 사냥이 가능한 시기가 정해져 있고 그때 잡은 고래, 바다표범, 바다코끼리를 부위별로 해체하여 부족민 간에 서로 나누어 가진다. 비교적 내륙에 거주하는 이누이트는 순록을 잡아 고기를 나눈다. ��위와 사냥에 기여한 정도에 따른 분배는 가혹한 환경에서 굶는 이가 없도록 하여 공동체를 유지하면서도 각자 사회적 위치를 재확인하고 결속력을 다지는 일종의 의식이다. 배급을 받고나면 여성들의 손이 바빠진다. 장기간 보관하면서 먹어야 할 식량이기에 눈밭을 판 구덩이에 털과 가죽을 분리한 고기를 썰어 넣고 보관한다. 천연 냉장고인 셈이다. 냉동은 신선도를 유지하기 좋지만 한계가 있어서 오래 보존하기 위해 고기를 숙성시키거나 건조하기도 한다. 안타깝게도 근대에 들어 원주민의 식생활은 좋지 않은 방향으로 바뀌었다. 고래와 바다표범 기름, 바다코끼리의 앞니가 고가로 거래되자 일확천금을 노린 백인들이 몰려와 마구잡이로 사냥하고 몰살시킨 탓이다. 그들에게는 동물과 대자연을 향한 감사와 겸손이 전혀 없었다. 이누이트는 백인에게 맞섰지만 적이 가져온 전염병과 신식 무기에 의해 속수무책으로 죽임을 당했다. 주식이자 생필품의 재료를 공급해주던 동물의 개체수가 급감하자 이누이트 공동체는 기존의 전통을 잃고 빠르게 서구화되면서 백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현대의 북미 이누이트는 미국 알래스카와 캐나다 래브라도에 주로 모여 사는데, 미국과 캐나다 정부는 주기적으로 각종 음식과 생필품을 비행기에 실어 이누이트 공동체에 보낸다. 정부 입장에서는 운송하기 편리하고 좀처럼 상하지 않는 가공 식품을 선호해 이누이트의 비만율이 증가했고 의료 접근성도 낮아 평균 수명이 짧아졌다. 우리가 야만이라 손가락질하는 날고기가 이누이트를 살렸고 굽거나 튀긴 익힌 고기가 그들을 죽이고 있으니 '선진적' 이라는 말은 실로 허황되고 텅 빈 수식어에 불과하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이누이트의 한 갈래인 유피크족의 담뱃대. 바다코끼리의 상아로 만들었으며 세월이 지나 빛을 잃은 차분한 색상과 대조를 이루는 그림, 부드러운 곡선 덕에 우아한 매력이 있는 훌륭한 작품이다. 구석에 놓여 있어 그냥 지나칠 뻔했지만 담배 가루를 넣는 부분에 앉아 있는 앙증맞은 새가 내 눈길을 사로잡았다. 그림의 내용은 이누이트 문화의 중축인 사냥으로 그 과정을 자세하게 그린 유물이라 가치가 높다. 담배는 따뜻한 기후에서 재배되기에 이누이트는 담배를 필 일이 없었다. 그러나 유럽의 백인과 교류하며 담배를 접한 뒤 이누이트 공동체는 점차 일상적으로 담배를 피기 시작했다. 축제 때도 담배는 빠지지 않았으며 누가 제일 빨리, 다량의 담배를 피는지 겨루는 경쟁도 펼쳐졌다고 한다. 어린아이마저 담배를 폈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그들은 담배에 중독되었다. 이누이트는 백인에게 가치가 높은 모피, 고래와 바다표범 기름 등을 담배와 맞교환하는 식으로 거래를 했는데 나중에는 담배 수요가 넘치는 나머지 백인과 바꿀 교역품을 초과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지금도 이누이트는 담배를 즐겨 공동체에 심각한 사안으로 논의되고 있다. 가뜩이나 식단이 서구화되어 건강이 나빠진 상황에서 담배까지 끊지 못한다면 부족의 존속이 걸린 문제다. 나는 이누이트와 담배의 관계를 알게 되면서 중국의 아편 전쟁이 떠올랐다. 은의 가치를 끌어내리려 계획적으로 아편 중독자를 양산시킨 영국과는 달리 이누이트 개개인의 담배 수요가 폭증한 끝에 나타난 결과이기는 하나 백인과의 교역이 계기가 되어 유입된 중독성 강한 물질이 공동체를 위협하고 있는 현실이 씁쓸할 따름이다.
Tumblr media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북서 해안 부족 가운데 하나인 하이다족의 모자다. 족장이 썼던 모자이며 바구니를 가장 잘 짜는 여성이 맡아 틀을 만들면 남성이 가문을 상징하는 추상적인 도안을 그려넣었다. 북서 해안 부족의 모자는 캐나다의 여러 원주민 문화에서 개성이 뚜렷하기로 유명하다. 다만 이 유물에 아쉬운 부분이 있는데, 족장이 모자 위에 얹는 고리가 없다. 하이다족 족장은 '포틀래치' 를 개최할 때마다 모자 꼭대기에 고리를 얹었다. 고리의 개수는 곧 족장의 권력과 부를 상징하여 고리를 높게 쌓을수록 자부심을 가졌다.
그렇다면 '포틀래치' 란 무엇인가. 포틀래치는 북서 해안 부족의 선물 나누기 축제로 상속, 관혼상제 등 중대사가 생겼을 경우 개최되었다. 사전적 의미만 보면 좋기만 한 풍습이라 생각하겠지만 축제라 명명하기에는 간단한 일이 아니다. 북서 해안 부족은 서열이 엄격한 편이어서 포틀래치에 참여 가능한 계급은 대개 누메임이라는 지배 계층에 한정되었다. 누메임이란 같은 씨족끼리 구성된 권력층인데 유럽의 귀족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니까 차기 부족장을 지명하는 포틀래치는 즉위식이자 귀족 집단의 충성을 확인하는 자리다. 심한 병에 걸리거나 상중이지 않은 이상 누메임은 포틀래치에 반드시 참석해야 한다. 딱히 사유 없이 불참할 시 이는 부족장의 결정에 불복하고 차기 부족장에 반기를 드는 대역죄로 간주된다. 원주민 사회에서 부족을 벗어나 생존하기는 불가능에 가까워 포틀래치 참석 여부에 선택권이란 없다. 누메임이 충성심을 드러냈으니 부족장도 답을 해야 한다. 가산을 거덜내는 한이 있더라도 포틀래치를 성대하게 치르고 가치가 높은 다량의 선물을 참가자들에게 안겨 주어야 뒷말이 나오지 않는다. 포틀래치는 춤과 노래, 구연, 농담, 연극, 놀이와 같은 행위에 종교성을 내포한 종합 엔터테인먼트 의식이었다. 참가자에게 최대한의 즐길 거리를 보장하는 것이다. 흥겨운 시간을 보낸 뒤 참가자가 ���는 선물 꾸러미는 전통 직물인 칠캇 의류나 소품, 동물 가죽, 허드슨만 담요, 구리, 보존식품으로 구성되었다. 종합 엔터테인먼트에 선물 세트까지 준비하려면 만만찮은 비용이 들 만하다. 그래서 참가자들이 또 포틀래치를 열거나 답례품을 주어야 한다. 이 또한 선택권이 없는 의무다. 포틀래치는 웬만한 부자가 아니고서야 치르기 힘드니 답례품이라도 줘야 하고 이미 받은 선물에 견줄 수준이거나 훨씬 나은 물품으로 돌려주는 게 관례다. 누메임 안에는 서열이 정해져 있고 차기 부족장이 임명되면서 서열이 재정립되는 경우가 많은데, 포틀래치가 그 기능을 수행한다. 때로는 다른 권력층을 공격하려 포틀래치를 열고 타깃이 된 자와 가족을 초대하기도 했다. 이게 무슨 헛소리인가 싶겠지만 엄두를 못낼 규모의 포틀래치에 억지로 앉혀 놓고 부담스러운 선물을 건넴으로써 지위를 위협하는 의도라면 이해하겠는가. 타깃이 제대로 응수해 방어에 성공하면 다행이지만 그리 하지 못하고 답례품도 형편없다면 크게 망신을 당하고 서열도 흔들리게 된다. 서열은 사냥, 채집 영역과 재산, 노예를 얼마나 소유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기준이라 지위가 하락하면 생계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이쯤 되면 축제인가 권력 투쟁인가 구분이 안될 정도인데 그로 인해 포틀래치가 경쟁적으로 열렸다. 포틀래치의 주최자와 참가자 모두 누메임이어야 함이 원칙이나 권력층에 속하지 못한 평민과 노예도 참가하고 선물까지 받는 일이 가끔 있었다. 가급적 많이 베풀어야 권력을 과시하면서 부족 공동체 전반의 질서와 경제를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모피, 고래 기름과 바다코끼리 앞니를 얻고자 사냥을 하고 원주민과 교역만 했던 유럽의 백인은 서서히 원주민의 땅을 장악하다가 제멋대로 캐나다라는 국가를 세웠다. 백인 침략자는 포틀래치의 개념을 납득하지 못했다. 개인의 재산 소유권 보호에 철저한 백인이 보기에 축제와 선물 나누기에 열을 올리는 원주민 전통은 멍청한 짓에 지나지 않았다. 그들은 원주민 공동체의 정치, 질서, 경제를 움직이는 포틀래치의 원리를 부정했다. 특히 크리스트교 선교사들이 포틀래치를 격하게 비난했고 때마침 원주민의 자치권이 거슬렸던 캐나다 정부는 포틀래치를 금지, 발각되면 징역형에 처하는 법을 제정했다. 축제를 열고 선물 좀 줬다고 감옥까지 간다니 어떻게 이런 법이 가능하단 말인가.
Tumblr media
포틀래치에서 구리 방패를 부수는 의식에 쓰였던 목재 모루다. 사진상으로 봐도 실물의 크기나 생김새에 압도되는 느낌이라 전시장에서 깜짝 놀랐다. 처음에는 무서웠는데 자꾸 보니까 정감 있다. 구리 방패는 부족장 혹은 포틀래치 주최자의 소유였는데 방패를 깸으로써 권력층 간의 분쟁을 막기도 했다고 한다. 이 모루는 콰콰케와크족의 유물로 설화 속 바다 괴물인 '냄지옐라기유' 를 형상화했다. 콰콰케와크족은 포틀래치 금지법 따위 아랑곳하지 않고 고집스럽게 전통을 유지한 부족이다. 콰콰케와크족 외에 틀링깃족, 하이다족이 속한 다수의 북서 해안 원주민들이 몰래 포틀래치를 열었다. 어쩌면 그들은 정부의 감시를 피해 포틀래치를 지키면서 공포를 주지만 숭배의 대상이기도 한 바다 괴물의 강력함으로 위기를 타개하리라는 믿음을 더욱 굳게 다지지 않았을까.
Tumblr media
이 가면도 보자마자 기가 빨리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이유를 알고나니 그럴 만도 했다. 가면의 정체는 '바크와스' 로 콰콰케와크족 설화에서 바크와스는 유령의 왕이라 꼽히는 숲의 야인이다. 그는 그린치처럼 녹색이고 왜���한 모습을 하고서 숲속을 헤매는 사람을 도와주려 하지만 호의에 속아서는 안된다. 바크와스가 여행자에게 주는 연어는 사실 부패한 음식이며 이를 먹으면 망자의 세계에 들어선다고 한다. 한마디로 죽는다는 뜻이다. 이누이트와 북서 해안 원주민의 설화를 훑으면 공포를 넘어 충격을 주는 초자연적 존재가 적지 않다. 이누이트 설화에서는 개와 인간 사이에서 태어나 반인반수인 '애들렛', 밤에 혼자 사냥하는 사람을 잡아먹는 늑대 '아마록', 물가에 가까이 접근하는 어린아이를 사냥하는 '칼루팔루잇', 심해를 돌아다니는 거대 뱀 '티제루크' 등이 있다. 북서 해안 원주민 설화에서도 세 개의 머리를 가진 바다 뱀 '시시우틀' 이 있고 Big Foot이라는 영단어로 널리 알려진 '사스콰치', 세상의 북쪽 끝에 사는 거인 '바크바크왈라눅시웨이' 에 대한 이야기가 구전된다. 언급한 초자연적 존재들의 공통점은 사람을 겨냥한 위협, 식인과 관련이 깊다는 것이다. 사냥과 생존을 돕는 좋은 신, 초자연적 존재도 있지만 무서운 존재들을 유난히 강조하는 이유는 원주민 설화가 탄생한 원인에 있다. 이누이트와 북서 해안 원주민을 둘러싼 대자연은 고기, 기름, 모피, 가죽을 내어 주는 감사한 곳이기도 하나 동시에 언제든지 위험에 처할 수 있는 적대적 환경이다. 성인도 살아남기 가혹한데 물정을 모르는 어린아이는 목숨을 잃기 쉬우니 설화는 공포를 유발하는 존재를 상상하여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려는 목적성이 강하다. 우리네 전래 동화나 유럽의 그림 형제 동화도 이세상은 위험으로 가득 차 있으며 타인을 너무 믿지 말고 스스로를 보호하는 지혜를 키우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잖나. 같은 의도로 구전, 기록된 동화는 전세계에서 발견된다. 이불 밖은 위험하다는 역시 만고의 진리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콰콰케와크족에게는 포틀래치 못지 않게 중요한 의식이 있었는데, 가면을 쓰고 춤을 추며 연기도 하는 뮤지컬 형식의 '함사말라' 다. 주로 겨울에 행해졌기에 겨울 춤이라는 별칭이 붙기도 한다. 콰콰케와크 공동체 내부에는 네 개의 비밀 결사체가 있었는데 식인 결사체인 '하마트사' 의 권위가 가장 높았다. 나는 식인 결사체라길래 원주민 문화를 야만적이라 보았던 백인이 또 호들갑을 떤 결과일 거라 생각했지만 하마트사를 연구한 기록을 읽으니 식인까지는 아니어도 공연 중에 살인은 벌어진 적이 있었다고 한다. 하마트사는 식인 거인 '바크바크왈라눅시웨이' 와 그에게 사람을 물어다 주는 까마귀 '그왁그왁왈라눅시웨이' 설화를 재현하기에 온 힘을 쏟는다. 위 사진 속 가면은 그왁그왁왈라눅시웨이를 묘사한 것으로 아래 사진은 어떻게 저 거대한 가면을 썼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가면을 쓴 구성원들은 초자연적 존재의 공격에 대항하는 인간의 의지가 마침내 그의 분노를 억누르고 다시금 인간과 대자연의 관계를 확인하는 의식을 연기라는 수단을 통해 부족민에게 보여주며 결사체의 유대감도 다진다. 문제는 바크바크왈라눅시웨이가 인육을 먹는 연기를 하는 과정에서 사람을 죽이는 경우가 근대까지 있었다는 사실이다. 희생양은 지위가 낮은 노예였다. 하마트사의 구성원은 괴물을 실감나게 연기하려 오랫동안 굶기도 하고 역할에 몰입해 잔뜩 흥분한 상태라 진짜 바크바크왈라눅시웨이처럼 노예를 물어 죽인 후 시신을 훼손했고 심지어 노예가 아닌 부족민도 공격해 주변인이 가까스로 말린 사례도 있었다. 연극이 연극에 그치지 않을 때가 있다보니 권력층의 자제만 입단했고 포틀래치에 반드시 필요한 조직이었는데도 오직 비밀 결사체로 철저히 어둠 속에 숨어 있어야 했다.
캐나다 정부의 원주민 탄압과 세대 교체를 거치면서 하마트사가 사람을 죽이는 참사는 더이상 일어나지 않게 됐다. 제정부터 논쟁이 끊이지 않던 포틀래치 금지법이 실패한 덕에 명맥을 잇고 있어도 백인은 원주민을 교화시키는 데 성공했다며 뿌듯해한다. 그 어떤 이유로도 살인은 정당화될 수 없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 하마트사는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그러나 크리스트교로 개종하지 않는다, 백인의 식민 통치에 저항한다는 이유로 원주민을 학살하고 아이들을 빼앗아 (수용소라 부르는 편이 어울리는) 서구식 보육원에 가���어 학대하거나 백인 가정에 억지로 입양을 보내 정체성을 지우는 짓거리는 야만이 아닌가. 포틀래치만 봐도 알 수 있듯이 북미 원주민 사회도 부족과 지역 사이에 갈등이 있었고 크고 작은 전쟁으로 이어져 후폭풍이 일기도 했다. 북미 원주민이 항상 조화와 균형을 추구했다는 이미지도 야만인이라는 혐오 표현만큼이나 그들을 괴롭히는 편견이다. 첫 포스트에 올린 오마하족 잠언을 다시 곱씹어보자. 왜 그들이 자연보다 평화가 더 어여쁘다는 말을 남겼을까. 우리와 북미 원주민의 삶은 양식이 다를지언정 동등한 사람으로서 겪는 경험은 보편적이어서다.
Tumblr media
토템폴의 일부분. 토템폴은 메이플 시럽, 순록과 더불어 캐나다의 상징인 북서 해안 원주민의 전통 공예다. 조상과 가문의 역사, 범고래, 곰, 독수리 등 친숙한 동물, 설화 속 신과 초자연적 존재를 조각했으며 누메임에 속한 권력층은 기둥 꼭대기에 가문의 상징을 장식했다. 기둥은 소유자의 힘을 증명하는 수단이었으므로 현대 건축물에 맞먹는 높이의 토템폴을 세우기도 했다. 토템폴이 원체 거대한 목각 기둥이라 실물을 접하리라는 기대는 추호도 안했는데 부분이나마 보게 되어 기뻤다. 오늘날에도 토템폴은 꾸준히 제작되어 관광객의 이목을 끌고 있다.
Tumblr media
내 소장품인 캐나다 원주민 인형과 토템폴 미니어처를 촬영해 올려본다. 반출과 운반이 불가능함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기둥의 머리부터 기단까지 하나의 이야기인 토템폴을 일부분만 볼 수 있다는 게 아쉬웠고 무엇보다 북서 해안 부족 복식에서 빼어난 미적 감각을 자랑하면서 높은 가치를 지닌 칠캇을 한 벌도 전시하지 않은 점이 영 내키지 않았다. 인형의 어깨에 둘러진 옷이 칠캇을 사용하여 만든 외투다. 사람이 입는 옷과 별 차이가 없을 정도로 섬세하게 제작된 수작이라 참고하기 좋다. 칠캇 원단은 말린 삼나무를 잘라 두들겨서 가늘게 찢은 뒤 새끼를 꼬아 실을 뽑고 이를 베틀에 고정해 짰다. 칠캇 원단은 곡선형으로 직조하기에 전세계에서 최고라 꼽힐 정도로 난이도가 매우 높은 기술을 요구한다. 원단이 완성되면 가문, 위인, 설화 속 존재, 동물을 추상화한 무늬를 그려 넣고 테두리를 염소와 양의 털로 장식했다. 칠캇 외투는 완성하는 데 반년부터 길게는 한 해가 넘게 걸리기도 한다. 제작 과정이 복잡하기에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재료를 공급했다. 칠캇은 외투 외에 가무용 의상, 상의, 앞치마, 조끼, 모자, 담요, 가방 등 특별한 옷부터 실생활에 쓰이는 소품까지 무척 다양한 제품을 만드는 데 활용됐다. 독특한 문양과 색채도 아름답거니와 북서 해안 부족 복식 문화의 꽃이라 할 만한 칠캇을 한국인들이 직접 볼 기회가 없다니 안타깝다 못해 답답하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대평원 부족에 속한 압사로가족 출신 화가 화이트 스완이 '리틀 빅혼 전투' 를 그린 작품이다. 한 그림 안에 전투의 과정이 처음부터 그려져 있으며 시계 방향 순이다. 화이트 스완은 전직 군인으로 미군이 고용한 정찰병이었다. 우리 기준으로는 배신자라 할 수 있지만 당시 대평원에서 부족 전쟁이 몹시 치열했고 미국 정부는 이를 기회로 삼아 원주민 간의 갈등을 부추겨 자멸을 유도했다. 단지 화이트 스완은 이용당한 자에 지나지 않았다. 두번째 사진 오른쪽 위에 적의 진영을 정찰 중인 화이트 스완이 있다. 세번째 사진에서는 그가 적과 전투 중이며 두번째 사진 아래로 돌아오면 부상을 입은 그를 나팔수가 구하고 있다. '리틀 빅혼 전투' 는 대평원 부족의 영역이었던 블랙 힐스에 금이 발견되자 소유권을 빼앗으려는 미국 정부가 일으킨 '대 수족 전쟁' 에서 라코타족, 샤이엔족, 아라파호족 연합군이 거둔 최후의 승리였다. 미군은 '리틀 빅혼 전투' 의 승리를 확신했으나 예상치 못하게 연합군에 대패하자 그후 공세를 강화했다. 전설적인 라코타족 전사 크레이지 호스가 맹활약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연합군은 항복했으며 미군은 원주민을 대상으로 보복성 대���살을 저지르고 보호구역 (이라는 이름의 게토) 으로 강제 이주시키며 탈출하려는 이들도 모조리 죽였다. 이 상황에서 화이트 스완의 처지는 어찌 되었을지 궁금할 터이다. 부상 후유증으로 심각한 장애를 얻게 된 그는 군 연금을 받으며 젊은 시절 치렀던 전쟁과 원주민의 주요 사건을 그리며 여생을 보냈다. 화이트 스완의 작품은 백인이 아닌 원주민의 시선을 반영한 기록물로써 인기를 모으고 가치를 인정받았지만 과거 대평원을 호령했던 전사들은 사라지고 빛이 바랜 영광을 화폭에 담으면서 그는 어떤 감정을 느꼈을까.
Tumblr media
북서 해안의 원주민 틀링깃족인 현대 미술 작가 제시 쿠데이의 작품 '웨인의 세계 (Wayne's World)' 다. 틀링깃족 전통 가면의 생김새와 존 웨인의 초상을 교차하여 존 웨인이 원주민에게 재앙같은 존재임을 부각시켰다. 첫 포스트에 썼듯이 서부 영화는 원주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이 행성에 존재하는 전 인류에게 심어주기에 열성적이었다. 존 웨인은 서부 영화의 대명사가 되어 당대 최고의 스타로 등극했지만 이에 만족하지 않고 정치 활동에 적극 가담하여 매카시즘이 할리우드를 장악했던 시절 빨갱이 사냥이라는 명분으로 동료 영화인을 협박하고 밥줄을 끊은 일등공신이었다. 영화 '로마의 휴일' 의 시나리오 작가 돌턴 트럼보가 존 웨인 탓에 커리어에 치명타를 입은 인물의 대표격이다. 매카시즘의 광기가 사그라든 후에도 극우주의 행보를 이어가던 존 웨인은 성인 잡지 플레이보이와의 인터뷰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제시 쿠데이의 작품은 문제의 인터뷰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한 것으로 전문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많은 흑인들이 분노와 함께 상당한 적개심을 품고 있습니다. 당연히 그럴 수 있어요. 하지만 우리가 갑자기 무릎을 꿇고 만사를 흑인의 리더십에 맡길 수 없습니다. 저는 흑인들이 책임감의 요점을 배울 때까지 백인 우월주의가 옳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인디언으로부터 이 위대한 국가를 가져온 일이 잘못되었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인디언으로부터 우리가 이 국가를 강탈했다고 불리는 것은 단지 생존의 문제였습니다. 새로운 땅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숱했지만 인디언은 이기적이게도 그들의 땅을 지키려 노력했습니다.' 번역하기가 괴로울 정도로 어이없는 망언인데, 70년대에 한 인터뷰라지만 민권 운동이 활발하던 시기에 이런 말을 하다니 단단히 우향우했던 모��이다. 그런 놈인 줄은 진작에 알고 있었지만 새삼 경악했다. 한국에서는 구세대가 서부 영화에 대한 추억을 갖고 있어 존 웨인이 지독한 차별주의자라는 사실을 잘 모르고 좋아하는 사람이 많은데 신세대라도 그의 실체를 파악하고 서부 영화를 멀리 하길 바란다. 아예 존 웨인이라는 배우 자체가 잊혀졌으면 좋겠다. 배우에게는 대중의 망각이 잔인한 벌인 법이니 말이다.
Tumblr media
지금은 LA라는 대도시가 세워진 지역에 살았던 루이세뇨족 출신의 현대 미술 작가 프리츠 숄더가 주먹을 쥔 팔을 힘껏 들어올리는 블랙 파워의 경례 (Black Power Salute) 에서 영향을 받아 그린 작품이다. 제목도 블랙 파워를 변주한 '인디언 파워 (Indian Power)' 다. 1972년작이라 당시에는 인디언이라는 명칭에 대한 문제 의식이 희박했던 탓인지 작품은 정말 멋지고 세련됐지만 제목이 따라가지 못한다는 느낌을 준다. 이 작품은 한때 원주민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쓰이다가 잊혀졌는데, 덴버의 한 ��러리에 걸린 것을 우연히 발견한 후원자가 구입해 덴버 박물관에 기증하면서 재조명되었다. 솔직히 제목이 중요한 사안은 아닌 것 같다. 말을 탄 채 주먹을 위로 뻗은 전사의 모습이 우리에게 외치고자 하는 자유와 평등을 향한 염원을 내뿜고 있어 진정한 북미 원주민의 힘이 우리에게 와닿기 때문이다. 굳이 인디언을 원주민이라 고치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그들의 갈망이 전시장을 나선 뒤에도 한참이나 내 마음을 뒤흔들었다.
0 notes
linnealong · 7 months ago
Text
Gallery Visit - AGNSW
‘‘TEN THOUSAND SUN’’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Cultural multiplicities
First Nations understandings
Celebrates carnival
Rallying against oppression and dehumanisation
Tumblr media Tumblr media
This is one of my favorite work among this whole exhibition!
Combination of video and installation
Expanded field
History & heritage
Body
Tangled past
Colonial, aboriginal history
1 note · View note
antonia-gergely · 1 year ago
Text
EVA EXHIBITION REVIEW !!!
soft 5/10
Let me preface by mentioning that we went on a Tuesday. That brought the score down a lot. About five venues were open (One of them contained a single poster). But I'm going to focus mainly on the Limerick City Gallery of Art.
It was a slight disappointment, frankly. There was amazing art on display within, some really striking stuff, and kudos to each artist whose work was chosen for display, but it seemed like it was set up a day before opening, and didn't exactly strike me as an international-level event.
Photos were tacked up like posters in a teenage bedroom. Shadows seeped out from underneath, distracting any viewer from the immersive experience that could have been achieved. It's Lala Meredith-Vula's Haystacks series that I'm mainly referring to. I was enamoured by the work, it reminded me of the haystacks I would see driving through the Romanian countryside on my holidays, it had enough imagery to allow a viewer to add narrative, and question the events within. And yet, all I could see were the jarring buckled shadows underneath the asymmetrically displayed images.
Seóidín O'Sullivan's ongoing research project, Crex crex, crex crex, crex..., really bewildered me and a few others I was with. Beautiful old coins embossed with the corncrake showed her inspiration on a wall whereby a viewer would have their back to the large main piece, rendering everything quite disjointed and unconnected, and harder to picture interacting. Her research images seemed haphazardly tacked onto MDF board screwed into the walls. I left quite confused and underwhelmed by the unfinished nature of the display.
Her beautiful textile work, illustrated with deep blue corncrake postage stamps, draped over a hay-bale whose scent would transport any viewer out to the Irish springtime countryside, was labelled and described, but across the room. I went over to the work and examined it, only to have to pace back and see what it was actually called. This was a repeated issue. The gallery had its artwork labels in weird places that weren't conducive to someone's movement through the space. I would walk in to a room, have to turn back, read a label around the corner, look back at the art, and figure out if I was reading the right thing. It gets really annoying when all you want to do is understand an artist's idea and concept and be submerged in the work. It felt as though the technicians didn't know much about gallery operations at all.
Orla Barry's video installation was in the middle of the first main atrium of the gallery. I don't know anyone who would actively enjoy standing in everyone's way with a pair of headphones, staring at words scrolling across a screen. I tried to watch the video, but couldn't focus for the discomfort of standing in the middle of a gallery pathway.
Rosalind Fowler's video was more intimately set up, more comfortable to sit and watch in private, but the sound was neglected. A tiny speaker accompanied the projector showing the work. It was almost like the piece was afraid to intrude on the gallery environment and adjoining café. This could have been intentional, but I didn't find it very effective. One of my favourite things at the Venice Biennale was the booming, unapologetic noise that you would here from whatever room awaited you, and the excitement of discovering where it was coming from. Not the case here. In fact, I almost missed the video completely. I was just curious enough to look around the inconspicuous curtain and find a quiet video rolling therein.
Unfortunately, I did not have time to go out to UL, where the work might have had a more thought-out display, but for such a small biennial, I don't understand why the work would be spread out around the town. It's not the Venice Biennale and I think it's wrong for it to try to be, at least physically. It felt like each individual venue provided nothing much at all, other than Rachel Fallon and Alice Maher's monumental tapestry (whose display I quite enjoyed), whereas having the works in fewer, larger spaces would have had a much more immersive, lasting impact.
It's just such a shame because I know it could have been wonderful. The art itself was fantastic - again, from what I could see of the few open venues - but the execution of the exhibitions was less than impressive, and brought my experience down significantly.
0 notes
bigfoto593 · 1 month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
1K notes · View notes
biglisbonnews · 2 years ago
Photo
Tumblr media
Kate Biel's 'Barbella' Is the Femme-Powerment Handshake NYC and LA Need New Yorkers have always appreciated a double take; to be appraised by onlookers on a morning commute is one of the highest silent compliments a person here can ask for. We’ve all felt the endorphins of turning a head and knowing that today we successfully walked the line between unquestionable gorgeousness and astonishing strangeness. When admiring others push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beautiful and the ugly, we’ve all vowed to be less conventional ourselves and step further outside the box that mainstream culture confines us inside. For the people-watchers of New York, a new exhibition of beautifully confounding women is up on display, brought to you through the lens of rising Los Angelean photographer Kate Biel.Barbella, Biel’s first solo exhibition, is a compilation of her musings on female bodybuilders over the last four years, which first caught her interest during a period of creative drought. In 2019, a friend of Biel’s mentioned her mom was a bodybuilder, and, after bridging the distance between Arizona and LA to shoot together, Biel's relationship with the female bodybuilding community was forged. At a time when Biel was struggling with the destructive effects of heartbreak, photographing these formidable women became a vital source of inspiration and empowerment for her. Rather than shrinking away from taking up space, as many women are compelled to do, her subjects reveled in the presumption of being “worshipped.” Biel notes: “Not a single one of them appeared to lack confidence... I see them as a physical encapsulation of self love.”Inside the exhibit, the minimalist, coolly lit curation allows the images to speak for themselves. The collection of photographs shows bodybuilders poised against the familiar but unnerving backdrop of classic American suburbia. Their painted faces feign taunting or triumphant expressions, depending on how you see them, pushing forward the idea of mythologized strength in a real setting.“The suburban environments make it feel more normalized,” Biel tells PAPER. “If I photographed these subjects in the wilderness it would suggest they belong on the outskirts. Carl Jung described how the symbolism of homes in our dreams serves as insight to what we are feeling subconsciously; they can be a source of both comfort and anxiety.” Biel explains that the makeup for the shoot was inspired by war paint and masks worn by luchadores for their wrestling matches in Mexico. “This is male pageantry, a means of intimidation, to give their opponent the idea that they could channel otherworldly powers,” she says. “I chose the aesthetic to encourage the subject to access this power in front of the camera.”This reconfiguration of standards, self-image and power structures is a challenge Biel has resolved to accelerate through her work in the media: "Just as we’ve been taught to look to the media for answers, we also look to it for approval. I think the media that exists has to be dismantled and rebuilt to have less influence on our self worth.”It’s true that feminine beauty standards have always been in flux, and the male-dominated media, which dictates the ways in which female bodies are deemed acceptable and beautiful, plays a huge role in this. Nestled atop this complex history, Biel’s mission as an artist is to present to viewers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feminine range and to demonstrate their power of attraction.“I’ve always sought after some kind of 'ugliness' in my work. When I say ugliness I don’t mean unattractive or revolting but instead mean the opposite of beauty,” Biel says. “I aim to explore the common ground shared among women and monsters and the humanity found in between. They are outcasts and alienated in their otherness, the way their bodies transgress and fluctuate is equivalent to body horror, and ultimately they are threats to power. Their very existence is an explosive disregard of the standards for harmony and order.”Biel notes that some men have approached her asking if the women in the series are transgender or in drag. “It doesn’t really matter whether they are or aren’t,” she says, “but the fact that the strength of their bodies require investigation on their sex frankly feels harmful and all the more necessary to normalize.”If you’ve ever wondered about the incredible possibilities of feminine beauty, Biel invites you to tickle your mind with this new context, delivered with love from the female gaze.Barbella will be exhibiting at Blade Studios in New York City until March 26.Photos courtesy of Kate Biel https://www.papermag.com/kate-biel-barbella-2659498436.html
0 notes
sinzow · 2 years ago
Text
youtube
0 notes
artbookie · 1 month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CLAMP Exhibition Official Art Book COLOR KURO
Watch the video below for the flipthrough review. If you like the artbook, please support the artist by buying a copy ^_^
youtube
185 notes · View notes
incorrect-riordanverse · 10 months ago
Text
leo “perchance” valdez and frank “you can’t just say perchance” zhang have a very underrated dynamic in my humble opinion
797 notes · View notes
mimicofmodes · 3 months ago
Text
I dropped in on the de Young's fashion exhibition a few weeks ago, and finally wrote up my thoughts. Tl;dr: mixed feelings.
115 notes · View notes
bmpmp3 · 6 months ago
Text
sorry to be a bit of a hater but i do wish youtubers weren't so scared of making their videos just like, "reviews", whys everything gotta be a "video essay" all the time. every day my recommendations are filled with 40 minute videos titled "_____: An Underrated Masterpiece" where the first like five minutes are reading the wikipedia definition of "masterpiece" in a somber voice with dramatic themed text on screen. please just tell me how good or bad you think something is and use the rest of the runtime to explain why. you dont need to put on all these airs
#i know the ahem. channel. of some awe....... that whole situation kind of scared people off from using the word review#but like we live in the future now. you can make a review. i believe in you#AND LIKE i like a good video essay!! but im picky. because i read academic shit for fun#when i see a capital E essay im expecting theses. im expecting sub headers. im expecting multiple examples AND footnotes with asides#(and i know this is a controversial topic but i do expect them to be long. because if you read aloud a 4 page journal article its gonna)#(take a bit of time LOL maybe i just read too much academia shit. but i dunno man. theres not a lot you can say about like a big huge)#(topic with multiple angles if you only have like 10 minutes. maybe i just talk too slow. i need to breath <3 )#theres other formats too. surveys. retrospectives. informative essays. persuasive essays. etc#and like i also read lots of reviews not just of like movies and books but of like gallery exhibitions and shit!! they can be extremely#interesting a lot of work and some really beautiful writing!! nothing wrong with a review!!! theyre important#but i do get annoyed with like. the odd air of pretention i see in a lot of video essays. especially cause its usually not backed up by#the content. i dont care for those airs in academia either. nor do i like it in documentaries#just talk naturally. you'll find your voice. there might be pretention in it in the end but it'll be yours#if im making sense. i hear a lot of people talking in a pretention that is not their own. something they put on because thats what they#think they should do. you need to find your own pretention. be pretentious in a way that feels natural to youuuuuu#hell im being pretentious. about this LOL but like its my own. it is a pretentiousness ive built over the past half decade#play around. write a blog. i dunno. find your voice dear youtubers. find your voice
131 notes · View notes
rosesarebleu · 4 months ago
Text
Tumblr media
실로 오랜만에 국중박을 방문했다. 날씨가 더워지니까 시원하면서 볼거리 있을 만한 곳 없나 고민하니 전시장이 딱 알맞잖나. 검색하자마자 이 전시가 눈에 띄었다.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이라니 제목을 기가 막히게 붙였다. 젊은 세대는 '북미 원주민' 이라는 표현을 많이 쓰고 일부는 '원주민' 보다 '선주민' 이 더 적합하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구세대 등 적잖은 한국인이 여전히 아무렇지도 않게 '인디언' 이라 지칭하니까 인식 수준을 잘 반영한 것이다. 북미 원주민을 '인디언' 이라 부르게 된 계기가 (모험가로 추앙받는) 침략자 콜럼버스가 북미 대륙을 인도라 착각한 탓이라는 사실은 꽤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도 '인디언' 이라는 단어를 왜 쉽게 쓸까. 아마 우리가 그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진지하게 이해하려 노력하지 않았기 때문일 테다. 봉준호 감독이 영화 '기생충' 에서 부잣집 도련님을 북미 원주민 흉내에 집착하는 소년으로 설정한 이유가 타자, 특히 약자에 대한 이해는 없으면서 문화만 전유하려는 상류층을 비꼬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분석도 있었다. 도련님들 사이에서 북미 원주민 문화가 유행인지 웬만큼 사는 집은 원주민식 텐트를 갖추고 놀이랍시고 원주민 옷을 입는데 이 나라 부자들의 천박함은 익히 알고 있지만 꼴사나우니까 다 치우고 아이들 제대로 가르치길 바란다. 이게 특정 집단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 사회 전체가 거대한 전유의 아수라장이다. 타국, 타민족의 전통 문화는 장난이 아니라며 거듭 말한들 귓등으로도 안 듣고 한국 문화는 살짝 터치만 해도 난리 치면서 모순을 잘못이라 인정조차 하지 않는다. 이런 시대에 필요한 전시라 꼭 가보길 권한다.
전시는 관람객을 향해 '미타쿠예 오야신' 이라는 대평원 부족의 인사말을 건네며 시작한다. 세상의 모든 것은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뜻으로 인간이나 생물뿐만 아니라 사물까지 모두 포괄하는 북미 원주민의 폭넓은 세계관을 담고 있다. 좁은 땅에서 복작거리기 바쁜 한국인에게는 다소 과장되게 들릴 법하나 북미 원주민을 둘러싼 환경을 보면 이런 인사말이 생길 수밖에 없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캐나다와 미국 땅이 얼마나 큰지야 알지만 각 원주민의 거주지, 분포, 환경을 단순명료한 방식으로 그린 지도를 통해 보니까 '북미 원주민' 이라는 단어도 그들의 다양성을 무시한 표현같아서 하찮게 느껴지더라. 진짜 압도적이지 않나. 무지한 나로서는 이 전시 하나 본다고 그들을 이해하기 힘드리라는 막막함이 들 정도였다. 여러 원주민이 북미 전역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어 있기는 했으나 해안가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이 확연하다. 오늘날 캐나다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퀘벡, 노바 스코샤에 인구가 몰려 있고 미국은 캘리포니아와 뉴욕, 플로리다에 인구가 넘쳐나며 내륙에는 일리노이, 텍사스만 인구가 많은 편인데 예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데 그리 차이가 없다. 삶의 기본이 되는 의식주를 꾸리기에 적당한 환경의 기준은 변화가 없기 마련이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집의 형태부터 지역마다 천차만별인데, 기후에 따라 보완할 부분을 중점에 두어 형성되었음을 가늠케 한다. 이글루, 티피, 그래스하우스는 대중 문화로 접해 매우 익숙하고 티피 등 천막류의 거주 양식은 원주민의 상징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나머지 가옥은 꽤 낯설다. 플랭크하우스는 북유럽에서 흔한 집처럼 보이고 치키는 동남아시아에 어울릴 듯하다. 제일 충격적인 집은 어도비인데 중동, 북 아프리카 사막 지대의 건축물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어도비가 포토샵 제작한 회사 이름인 줄만 알았지 원주민 가옥의 한 형태를 가리키는 말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원래 어도비는 벽돌을 뜻하는 스페인어로 벽돌을 쌓아 만든 집이기에 어도비라 부른다고 한다. 어도비가 사막 한가운데에 놓인 건물을 떠올리게끔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현재 애리조나라 불리는 지역에 지어졌던 집이기 때문이다. 애리조나는 미국에서 뜨겁고 건조한 사막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로 유명하다. 치키가 자리했던 플로리다는 가만히 있어도 땀이 줄줄 나는 습한 늪지대이고 플랭크하우스가 주를 이루었던 브리티시 컬럼비아는 우거진 숲과 높은 산이 절경을 이룬다. 티피는 와이오밍, 콜로라도에 지어졌던 이동식 텐트로 두 개의 주는 몽골, 중앙아시아와 같은 스텝 초원 지대다. 티피가 몽골족의 게르, 투르크족의 유르트와 함께 이동식 텐트라는 공통점이 있다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북미가 워낙 방대해 육대륙의 축소판이나 다름없다 보니 자연스럽게 집의 형태 또한 전세계 주거 문화가 공존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원주민은 엉성한 천막을 치고 산다는 식의 편견을 갖고 있잖나. 나도 그중 한 명이었는지라 무지와 부족한 상상력을 자성했다. 조금만 깊게 생각해도 전세계에서 가장 넓은 국토를 가진 나라에 속하는 캐나다, 미국의 거주 문화가 전역에 걸쳐 동일할 리 없는데 섬이나 마찬가지인 이 땅에서 나고 자란지라 나도 사고의 폭이 좁고 한계가 뚜렷한 한국인 인증 확실히 했다.
Tumblr media
동서를 막론하고 옛사람들은 식량 확보가 최우선 과제였던 탓인지 동아시아의 절기처럼 원주민들도 각 부족에 따라 유목, 사냥, 농사를 기준으로 달을 구분했던 모양이다. 원주민 달력에 의하면 지금 우리는 산딸기 익어가는 달을 지나 7월 말에 접어들고 있다. 7, 8월과 11월, 12월은 비워져 있어서 원주민들도 혹독한 더위와 추위의 계절은 큰일 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겼던 것 같다. 원주민에 대한 또다른 편견이 그들은 강인해 (이런 표현 쓰기 싫지만) 문명인과는 달리 열악한 조건도 잘 견딘다는 속설인데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 같은 사람이니 원주민들도 쉴 때는 쉬면서 재충전의 시간을 가져야 하지 않겠나. 지금이야 직장 다니거나 자영업 하느라 휴가도 내기 힘든 게 현대인의 일상이지만 과거에는 ��여름 더위를 피하려 새벽부터 아침까지만 일하고 겨울은 농사를 못 지었다. 우리도 원주민처럼 살았지만 어느새 잊어버리고 그들은 다른 차원의 신비로운 존재라 인식해온 경향도 없지 않다. 체로키족은 3월이 마음을 움직이게 한다고 느꼈다니 이런 점도 똑닮았다. 봄이 있는 곳이라면 괜스레 붕 떠있고 설레는 분위기가 형성되고는 한다. 자연이 깨어나지 막상 사람에게는 새로운 사랑이 나타나지도 않는데 쓸데없이 기대를 품는다. 계절이 주는 감정이 일종의 문화로 자리잡는 현상을 보면 인간이 환경의 변화에 민감함을 깨닫게 된다.
Tumblr media
전시장 곳곳에 원주민들의 격언이 적혀 있는데 하나하나 읽을 때마다 탁월한 비유와 발상, 지혜의 깊이에 감탄을 거듭했다. 현재까지 구전되는 격언 가운데 관객들의 마음을 확 사로잡을 말 위주로 뽑았겠지만 벽에 쓰인 격언이 적지 않음에도 허튼소리가 전무한 것은 언어 문화가 풍요로워야 가능하다. 한때 원주민들의 말을 모은 책과 고요한 전통 음악을 수록한 컴필레이션이 베스트셀러로 사랑받았던 적이 있다. 나는 특정 집단을 낭만화하는 경향도 일종의 차별이라 여기는지라 굳이 유행을 따르지 않았으나 인기를 끌었던 이유는 알겠다. 특히 호피족 잠언을 읽고 원주민들이 인간과 세계를 해석하는 관점 자체가 우리와는 분명 다름을 알게 됐는데, 한국이 속한 유교 문화권에서는 되도록 감정과 표현을 자제하는 언행을 미덕이라 강요해 왔잖나. 요즘에 그리 가르치면 무슨 조선시대냐며 비웃음을 산다 한들 외양만 현대일 뿐 내면의 유교맨을 못 버린 탓에 아직 만연한 엄숙주의, 억압된 분위기가 일으키는 사회적 피로도가 극심하다. 그래서 울음은 나약하고 볼썽사나운 짓이 아니며 해방이자 진심이라는 내용이 크게 와닿았다. 자연보다 사람들 사이의 평화가 더 예쁘다는 오마하족 잠언은 팔레스타인에서 벌어지는 참극이나 최근 한반도의 불안한 정세를 떠올리게 해 울림을 준다. 막상 전쟁 터지면 바로 튈 놈들 때문에 전쟁의 추악함 따위 체득하기 싫다. 예쁜 평화만 보고 듣고 겪고 싶다. 평화의 아름다움을 모르는 놈들은 이세상에 너무 유해하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원주민의 생애는 독특한 요람에서 시작한다. 딱딱한 나무 판자를 대고 자수를 놓거나 구슬, 술로 장식한 빳빳한 천에 가죽끈을 달아 아기를 구속하는 형태라 처음 접한 사람 눈에는 다소 충격적일 수 있다. 예전에 본 다큐멘터리에서 어떤 부족인지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 한 엄마가 전시된 유물과 비슷한 요람에 아기를 누이고 끈을 조이면서 꽉 맬수록 아기가 건강하게 자란다는 말을 하길래 고개를 갸웃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의문은 곧 해소됐는데, 엄마가 하루 종일 이곳저곳을 쉴 새 없이 다니며 일을 하는 동시에 아기도 돌봐야 했기에 단단한 요람은 필수불가결한 육아 아이템이었다. 저런 요람은 유목 생활을 하는 중앙아시아의 일부 민족과 북유럽의 사미족, 중남미 원주민도 사용했으며 세부 양식에는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인 형태는 동일하다. 다른 가족에게 아기를 맡기는 대신 밀착하여 데리고 다니는 관습은 아기가 부모와 이웃의 언행, 주변 환경을 일찍이 보고 들으며 공동체의 삶과 대자연을 빨리 익히기에 좋은 방식이다. 얼마나 빨리 배우기를 바랐는지 고작 1년 정도 쓸 요람에 작은 신까지 달았는데 일하기도 바쁜 엄마가 육아의 짐을 덜고 자녀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보탬이 되길 기원하는 간절함이 느껴져 귀엽지만 애틋하게 보이기도 했다.
Tumblr media
부족과 지역마다 요람 속 아기를 데리고 다니는 방법도 제각각이다. 평소에는 그냥 안고 지내다가 원거리로 나갈 시에는 갖가지 방법을 쓰는데, 나무 손잡이를 잡아 바구니 들듯 옮기기도 하고 폭이 넓은 끈을 달아서 크로스백처럼 매거나 이마에 끈을 이는 식으로 등에 지고 다니기도 한다. 당최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면 고산지대에서 찻잎을 따거나 짐을 지는 여인을 떠올려 보자. 큰 바구니에 끈을 고정해 이마에 얹어 아무리 무거운 짐도 거뜬히 옮기잖나. 앞서 소개한 요람은 대평원 부족의 요람으로 말에 매달고 이동한다는 설명이 있길래 대체 어떻게 하는지 감도 잡히지 않았는데 모형을 이용해 정말 반듯이 세운 모습을 보여주니까 당황한 나머지 헛웃음이 나왔다. 말에 매달지 않을 때도 나무에 기대어 세우는 경우가 많았다기에 아기의 허리와 다리는 괜찮았을까 걱정했는데 실제로 연구 결과 고관절 발달에 이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 오늘날에는 요람이 장식으로 기능하고 있다. 요람과 함께 말에 올린 안장은 여성용이며 손잡이와 등받이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여성이 타는 말을 꾸미는 덮개는 배에 닿을 만큼 길고 전체적으로 화려한 편인 반면 들소 몰기가 주업이고 전투까지 나서야 했던 남성은 짧은 덮개와 낮은 안장을 올렸다.
Tumblr media
아메리카 대륙에는 말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스페인 침략자들이 말을 끌고 오면서 원주민도 말을 타게 됐다. 비록 외래종일지언정 말도 대자연의 일부라 받아들인 원주민은 말을 매우 아껴 장식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 그중 흥미로운 부분은 굴레로 이마 덮개가 아름다워 눈에 띄기도 하나 재갈에 달린 금속 장식의 유래 때문이다. 다수의 체인을 주렁주렁 단 재갈은 무어인이 원조라 한다. 왠지 다른 장식에 비해 이질적이라 생각했는데 역시 사연이 있었다. 무어인은 스페인 남부를 지배하던 아랍-이마지겐계 무슬림을 가리키는 말로 그들은 강력한 이슬람 왕국을 세워 전성기를 누렸다. 우리가 으레 스페인 고유의 전통이라 여기는 투우, 플라멩코는 무어인 문화에서 비롯되었고 반드시 들러야 할 관광 명소로 꼽히는 알람브라 궁전 또한 무어인의 작품이다. 가톨릭 세력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찬란했던 무어 왕국은 자취를 감추고 그 후손들은 북아프리카로 남하했지만 스페인에 끼친 영향력은 사라지지 않고 북미 원주민에게 다다랐다니 예기치 못한 쪽으로 흐르기에 역사가 재미있는 것이다.
Tumblr media
대평원 부족에 속한 압사로가족이 말에 얹던 안장 덮개로 생김새는 장식용같아도 적의 공격에 말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구다. 양쪽에 얹어 말의 약점을 커버했는데 실물은 꽤 크고 투박해 정교한 공예품인 여성용 말 꾸미개와 대조적이다. 압사로가족의 안장 덮개는 고작 여섯 점만 남아있다고 하니 진짜 보물을 봤다. 대평원 부족의 남성은 여느 유목민이 그렇듯이 말 위에서 살다시피 해 저런 덮개야 숱했을 테다. 당시에는 일상 용품에 지나지 않던 물건이 지금은 희귀해져 박물관에서 고이 모시는 처지가 됐는데, 그동안 원주민에게 무슨 일이 벌어진걸까.
Tumblr media
티피를 축소한 모형. 여자 아이들이 갖고 노는 장난감 용도로 만들어졌다. 티피는 주로 여성이 설치했기에 이 모형은 장난감 이상의 의미를 지녀 소녀들에게 티피에 대해 가르칠 목적도 있었다. 티피는 우선 중심부에 나무 장대를 박고 들소 가죽을 덮는다. 나중에 들소의 개체수가 급감하자 가죽은 캔버스 천으로 대체했다. 그림은 부족 역사 혹은 개인의 중대사를 다루어 신성한 의식을 치른 뒤 그려졌다. 글만 읽으면 쉬울 듯하지만 모형이 아닌 실물을 보면 진짜 장난이 아니다. 전시장에 실물도 함께 세워져 있는데 대중 매체를 통해 접하여 머릿속에 박힌 이미지보다 규모가 훨씬 커서 압도 당했는지라 여성에게 티피를 맡겼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고생은 여자가 다 하나 오해할 수 있지만 세우기에 기술이 필요하고 거대한 만큼 티피는 여성의 힘과 권위를 상징했다. 북미 원주민 공동체는 대개 성평등 사회다. 개신교로 개종한 부족이 늘어나면서 여성의 권리가 축소되었다고는 하나 원주민 문화에서 여성은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대평원 부족은 들소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며 유목 생활을 해 티피 설치와 해체를 반복하는 데 익숙했다. 중앙아시아의 유목민에게는 양과 염소, 북유럽 사미족에게는 순록이 인간에게 모든 것을 내어 주는 존귀한 동물이었듯이 대평원 부족에게는 들소가 거의 삶의 전부였다. 그러나 원주민과 들소의 공생은 메이플라워호가 정박하면서 끝나고 말았다. 아스테카인이 스페인 침략자를 환대했던 것처럼 북미 원주민도 낯선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백인을 도왔으나 정착하여 그들만의 도시를 건설한 백인은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고 본격적으로 야욕을 드러냈다. 미국 정부는 동서를 가로지르는 대륙 횡단 철도를 깔기 위해 들소를 죽여도 좋다는 허가를 내렸고 이에 격분한 대평원 부족은 들소와 공동체의 전통, 정체성을 수호하려 맹렬하게 맞섰다. 이러한 투쟁은 골드 러시를 노린 백인이 떼로 몰려온 서부 해안가, 흑인 노예를 부리는 백인들이 구축한 대농장이 급증하던 남부에서도 일어났다. 오랜 투쟁 끝에 안타깝게도 원주민이 패배했고 잔혹한 대학살로 이어졌다. 원하는 바를 모두 이루었음에도 백인들은 만족하지 않았다. 그들은 원주민을 야만스럽고 흉포한 미개인으로 묘사해 침략과 학살을 정당화하려 했다. 할리우드는 백인 프로파간다 확산의 일등공신이었다. 고전 서부 영화를 보면 원주민은 평화로운 (그러나 너무 하얗기만 해서 섬뜩한) 백인 거주지에 갑자기 들이닥쳐 살육과 파괴를 일삼는 침략자이고 챙이 굽은 모자를 쓴 카우보이가 나타나 원주민을 섬멸하는 영웅으로 그려진다. 원주민은 사유도 안 하고 감정을 느끼지도 않으며 뜬금없이 백인을 공격하는 재앙인양 공포를 선동하는데 문제는 할리우드의 문화 권력이 전세계를 점령하면서 대중이 이를 사실이라 믿게 되었다는 점이다. 조상 대대로 살던 곳에서 쫓겨나 기존의 삶을 빼앗기고 가족마저 잃어야 했던 원주민이 어째서 역사 왜곡에 의해 모욕까지 당해야 하는가. 정작 백인이야말로 재앙 그 자체였는데 말이다.
Tumblr media
사막 지대 원주민의 건축물이었던 어도비를 재현한 미니어처다. 어도비는 지푸라기를 섞은 진흙으로 벽을 다지며 쌓아 올리는 다층 주택으로 대충 봐도 티피와는 판이한 구조다. 티피는 유목 생활에 최적화된 기동력과 실용성을 중시한 반면 어도비는 정주민 주택의 표본이다. 어딘가로 떠날 예정 없이 평생 한 자리에 머물 목적으로 지은 집인 것이다. 평평한 지붕 위에 건물을 계단식으로 올리는 방식은 아프가니스탄, 아라비아 반도의 전통 가옥과 흡사해 볼수록 신기했다. 흙집은 낮에 뜨겁고 건조하다가 해 떨어지기가 무섭게 기온이 뚝 떨어지는 고산 지대, 사막 기후의 변덕으로부터 몸을 보호해준다. 낮에는 그늘을 형성하고 통풍이 잘 되어 시원하고 벽에 온기를 품고 있어서 밤에 따뜻해지는 원리다. 전혀 다른 대륙에서 사는 사람들인데도 기후가 같다는 이유로 똑 닮은 발상을 하다니 사람은 각자 다르지만 동류임을 깨닫게 된다.
Tumblr media
건축 외에 복식도 비슷하다. 사진 속 토기를 머리에 이고 있는 사막의 원주민 주니족 여성이 검은 천을 두른 모습, 굉장히 익숙하지 않나. 두 사람의 복장은 아랍에서 주로 입는 낙낙한 아바야나 이란의 차도르와 매우 흡사한데 소재만 다르고 형태는 동일하다. 중동에서는 얇고 때로는 안이 살짝 비치기도 하는 실크, 쉬폰 등 부드러운 원단을 사용하나 사막의 원주민은 사진으로 추측하건대 펠트를 쓰지 않았나 싶다. 펠트는 북아프리카의 아틀라스 산맥에 터를 잡은 이마지겐도 전통 의상에 쓰는 직물이다. 일교차가 심한 기후에 적합하며 갑작스레 비와 눈이 올 시에도 방수 기능이 있어 용이하다. 기후변화 탓에 애리조나까지 전례가 없던 폭우가 내리기도 했지만 원주민이 살던 시절에는 그런 변수가 없었고 주니족이 목축을 했으므로 양이 흔해 펠트를 썼으리라 본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주니족과 지아족의 토기로 서부 사막 지대 원주민은 토기를 잘 빚기로 유명하다고 한다. 균형 잡힌 곡선형 윤곽과 기하학적인 경향이 있는 무늬, 갈색과 검은색의 대조로 이루어진 단순한 배색은 오늘날 미적 감각에도 부합해 아름답다. 토기에는 주변에 실재하던 동물을 그렸지만 상상 속 동물을 그리기도 했다. 특히 새가 상상의 모티프가 되었는데, 사진 속 토기에 그려진 새도 현실과는 동떨어진 느낌을 자아내 사막 지대 원주민의 이상이 어떠했는지 짐작케 한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푸에블로족이 고대에 만든 토기. 제작 시기는 11-13세기로 한국의 고려시대 즈음이 된다. 푸에블로는 스페인 침략자들이 서남부의 여러 원주민을 식민 통치하기 쉽게 통칭한 말이다. 현재 21개의 부족이 푸에블로에 속해 있으며 주니족과 지아족도 그 일원이다. 중남미 점령에 잔뜩 고무된 스페인은 곧 북미를 노리는데 서남부에 그들만의 식민지를 세우고 원주민을 탄압했다. 스페인 침략자는 원주민이 고유의 종교를 버리고 가톨릭으로 개종하기를 강요했으며 이를 거부할 경우 학살도 서슴지 않았다. 채찍과 당근식으로 스페인 침략자는 소, 말, 양과 같은 가축과 농업 기술, 농기구를 제공하고 다른 지역 원주민의 위협을 막아 친화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를 취했으나 그들이 가축, 신기술과 함께 가져온 질병으로 인해 면역력이 없었던 원주민이 다수 사망하는 비극이 일어났다. 설상가상 지독한 가뭄이 발생해 식량이 부족해지자 원주민은 고유의 종교 의식을 치렀는데 스페인 침략자는 이를 이단이라 규정하여 원주민 종교 지도자를 박해하고 일부 처형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백여 년에 가까운 식민 통치와 식량난에 분개한 푸에블로족은 반란을 일으켜 스페인 침략자를 몰아내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부족의 수가 많아 통합을 이루�� 못했고 스페인측과 협상하여 우호 관계를 맺게 된다. 점차 국력이 쇠락한 스페인은 물러갔지만 새로운 침략자인 미국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푸에블로의 투쟁은 끝나지 않고 있다. 푸에블로라는 명칭은 스페인 침략자들이 멋대로 붙인 말임에도 지금은 부족 연합의 자부심이 되었다는 게 역사의 아이러니다.
사진 속 토기는 오리 모양의 물병과 원형 접시인데 서프라이즈라도 하듯이 물병 손잡이에 그려 넣은 도마뱀이 정말 귀여워서 피식 웃음이 나왔다. 자세히 안 보면 모르고 지나치기 십상이다. 물병도 그렇거니와 원형 접시에 그려진 무늬의 단순함에서 세련미가 돋보여 앞서 본 곡선형 토기와 비교했을 때 외부의 침략에도 근본은 결코 사라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푸에블로 토기의 수준이 높은 것은 그들의 거주지만 고려해봐도 당연한 일이다. 원래 토기 혹은 도자기를 빚으려면 양질의 흙이 있어야 하는데 탄탄하고 짜임새있는 구조의 어도비가 저절로 세워졌겠는가. 흙의 질이 좋고 원주민이 흙을 다루는 기술이 뛰어나기에 어도비를 지을 수 있었으며 빼어난 토기 제작도 가능했던 것이다. 여기서 자연과 인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원주민의 세계관을 재차 실감하게 된다.
Tumblr media
디자인과 실용성 모두 뛰어나 명성이 높은 나바호족의 직물로 왼쪽부터 시계 방향 순서에 따라 1단계, 2단계, 3단계로 나뉜다. 초기에는 직선형의 단순한 무늬만 짜다가 백인 침략자의 영향을 받으면서 무늬가 다양해지고 재료에도 변화가 생긴다. 원래 나바호족은 자연이 준 산물로 천연 염색을 했으나 3단계 직물에 쓰인 쪽빛 실은 인디고로 염색한 것이다. 원주민이 기존의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백인을 배척하지 않고 그들의 문화를 수용하려 마음을 열었다는 증거인데, 불행하게도 백인 침략자는 호의에 호의로 응답하지 않는 자들이었다.
Tumblr media
나바호족의 직조 기술은 계속 발전하여 점점 정교한 양식을 표현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전시된 직물을 모두 담으려 하다보니 사진상으로는 작아 보이지만 실물은 무척 커서 화려한 색채의 향연에 황홀한 기분마저 든다. 하지만 오른쪽에 걸린 직물은 원주민과 어울리지 않을 법한 무늬로 짜여 있어 이질감이 심한 탓에 어색하다. 과거 나바호족의 직물은 어깨에 두르는 옷과 바닥을 덮는 양탄자로 쓰는 일상품이자 주요 교역품이었지만 그들의 터전이 미국화되면서 용도가 애매해졌다.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나바호족은 다시 변화를 꿰했고 관광객의 이목을 끌려 십자가와 성조기 무늬를 짠 직물을 기념품으로 내놓았다. 크리스트교의 상징과 미국 정부를 대표하는 국기를 접목한 (그리고 흉한) 무늬에 백인은 환호했을지 몰라도 침략자의 환심을 사려 그들의 상징을 손으로 짜야 했던 나바호 여인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과연 나바호족은 미국이 그들을 보호하는 조국이라 여길까. 나바호족은 모계 사회이며 직물 짜기는 여성의 몫으로 모계를 통해 전승된다. 전시장 한편에 놓인 작은 모니터를 통해 직조 기술을 계승, 현대적인 양식의 직물을 짜는 나바호족 아티스트가 작업에 대해 설명하는 영상을 봤다. 우리가 보기에는 황량하기만 한 사막에서 그는 다채로운 색상을 발견하고 영감을 얻어 실부터 뽑아 염색한 뒤 연주를 하듯 손을 움직이며 아름다운 직물을 뚝딱 만들어냈다. 어머니의 어머니 또 그 어머니로 거슬러 가고 딸과 그 딸이 이어 갈 전통에 나바호 여인은 자부심을 드러냈다. 오늘날 백인의 생각도 많이 바뀌어 더이상 성조기를 짠 직물 따위는 인기가 없고 나바호 고유의 디자인을 살린 러그가 사랑받고 있다. 격동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도 정체성을 잃지 않은 나바호족의 끈기와 강인함이 마침내 전통으로의 회귀를 이끌어 낸 결실이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캐나다 퀘벡 원주민 웬다트족의 식탁보다. 처음에는 카페트인 줄 착각할 만큼 크고 무늬도 백인 취향에 가까워 보여서 여러 유물과는 결이 다르게 느껴졌지만 예로부터 웬다트족의 자수는 섬세하고 화려하기로 정평이 났다고 한다. 무늬도 그들 고유의 것이며 꽃 외에 추상적인 문양, 동물, 부족의 역사를 수놓기도 한다. 엘크의 털을 뽑은 실을 쓰기 때문인지 양모와는 빛깔이나 재질에 차이가 있었다. 미국만 벗어나도 환경이 바뀌니까 정서가 확 달라진다. 자수 기술이 얼마나 뛰어나느냐면 꽃 무늬를 삼차원에 가깝게 수놓은지라 보 위에 진짜 꽃이 핀 것 같다. 수예를 취미로 삼거나 관심이 많은 사람은 아마 경탄을 금치 못할 성싶다. 문외한이 봐도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데 잘 아는 이들은 오죽할까. 웬다트족에게 자수는 여성의 능력을 상징하여 수를 놓는 여성은 존경받아 왔으나 명맥이 끊기는 추세인지 사진 속 식탁보처럼 큰 작품은 이제 몇 점 없다고 한다. 어쩐지 웬다트족 유물은 하나뿐이라 아쉬웠는데 전통 자수 자체가 귀해 저것만 가져올 수 있었던 모양이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한때 가장 부유한 원주민이라 불렸던 오세이지족의 덮개다. 여성복이며 평상시는 물론 중요한 의식, 축제용 의복으로 흔히 착용했다. 덮개에 두른 장식의 색감과 긴 소매를 맞댄 양식이 우리네 원삼과 흡사해 친근한 느낌이 들어 자꾸 눈길이 갔다. 옷을 보니 오세이지족은 어떤 사람들인지 궁금해져서 작년 오스카 작품상에 노미네이트된 영화 '플라워 킬링 문' 을 봤다. 마틴 스콜세지가 감독,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릴리 글래드스톤이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공포의 통치' 라 명명된 오세이지족을 겨냥한 연쇄 살인 사건을 다루고 있다. 오세이지족은 북유럽 백인보다도 평균 신장이 큰 부족으로 남다른 피지컬과 전투력 덕분에 ���국 중서부에서 우위권을 확보했다. 프랑스가 침투하자 그들과 대립이 아닌 동맹을 택하여 주변 부족을 견제했고 교역을 통해 이롭다고 판단되는 서구 문물만 수용했다. 가톨릭 사제들이 오세이지족을 개종시키려 끈질기게 질척거리면서 족장을 비롯한 원주민 대표단을 프랑스까지 뫼시고 가 파리 관광도 하고 베르사유에서 루이 15세와 접견도 했지만 개종자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대다수의 오세이지족은 우주와 세상만물을 창조한 절대자인 와콘다를 경외했으므로 북미에 천연두가 확산되던 최악의 상황에서 가톨릭 사제만 남아 백신까지 접종해주었음에도 예수가 와콘다를 이기지 못했다. 개종자들조차 와콘다를 향한 믿음을 완전히 버리지 않았으니 오세이지족의 세계관을 지배하는 전통 신앙의 힘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영화는 오세이지 공동체가 절규하는 가운데 영적 지도자가 기도문을 외며 땅에 의식용 파이프를 묻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오세이지족은 용맹하고 영리한 전략을 구사하며 살아남았으나 미국이 중서부를 점령한 뒤 프랑스가 퇴각하여 아군을 잃자 전쟁에서 대패해 황무지로 쫓겨나고 만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고 했던가. 오세이지족이 새로 정착한 땅에서 석유가 터지고 드물게 토지 소유권을 산 원주민이었던 그들은 순식간에 막대한 부를 손에 쥐게 된다. 앞서 쓴 '가장 부유한 원주민' 이라는 수식어는 영화에 등장하는 문장으로 당시 오세이지족은 중서부뿐만 아니라 미 전역을 죄다 가진 양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됐다. 그러나 오세이지족의 지혜만으로는 백인의 비열한 함정을 피해 가기가 버거웠다. 미국 정부는 오세이지족의 자립 능력이 부족하다는 명분을 내세워 그들이 석유를 시추하려면 백인 후원자를 두어야 한다는 법률을 제정했다. 오세이지족은 그들 땅에서 생산된 석유값을 백인의 손을 거쳐야 '배급' 받을 수 있었고 생활비, 부동산, 보험 등 시시콜콜한 경제적 의사 결정도 백인에게 허락을 얻어야 가능했다. 보호자로 임명된 백인들은 각자 담당한 오세이지족의 지분에 따라 수당을 받으며 부당한 이익을 챙겼다. 로버트 드 니로가 연기한 빌 헤일이 바로 그런 식으로 지역을 장악하고 오세이지족을 은밀히 가스라이팅하여 진정한 수호자라 가장하면서 뒤로는 땅을 모조리 빼앗으려 살인을 획책했던 사이코패스다. 여자 주인공 몰리 (릴리 글래드스톤) 는 사리 분별을 잘하고 다른 부족민과 달리 타인을 의심하는 성격인데도 백인 변호사를 면담할 때마다 스스로 금치산자라 말해 무슨 맥락인지 헷갈렸는데, 배경을 파악해보니 원주민을 멸시하는 법률 탓에 마땅히 본인 소유인 돈을 받으려 자기를 낮추는 말을 해야 했던 것이다. 실제로 오세이지족은 복잡한 현대 경제, 계약 관계를 어려워했고 어엿한 직업이 없어 방탕한 생활을 하거나 우울증, 무기력증, 알코올 중독에 빠지는 경우가 적지 않았지만 이는 그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지 않고 오히려 무지하도록 유도해 이용만 한 미국 정부의 잘못이지 오세이지족의 능력과는 무관하다. 빌 헤일은 FBI가 설립 이래 최초로 해결한 연쇄 살인 사건 피의자라 이름이나마 알려진 편이고 숱한 백인이 오세이지족의 땅과 재산을 빼앗으려 극악무도한 범죄를 저질렀다. 약 한 세기가 지나서야 오세이지족은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걸어 배상금을 받게 됐다. 얼마를 주든 한 부족이 절멸할 뻔한 사건이라 그깟 돈이 문제가 아니다. 죄를 지어놓고도 소수자에게는 뻔뻔하게 고개를 쳐드는 미국 정부가 잘못을 인정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세 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이 부담스러워 못 보겠다는 반응이 많던데 그리 사소한 이유로 포기하기에는 아까운 작품이다. 영화에서 몰리와 부족 여성들이 착용하는 덮개의 장식이 다양하고 개성이 있어 암울한 내용과는 상반되게 눈은 즐거웠다. 어니스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와 결혼하는 장면에서 몰리와 그의 자매들이 입었던 옷이 프랑스 군복과 오세이지 전통 복식을 혼합한 생김새라 흥미로웠는데 전시장에는 없었다. 신부가 입기에는 몹시 특이한 복장이어서 뇌리에 확실히 각인되었기에 실물을 접할 기회가 없다는 점이 아쉽다. 영화를 본 사람들은 느꼈을 테지만 남자 주인공의 이름이 모순의 극치이지 않나. 비록 스펠링은 다르나 정직하다는 뜻의 Honest와 발음이 비슷한데, 몰리를 진심으로 사랑하면서 삼촌인 빌이 꾸민 음모를 알고도 삼촌은커녕 공범인 남동생 바이런에게 두들겨 맞고 기가 죽어 끝까지 진실을 말하지 않는 그의 모습은 꾸며진 선량함과 탐욕을 오가는 백인의 실상 그 자체였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왼편은 대평원 부족에 속한 라코타족 여성의 전통 의상이며 옆에 나란히 놓인 옷은 라코타족과 같은 대평원 부족인 압사로가족의 여성복이다. 라코타족의 전통 의상은 우리가 북미 원주민 복장이라 하면 흔히 떠올리는 형태에 가장 가깝다. 평범한 옷은 아니고 '훈카' 라는 라코타족만의 고유한 의식을 치른 뒤 입던 특별한 의복이라 한다. 훈카는 개인이나 한 가족이 타인 혹은 다른 가족과 결연 관계를 맺는 의식으로 입양과 비슷한 형식을 취해 혼인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가족을 확장하면서 부족의 결속력을 다지는 기능을 했다. 사진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등 부분에 독수리, 청둥오리 깃털이 달려 있다면 훈카 의식을 치른 사람이라는 뜻이다. 훈카는 철저하게 혈연 중심의 가족 제도에 익숙한 한국인으로서는 조금 난해한 개념이다. 하지만 칭기스칸이 굴복시킨 부족의 고아들을 입양하고 다른 부족이라도 본인을 인정한다면 받아들여 그들을 몽골족과 평등하게 대우해 외연의 확장을 꿰한 전례가 있어 결연은 뿔뿔이 흩어져 사는 유목민이 뭉치기에 좋은 방식일 듯하다. 그래서 정주민이 된 지 오래인 집단은 가족에 부여하는 의미와 문화가 전혀 달라 이해하기 어려울 만하다.
초록색과 붉은색의 대비가 돋보이는 압사로가족 여성복에서 눈여겨봐야 할 포인트는 옷을 둘러싼 장식이다. 매끈한 조약돌을 주렁주렁 매단 듯하지만 사실 엘크의 이빨이다. 게다가 모든 이빨도 아니고 수컷 엘크의 앞니 두 개만을 뽑아 모은 것이다. 과거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여성의 장신구는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통했다. 장신구의 소재나 개수, 디자인을 보고 패용한 여성의 지위를 곧장 알 수 있었는데, 엘크의 이빨부터 귀했고 앞니는 더욱 진귀했을 테니 저만큼의 개수라면 옷의 주인은 부족 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했던 여성임이 분명하다. 그 여성을 위해 희생된 수컷 엘크 친구들의 영혼이 어디에 있든 자유롭게 뛰놀고 있기를 바란다.
한 포스트당 이미지를 서른 장만 올릴 수 있다는 텀블러의 무능한 규정때문에 나머지 관람기는 다음 포스트에 이어 쓰도록 하겠다. 그런데 예전에는 텍스트로 작성하면 상관없지 않았던가.
0 notes
linnealong · 8 months ago
Text
Gallery visit
Tumblr media Tumblr media
(The work cannot be recorded, but it can be taken as non-commercial used photos)
I went to AGNSW to see part of the Biennale of Sydney exhibition and I accidentally found Len Lye's work, but I found that it was not as good as the effect I saw on Youtube.
I think this is the influence of the exhibition medium, which made me decide that I will not put the work too small but to show a more macro world.
But the sound design is absolutely beautiful…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