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Explore tagged Tumblr posts
yesdramas · 1 year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HIRTY-NINE 서른, 아홉 — 2022, dir. Kim Sang Ho → @userdramas get to know me bingo: generation → @userdramas event 12: loss → @asiandramanet event 01 ㅡ get to know the members → @asiandramanet creator bingo - quotes
[insp]
153 notes · View notes
campingtomato · 2 months ago
Text
서른 넘어야 그렇게 알았다
내 안의 당신이 흐느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울부짖는 아이의 얼굴을 들여다보듯
짜디짠 거품 같은 눈물을 향해
괜찮아
왜 그래,가 아니라
괜찮아.
이제 괜찮아.
괜찮아, 한강
18 notes · View notes
dreamlift · 5 months ago
Text
올해 중반이 되고 느낀 점
정확히 서른 중반이 넘어가려는 시점에서 다시 깨닫는 부분
사람들은 생각보다 훨씬 더 타인에게 관심이 없다.
자기가 무례한 줄 모르는 사람이 엄청 많다.
내게 잘해준 사람에게 진심을 다한다.
잘해주고픈 대상이 있다면 그렇다고 너무 기대는 하지 말자.
세상에 나를 챙겨 줄 가장 사람은 나 밖에 없다.
그러니까 나나 잘하자.
예전에 생각만 했다면 이제 실행을 해야지
30 notes · View notes
nanaosaki3940 · 8 months ago
Text
I Can't Get Enough Of You [Manhwa/Webtoon]
To me, the "Tsundere Demon Lord" Kim Taejoon is the CEO of the century in Korean manhwa/webtoon😍🥰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Kim Taejoon from "I Can't Get Enough Of You" (I Can't Wait To Eat You) or 못 잡아먹어서 안달
Things I love about him:
His dimples
His smiles/smirks
His face/beauty
His nosy-tsundere personality
His pettiness
His straightforwardness
His silliness/stupidity
His flirty attitude... so on and so forth...
Like Kim Taejoon isn't your typical cold angry CEO male lead that we usually see in other manhwa/webtoons. He's hilarious, funny, expressive, and silly. He gets easily worked up when he discovers that the female lead has an easy simple password for her phone. He's nosy when it comes to the female lead's relationship with her ex-boyfriend. He always bickers and banters with her yet actively seeks her out to see if she's doing okay or not. In short, Kim Taejoon is like a child despite being an adult in his 30s, and I love him for that!! Also, not to mention, my man is so fucking pretty like goddamn!! His dimples can live rent-free in my mind for life, yo!! 😍💖 😘
Check out the manhwa on these websites -
Follow the artist/author on Twitter - 퀀퀀 (@quanquan4127)
39 notes · View notes
humans-of-seoul · 9 months ago
Text
Tumblr media
(왼쪽) “서른 살의 제가 지금의 저를 본다면, 좀 귀여울것 같아요. 너무 서툰 게 많거든요. 옷 취향도 그렇고, 돈 쓰는 것도 귀여운 인형 같은 데에다 쓰고 그렇거든요. '뭐 그런데 돈을 썼나' 라고 생각할 거 같아요. 그런데도 그런데 돈 쓰는 건 멈출 수가 없어요.”
(Left) “I feel like my 30-year-old self is going to look back on the me I am right now fondly. I’m just bumbling along. My style isn’t great, and I’m always spending my money on things like cute figurines. My future self is probably going to wonder why I spent money like this. Still, I can’t stop spending money on these things.”
20 notes · View notes
j1neontherockingchair · 9 months ago
Text
요 근래에 자주 드는 생각이 있다. 서른 즈음이 되고 보니 이제야 드는 생각은 나는 아직도 나 자신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 누가 가장 나를 잘 알까? 엄마인가? 가장 친한 친구인가? 오래 만나온 남자친구인가? 그들이 말하는 나에 대한 정보를 벤다이어그램으로 그려보면, 몇가지 동그라미 영역에 교집합도 있을 것이고(아마 내가 타인에게 주로 주고 있는 정보) 여집합이 분명 존재할 것이다. 최근에 나는 종종 이 안에 가장 작은 동그라미 정도이지 않을 까 생각도 든다. 수만치 바뀌는 나의 감정과 이성적인 판단 기준들의 흐름을 자각했을 때는 제 3자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과 같이 매우 낯선 부분이다. 흥미롭기도 하지만 두렵기도 하다. 난 어쩌면 나조차도 알지 못하는 나의 여집합이 있을 것이라는 사실에, 언제쯤이면 나 자신에 대해 통달할 수 있을지 궁금하기도 하지만 그와 동시에 절망적이기도 하다. 앞으로 나도 모르는 나의 모습을 미주하였을 때 그 낯설음과 당황스러움을 점점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 같다눈 생각을 한다. 나는 수없이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 떠올리는 사람인데, 내가 생각해오던 바와는 달리 나이가 먹으면 먹을 수록 그 방향성이 희미해지고 방황하다 지쳐 잠들거나 미디어에 내 뇌를 맡긴다. 다 모르겠으니 엄마 품 속에서 조용히 잠들고 싶다. 현실 생활에 꽤나 지쳤나보다.
Tumblr media
28 notes · View notes
korstudying · 2 years ago
Text
Unraveling the Wonders of the Korean Number System: Counting in Style! 🌟
Today, let's dive into the captivating world of numbers in the Korean language. Get ready to unlock the secrets of the Korean number system and take your counting skills to the next level! 🎲
🕰️ Counting Systems: In Korean, two counting systems exist. The Native Korean system is used for counting items and general counting, while the Sino-Korean system is employed for dates, time, money, and counting large numbers.
#️⃣ The Native Korean numbering system, also known as Korean Native Numbers or Pure Korean Numbers, is a number system used in Korean to express counting and native Korean words. Unlike the Sino-Korean numbering system, which is based on Chinese characters, the Native Korean system uses unique Korean words for counting.
Here are the Native Korean numbers from 1 to 10:
1 - 하나
2 - 둘 
3 - 셋 
4 - 넷 
5 - 다섯 
6 - 여섯 
7 - 일곱 
8 - 여덟 
9 - 아홉 
10 - 열 
For numbers above 10, the Native Korean system uses the word for 10 (열) as a base unit and adds the numbers 1 to 9. For example:
11 - 열하나 
15 - 열다섯
However, each 10th has it’s own name you add 1-9 to:
20 - 스물 
25 - 스물다섯 
30 - 서른 
40 - 마흔
50 - 쉰
60 - 예순
70 - 일흔
80 - 여든
90 - 아흔
Everything above 99 becomes Sino-Korean. Keep reading to find out more!
The Native Korean system is commonly used for counting objects, ages, and some specific situations in daily life.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ino-Korean system is more prevalent in formal contexts, such as telling time, expressing dates, and discussing large numbers.
#️⃣ Sino-Korean System: The Sino-Korean system utilizes Chinese characters and is commonly used for dates, time, money, and counting large numbers. It provides a systematic way of expressing quantities and has a consistent structure.
Key Sino-Korean Counting Words:
10 - 십
100 - 백
1,000 - 천
10,000 - 만
100,000 - 십만
1,000,000 - 백만
10,000,000 - 천만
100,000,000 - 억
1,000,000,000 - 십억
Combining Sino-Korean Numbers: To express larger numbers, you combine the counting words with the appropriate Sino-Korean numbers. For example:
112 - 백십이
1,345 - 천삼백사십오
10,000 - 만
230,000 - 십만 삼천
2,500,000 - 이백오십만
1,000,000,000 - 십억
The Sino-Korean system is widely used in various contexts, such as telling the time (시, 분), expressing money (원), stating dates (년, 월, 일), and specifying large quantities.
🎲 Fun Fact: In Korea, there's a tradition of celebrating "만" days, which marks special milestones like the 10,000th day since birth or a significant event. It's a fun way to commemorate and cherish special moments!
61 notes · View notes
koreannook · 4 months ago
Text
NATIVE KOREAN NUMBERS.
2024년 8월 16일
안녕하세요 여러분!
Today, we will learn native korean numbers and when do we use them.
Those numbers go from 1 up to 100, it won’t go further. So it’s really easy to learn them, you just have to work a few times with them to get used to them. The way to form these numbers is the same as with sino-korean numbers, but, even more easy.
1 = 하나 (한)
2 = 둘 (두)
3 = 셋 (세)
4 = 넷 (네)
5 = 다섯
6 = 여섯
7 = 일굽
8 = 여덟 (you pronounce this like 여덜)
9 = 아홉
10 = 열
20 = 스물 (스무)
30 = 서른
40 = 마흔
50 = 쉰
60 = 예순
70 = 일흔
80 = 여든
90 = 아흔
100 = 백
Those are the numbers you have to learn. So now, how do we will say 58? 94? 35? 19? It’s easy!
58 = 50 + 8 = 쉰 + 여덟 = 쉰여덟.
94 = 90 + 4 = 아흔 + 넷 = 아흔넷.
35 = 30 + 5 = 서른 + 다섯 = 서른다섯.
19 = 10 + 9 = 열 + 아홉 = 열아홉.
We use these numbers to count (followed by lexical counters) and to say the hours (only the hours! remember that for minutes and seconds we use sino-korean numbers!).
I don’t have all the lexical counters, but i’ll share the ones i have:
명 is used to count people.
Imagine you go to a restaurant, and they ask you how many you are? You will say “2 people/8 people”, so instead of saying “2 사람” we will say 2명. And how do you say that 2? No, it’s not 둘, you have to used the numbers between parenthesis: 두명. In case the number doesn’t have a number between parenthesis, used it as normal.
마리 is used to count animals.
As before, if you want to say you have 45 cows, you will say “cows 45마리”, this will be: 소 (cow) 마흔다섯마리.
As you can see, the extructure is: Sustantive (cow) + number (45) + lexical counter (마리).
개 is used to count objects (any type).
If you already know how to do it with lexical counter for animals, this is the same. Imagine if you want to say you have 6 clocks. So we will say it this way: 6 + clocks (시계) + 개 = 여섯 시계개.
IMPORTANT: Imagine you want to say that you have 600 cows, how do you say it? Remember that i told you native korean numbers only works from 1 to 100? Then, we will used sino-korean numbers to say 600. Every number that goes up to 100, will go with sino-korean numbers.
HOW TO SAY THE HOURS IN KOREAN.
Let’s focus on saying the hours. Korean only used 1 to 12 to say the hours, which means, we can’t say it’s 20:45 pm, we have to say it’s 8:45 pm to be able to say it.
Remember the numbers between parenthesis? Okay, so we will used them here to.
We also have a lexical counter here, and it’s 시.
Hours = native korean numbres.
Minutes + Seconds = sino korean numbers.
Let’s do some examples:
What time is it? = 몇 시예요?
It’s 8:00 = 여덟시예요.
It’s 4:56 = 네시 오십육분이에요.
Koreans don’t say the seconds (neither do we), so no one will tell you seconds if you ask for the time. Next time, i’ll teach you how to say “am/pm” in korean, so you can say it’s 4:56 am or 8:00 pm.
If you have any questions, please, let me know!
4 notes · View notes
strollmeditation · 28 days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서러운 서른 살 나의 이마에
불현듯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을 느끼는 것은,
눈 속에 따 오신 산수유(山茱萸) 붉은 알알이
아직도 내 혈액(血液) 속에 녹아 흐르는 까닭일까.
김종길, '성탄제(聖誕祭)' 8~9연
3 notes · View notes
duuiduui · 8 months ago
Text
주인공 '나'는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작가 자신
 1973년에 당신은 무엇을 하셨나요? 꼭 그해가 아닐지라도 우리는 지난날을 되돌아보았을 때 전환점이 되는 지점을 발견합니다.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서던 해, 깨달음을 얻고 다시 태어나던 해 말입니다. 그런데 바로 그 새로운 시작은 절망의 끝이 아니었던가요? 입구가 곧 출구가 아니었느냐고 하루키는 묻습니다.
 언젠가 하루키는, 전집을 묶으면서 단편들을 손질했지만 초기에 썼던 ��� 작품만은 손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것이 '당시의 나였고 결국은 시간이 흘러도 지금의 나'이기 때문이라고. 그렇다면 무엇이 변치 않는 자신의 모습일까? 잠깐 낮잠이 든 사이에도 나뭇잎이 시퍼렇게 커버리는데 변치 않는 것이 과연 있을까. 우리는 날마다 조금씩 죽어가면서 살고, 주인공 쥐가 말하듯이 "어떤 진보도 결국은 붕괴를 향해 가는데" 언제나 변함없는 나의 모습이란 과연 있을까.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인 라캉은 인간의 욕망을 이렇게 풀이한 적이 있다.
 "길가에서 강도를 만났을 때 돈이 아까워 목숨을 내놓는 바보는 없다. 살기 위해 강도에게 돈을 빼앗긴 우리는 주머니가 텅 비었기에 늘 공허하다. 그래서 무언가에 몰두하고 누군가를  사랑한다. 그렇지만 사랑도 일도 텅 빈 주머니를 완벽하게 채우지 못한다. 살기 위해 돈을 빼앗긴 텅 빈 주머니, 이것이 불안과 허무의 근원이다. 그런데 그 주머니는 괴물이어서 우리가 성급하게 채우려 들면 오히려 심술을 부린다. 삶의 지혜는 이 요술 주머니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있다."
 하루키에게 이 텅 빈 주머니는 깊은 우물이다. 존재의 근원적 무로서 우물은 그의 소설에서 되풀이되는 중요한 은유다. 인간은 맑은 물을 얻기 위해 우물을 팠지만 그것은 동시에 우리의 발목을 잡는 함정이 되낟. 노르웨이의 깊은 숲 속에 있던 함정들처럼 우물은 인간이 살기 위해 파놓은 마음속의 우물이다. 그 위로 환상의 새가 날아다닌다. 
 삶의 한복판에 뻥 뚫린 우물, 결코 채울 수 없는 우물 때문에 우리는 환상을 만들지 못하면 살 수 없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 주인공이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을 안고 잠자리에 들듯이 우리는 환상의 알맹이를 동시에 볼 수 있어야 한다. 환상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면 우물의 깊은 나락에서 다시 지상으로 올라올 수 없기 때문이다. 깊은 우물을 어루만지면 나른한 슬픔, 그 한없는 허무 가운데 가느다란 불빛이 있다. 그것이 하루키 문학의 구원이다. 아픔 속에서 조심스럽게 지켜보면 얼핏 보이는 가느다란 끈, 그것이 하루키 문학이 우리를 사로잡는 이유다. 우리를 다시 살게 만드는 끈을 찾는 여행, 아무것도 아닌 삶에 아름다운 무늬를 만드는 긴 여행이 이 책의 주제이다. 그리고 주인공 '나'는 또 다른 인물 '쥐'이고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작가 자신이며 우리들의 모습이다. 
 나와 핀볼 -탐색이 대상인 동시에 반성적 주체인 핀볼
주인공 '나'는 먼 곳의 이야기를 듣기 좋아한다. 토성이나 금성의 이야기, 그에게 캠퍼스의 학생운동은 꽁꽁 얼어붙는 토성에서 일어나는 이야기이고, 서른 살밖에 살지 못하는 젊은이들의 사랑은 습하고 무더운 금성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그러나 사실 토성과 금성은 자신의 대학 시절 두 모습이다. 혁명을 외쳤지만 실패할 수 밖에 없던 학생운동과 한 여자를 사랑했지만 죽음으로 떠나보낼 수밖에 없었던 기억들은 그의 과거지만 아직도 헤어나지 못하는 현실이다. 둘 다 환상이지만 현실이요, 기억이지만 여전히 그의 삶을 지배한다. 그러기에 학생운동의 부조리한 현장을 빠져나와 나오코와 나눈 사랑을 그는 아주 먼 곳에서 일어났던 이야기처럼 듣고 싶어한다. 
 1969년에 사랑하던 나오코가 무심코 했던 말 한마디가 4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그를 지배하여, 그는 개가 있다는 시골의 작은 역을 찾는다. 나오코가 살았던 마을과 그곳 사람들, 아버지, 우물을 잘 파던 남자...... 나오코는 화자에게 우연이었으나 필연이 되고 말았다. 그녀가 대수롭지 않게 말했던 한 마리의 개를 보기 위해 그는 아무도 없는 역에 앉아 기다린다. 그리고 그 개를 본다. 그러나 돌아오는 길에 그는 여전히 슬프다. 죽고 없는 그녀는 여전히 그를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 
 집에서는 어디에서 왔는지 모르는 두 여자가 그를 맞는다. 두 여자 쌍둥이는 생김새도 똑같고 이름도 없다. 그들과 밥을 먹고 커피를 마시고 잠자리에 든다. 그는 시부야에서 사무실을 세 얻어 친구와 함께 번역 일을 한다. 일거리는 적당히 밀려들고 그는 일에 몰두할 때만이 마음이 편해진다. 기계적인 번역이기에 정확히 자신의 일을 해내고 사무실 여직원이 끓여주는 커피 맛을 즐기지만, 그는 그에게 맞지 않는 시대에 살고 있는 듯이 느낀다. 아우슈비츠나 2차대전 때 일본 유격기가 제자리가 아닐까. 과거를 벗어나지 못하며 허공에 부유하는 느낌은 차곡차곡 맡은 일을 하는 것만으로 지워지지 않는다. 그는 아무 곳에도 정착하지 못한다. 오직 단 한 곳, 커피를 놓고 나오코와 마주 앉은 그 자리에 여전히 앉아 있기 때문이다.
 밖에서는 기계적인 번역 일로, 그리고 집에서는 그림자처럼 붙어 있는 쌍둥이들과 시간을 보내는 그에게 배전반을 바꾸러온 사람이 낯설듯이, 시간은 과거 어느 지점에 멈춰져 있다. 쌍둥이 사이에서 잠을 자며 그들과 산책을 하고 대화를 나누지만 그들은 그의 마음속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나오코의 그림자처럼 그저 그에게 붙어 있을 뿐이다. 죽은 나오코는 그가 피와 살이 있는 어느 누구와도, 열정을 부을 수 있는 다른 무엇과도, 교류하지 못하도록 그를 가로막고 있다. 너무도 외로워서 그가 창조해 낸 여자들일까, 집에서는 쌍둥이에게 의지하고 밖에서는 번역 일에 몰두하지만 그는 한때 핀볼이라는 기계에 미친 적이 있다. 나오코가 죽은 직후 한동안 그는 미친 듯이 그 기계를 사랑했다. 이렇게 하여 핀볼 이야기가 시작된다. 
 핀볼에 관한 소설은 1973년 5월, 그가 나오코가 말했던 개를 만나보고 돌아온 후 9월부터 시작된다. (…) 
 대학 강사인 핀볼 마니아는 화자가 찾는 모델이 전국에 단 세 개밖에 없으며 그것 가운데 그가 찾는 바로 그녀, '스페이스십'은 고철로 팔려 이미 망가졌을 것이라고 말해 준다. 핀볼에 관한 역사, 화자가 나누었던 그녀와의 접촉과 대화는 나오코와의 사랑 이야기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고 열정적이다. 그러나 바로 그 열정의 크기는 나오코의 자리를 핀볼에게 바친 것이다. 마니아들의 열정을 묘사하는 하루키의 기법은 너무나 구체적이고 진지하여 독자를 감동시키낟. 그는 진부한 사랑 이야기를 이렇게 먼 나라의 이야기처럼 우회하여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텅 빈 주머니를 채우지 않고는 살 수 없기에 핀볼은 죽은 나오코를 대신하여 욕망의 대상인 '오브제 프티 아'가 된 것이다. 
 욕망의 대상은 살기 위해 만든 환상이지만 그것은 우리를 지배한다. 나오코의 죽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나는 똑같이 핀볼의 행방을 추적한다. 그리고 드디어 그녀를 차가운 지하창고에서 대면한다. 먼 외딴 곳의 커다란 지하 창고는 무덤처럼 차가웠고 한번 들어가면 다시는 못 나올 것처럼 공포의 분위기를 풍기낟. 그가 계단을 천천히 내려갈 때 78대의 죽은 기계들은 침묵을 지킨다. 콘크리트 바닥에서 죽은 닭 냄새를 풍기며 일렬로 서 있는 기계는 그가 나누었던 스페이스십의 다정함과는 거리가 멀었다. 
 당신 탓이 아니야, 하고 그녀는 말했다. 그리고 몇 번이나 고개를 저었다. 당신은 잘못하지 않았어, 열심히 노력했잖아. 
 아니야, 하고 나는 말했다. 왼쪽의 플리퍼, 탭 트랜스퍼, 9번 타깃. 아니라니까,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어. 손가락 하나 움직일 수가 없었지. 하지만 하려고 마음만 먹었다면 할 수 있었을 거야.
 사람이 할 수 있는 건 한정되어 있어, 하고 그녀는 말했다. 
 그럴지도 모르지. 하지만 무엇 하나 끝나지 않았어. 아마 언제까지나 똑같을 거야, 하고 내가 말했다. 리턴 레인, 트랩, 킥 아웃 홀, 리바운드, 행잉, 6번 타깃.... 보너스 라이트.
21150, 끝났어요, 모든 것이, 라고 그녀가 말했다.
 이 대화는 나오코와 나눈 대화가 아니다. 그가 핀불의 주술에 빠져 기계와 나눈 대화였다 .그러나 우리는 이것이 나오코에 대한 그의 후회와 기억과 끝나지 않은 사랑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천신만고 끝에 사라진 핀볼을 다시 만난다. 그런데 그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부드럽고 따스한 연인이 아니라 차갑게 굳은 침묵의 현장이었다. 그는 "그런 식으로 그녀와 만나고 싶지는 않았다. 그녀 쪽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라고 말한다. 기계들은 다리를 단단히 바닥에 박고, 갈 곳 없는 무게를 묵묵히 참고 있었다. 애처로운 광경이었다. 그는 혼자 노래를 부르고 말을 해보지만 기계들은 ���떡도 하지 않는다. 냉기가 뼛속까지 스며드는 지하실 창고에서 그는 마침내 잠든 기계를 깨울 전원 스위치를 찾는다. 갑자기 한 줄로 늘어선 기계들이 삶으로 가득 차고 한 대 한 대가 필드에 다양한 원색과 꿈을 그려낸다. 그리고 바로 그 스페이스십을 찾아낸다. 그는 그녀와 재회하고 하지 못한 많은 이야기들을 나눈다. 죽은 나오코와 핀볼을 통해 재회하는 이 장면은 이 소설 전체의 가장 감동적인 부분이다. 그리고 그녀와 헤어지면서 그는 깨닫는다. 
 그녀는 방긋이 미소 지은 채 잠시 허공에 눈길을 주었다. 왠지 이상해, 모든 게 실제로 일어난 일 같짖가 않아.
 아니, 정말로 일어난 일이야. 다만 사라져버렸을 뿐이지. 
 괴로워?
 아니, 하고 나는 고개를 저었다. 무無에서 생겨난 것이 본래의 자리로 돌아간 것뿐인데, 뭐.
 우리는 다시 한 번 입을 다물었다.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건 아주 예전에 죽어버린 시간의 단편에 지나지 않았다. 그래도 얼마 안 되는 그 따스한 추억은 낡은 빛처럼 내 마음속을 지금도 여전히 방황하고 있었다. 그리고 죽음이 나를 사로잡아서 다시금 무의 도가니에 던져 넣을 때까지의 짧은 한때를 나는 그 빛과 함께 걸어갈 것이다. 
그는 나오코와 미처 나누지 못한 말들을 핀볼과 나누면서 깨닫는다. 그를 사로잡았던 환상의 실체는 차가운 침묵의 시체였다. 그리고 삶이란 단지 전원의 스위치를 올려 딱딱한 기계를 부드러운 온기로 채우던 아주 짧은 시간에 지나지 않는다. 서로 사랑과 이해를 나누던 그 짧은 순간에 무에서 태어나 무로 돌아가는 우리들의 삶이었다.
 어둡고 차가운 창고 속에서 누가 전원을 찾았고 스위치를 올려 밝은 생명을 불어 넣었던가. 바로 '나'였다. 삶이란 그리 무거운 것이 아니었다. 혁명도 사랑도 가벼운 것이었고 그것이 우리를 살게 만드는 힘의 원천이었다. 우물이 여기저기에 함정을 드리운 현실에서 텅 빈 주머니를 채울 주체는 '나'이지만 그것은 무거운 혁명이 아니라 일상의 부드러움과 이해라는 가벼움이었다. 무거움은 우리를 사로잡아 고착시키낟. 그러나 가벼움은 불완전함의 영원한 반복이고, 그것이 삶이요 사랑이다. 그가 본 환상의 실체는 칙칙한 해골이었다. 
 불완전함의 반복은 환상의 실체를 볼 줄 알면서 동시에 그 환상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핀볼을 찾는 입구는 동시에 그것에서 벗어나 다시 시작하는 출구였다.  
 핀볼은 화자가 찾는 탐색의 대상이지만 동시에 화자로 하여금 스스로를 볼 수 있게 해주는 반성적 주체였다. 그리고 이런 역동적인 중층 구조는 쥐에 관한 서술로 다시 한 번 되풀이된다. 
나와 쥐 - 과거와 현재의 덫에 갇힌 쥐의 출구 찾기 
이 소설에서 가장 구체적인 중심 이야기는 핀볼을 찾아 그녀와 마지막으로 상면하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그것은 사실, 나오코의 실체와 대면하고 그녀와의 추억을 간직한 채 다시 살기 위해 그가 치러야 ��는 경건한 의식이었다. 그런데 소설에서는 이런 나의 경험과 또 다른 인물인 쥐의 이야기가 교차된다. 그 ���시 과거의 덫에 갇혀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그가 부유한 집안의 아들이었으나 학생운동과 관련되어 학교를 그만두었다는 막연한 암시 외에, 분명히 제시되는 이유는 없다. 그는 섹스와 죽음이 없는 소설을 쓰려는 작가 지망생이다. 그러나 자주 드나들어 정이 든 45세의 중국인 주방장 제이와 나눈 대화에서 보듯이 25년을 살아오면서 "무엇 하나 몸에 익히지 못한다". 작가의 분신인 듯한 제이는 말한다. "아무리 흔하고 평범한 것이라도 인간은 노력만 하면 뭔가를 배울 수 있다는 것을 꺠달았다"고, "실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아무도 살아남을 수 없는 거지." 그러나 쥐가 그것을 깨닫기 위해서는 좀 더 방황과 결단이 필요하다. 그는 맥주를 마시고 방황하면서 안개가 자욱한 항구 마을에서 떠나지 못한다. 그리고 그녀의 환상에 사로잡힌다. 어느 날 타이프라이터를 준 건축 기사인 그녀와 관계를 가지면서 그는 부드러움과 성실함에 사로잡힌다. 자신을 찾기 위한 그의 노력은 마침내 그녀의 환상에서 벗어나기 위한 결별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오랫동안 정이 든 제이를 떠나면서 과거의 기억에서 벗어난다. 자신을 사로잡던 과거의 망령에서 벗어나는 과정은 '나'의 핀볼 찾기와 엇갈려 서술되고, 핀볼과 상면하는 순간과 거의 같게 쥐도 출구를 찾게 해준다. 비로소 쥐는 소설을 쓸 수 있을 것이다. 섹스와 죽음을 더 이상 거부하지 않을 소설가, 그는 바로 변함 없는 작가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핀볼에 관한 소설은 세 개의 이야기가 하나로 묶인 중층 구조를 이룬다. 혹시 하루키는 자신의 여러 가지 기억과 욕망을 이렇게 세 개의 이야기로 반복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가 먼 훗날, <<해변의 카프카>> 에서 말하듯이 삶이란 불완전함의 반복이기 때문이다. 삶의 운전대를 잡고 완벽한 음악을 들으면 그는 자살하고 싶어질 것이다. 완벽함은 텅 빈 주머니를 단 한 번에 채워버리는 죽음이기 때문이다. 삶은 우물의 함정이 파인 땅 위를 걷는 불완전함의 반복이다. 마치 같은 모티프가 다르게 반복되면서 음악이 태어나듯이 이 소설은 세 개의 서술이 다르게 반복된다. 그리고 그의 전 작품들은 우물의 모티프를 다르게 반복한다. 
 <<1973년의 핀볼>>은, 삶은 우리가 주인이 되어 전원의 스위치를 올리는 것 외에 아무것도 아닌 것을 암시하는 소설이다. 입구는 출구요, 절망의 끝은 새로운 시작이다. 굳은 시체에 열정 불어넣기를 반복하지 않으면 우리는 그저 썩어가는 몸에 불과할 뿐이다. 우리는 환상을 끝없이 다르게 반복한다. 마치 핀볼 이야기를 반복하듯이.
 하루키는 훗날 다르게 되풀이될 아름답고 슬픈 나오코와의 사랑 이야기를 이렇게 다른 기법으로 제시했다. 인간의 사랑과 환상과 죽음이라는 진부함을 핀볼 마니아를 통해서 슬프고 아름답게 보여준다. 이것이 굳은 언어의 시체에 열정을 불어넣는 기법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권택영(문학평론가)
10 notes · View notes
mnjukim · 3 days ago
Text
사라진 줄 알았는데 잠시 주춤한 것
아주 희미하게, 그리고 천천히 방향을 잡게 되는 것 같다. 잡힐 듯 말 듯 닿을락 말락한 경계에서 확신도 혹시 오만일까 싶어서 여전히 모르겠다는 말 뒤에 숨는 게 더 익숙하지만.
올해 초부터는 정말 무언가 마음의 불씨가 꺼진 것처럼 의지가 없었다. 어른이 된다는 게 이런 건가 믿고 싶을 만큼 미지근하고 단조로운 생각을 품었다. 적어도 잘하지는 못할지언정 열심히 하는 캐릭터였는데, ‘무엇을 위해?’라는 질문이 생긴 이후부터는 그것마저 놓아버리고 싶었다. 실제로 놓기로 다짐한 적도 있었는데 적당히 하자는 비겁한 마인드를 모토로 세운 직후에 팀원으로부터 들은 말이 있었다. “같은 과 친구가 민주님이랑 같은 팀인 적이 있었는데 똑똑하고 야무진 분이라고 하더라고요.”
조금 반갑고 약간 씁쓸한 말이었다. 그래도 나와 함께 일한 사람들에게 그렇게 기억되는 편이 나을 테니 나름의 동력삼아 ‘열심히’와 ‘적당히’ 중간쯤에서 해야 할 것들을 해치웠다. 그러다가 옷차림이 두꺼워질 무렵에 다시 가슴 뛰는 일을 발견하기까지. 몇 차례의 회의감과 한차례의 번아웃 뒤에는 설렘을 극도로 의심하게 되었다. 늘 앞날에 대해 고민이 많던 내게도 드디어 기다리던 날이 오려나. 답을 찾는 건 그저 기분 좋은 일이라고만 생각했지, 불안하고 무서울 수 있다는 건 몰랐던 것 같다.
꿈이라는 건 참 위태한 거구나. 하고 싶은 게 없어서 방황하던 나에게 ‘이거 아니면 안 된다’라는 마음이 들 만큼 간절한 목표가 있는 사람들은 반대로 그게 안됐을 때 극복할 수 없다는 뜻이니까 꼭 좋은 건 아니라는 친구의 조언이 떠올랐다. 더 이상 ‘아니면 말고’, ‘어쩔 수 없지’ 같은 속 편한 방어는 없다. 시야를 흐릿하게 막고 있던 것들이 사라지면서 직면해야 할 일이 더 많아졌다. 무지에서 벗어난 순간부터 용기 내고 부딪히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진 그날 밤에는 차라리 모를 때가 좋았다는 창피한 마음까지 들었다.
‘최연소’나 ‘최초’와 같은 타이틀에 유독 매력을 느끼지만 유감스럽게도 겨우 따라가기 급급한 쪽이었다. 본래 성향 자체도 느린데 지금은 특히나 뒤처지는 축에 속한다는 걸 주변 사람들을 통해 가끔 상기할 때가 있다. 언제나 주변에 언니들 뿐이었던 나도 이제는 언니라고 불릴 일이 많아진 처지에서 꿈은 당연히 더 요원할 수밖에 없다. 시험 시간이 5분 남았는데 못 푼 문제가 서른 문제인 사람처럼 초조하기도 하다. 그럼에도 오늘 내가 위안 삼을 수 있는 이유는, 생을 마감해도 크게 이상하지 않은 나이에 한 나라의 리더가 되는 사회라는 것을 망각하고 있었음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나는 어린 나이에 데뷔해서 조기 은퇴하는 스타가 되고 싶었지만 중년에 활동적인 마라토너 운명이겠거니. 동경과 열등감 사이에서 여유를 가지고 줏대를 챙기려고 한다. 내 삶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레퍼런스 정도로 참고하며 정신 건강을 돌봐야지. 어차피 내 전���은 선도하는 것이 아니라 버티는 것일 수도 있겠다.
3 notes · View notes
coreanoencasa · 4 months ago
Text
NÚMEROS NATIVO COREANOS.
2024년 8월 16일
안녕하세요 여러분!
Hoy aprenderemos los números nativo coreanos y cuándo los usamos.
Estos números van del 1 al 100, y no van más allá. Es muy sencillo aprenderse estos, solo tenéis que poneros un par de horas, y acabaréis aprendiéndolos.
1 = 하나 (한)
2 = 둘 (두)
3 = 셋 (세)
4 = 넷 (네)
5 = 다섯
6 = 여섯
7 = 일굽
8 = 여덟 (lo pronuncias como 여덜)
9 = 아홉
10 = 열
20 = 스물 (스무)
30 = 서른
40 = 마흔
50 = 쉰
60 = 예순
70 = 일흔
80 = 여든
90 = 아흔
100 = 백
Esos son los números que te tienes que aprender. Ahora, ¿cómo se dicen los siguientes números: 58, 94, 35 o 19? ¡Es muy sencillo! Aquí, como tenemos los números enteros (10,20,30,etc) solo tenéis que hacer estas sumas:
58 = 50 + 8 = 쉰 + 여덟 = 쉰여덟.
94 = 90 + 4 = 아흔 + 넷 = 아흔넷.
35 = 30 + 5 = 서른 + 다섯 = 서른다섯.
19 = 10 + 9 = 열 + 아홉 = 열아홉.
Estos números los usamos para decir las horas, para decir cuántas personas somos o cuántos animales u objetos hay.
Aquí os comparto la palabra que se debe usar detrás del número para mencionar las cosas previamente dichas:
명 se usa para contar personas.
Imagina que vas a un restaurante, y te preguntan cuántos sois, siempre vas a responder "2 personas/8 personas", así que, en vez de decir "2 사람", diremos "2명". ¿Y cómo decimos ese dos? Pensarás que es "둘", pero no es así, en estos casos, se usa siempre la palabra que está entre paréntesis así que, dirías "두명".
마리 se usa para animales.
Como antes, si quieres decir que tienes 45 vacas, tienes que decir "vacas 45 마리", siendo esto así: 소 (vaca) 마흔다섯마리
Como puedes ver, la extructura es la siguiente: sustantivo (vaca) + número (45) + contador léxico (마리).
개 se usa para objetos (cualquier tipo).
Sigue la misma fórmula que los dos previos. Imagina que quieres decir que tienes 6 relojes, pues sería: 6 + clocks (시계) + 개 = 여섯 시계개.
IMPORTANTE: Imagínate que quieres decir que tienes 600 vacas, ¿cómo lo dirías? Recuerda que os dije que los números nativos solo existen hasta el 100, así que, cualquier número que sobrepase el 100, debe ser dicho con los números sino coreanos.
CÓMO DECIR LAS HORAS EN COREANO.
Los coreanos solo usan del 1 al 12 para decir las horas, lo que significa, que no podremos decir "son las 20:45", tenemos que decir "son las 8:45 de la tarde" para ser capaces de decir esa hora.
¿Os acordáis de los pocos números entre paréntesis? Bien, pues aquí los vamos a usar también.
Detrás de la hora, se usa siempre un contador léxico que es 시.
Para decir la hora, usamos los números nativo coreanos.
Para decir los minutos y segundos, se usan los números sino coreanos.
Hagamos unos ejemplos:
¿Qué hora es? = 몇 시예요?
Son las 8:00 = 여덟시예요.
Son las 4:56 = 네시 오십육분이에요.
Los coreanos no dicen los segundos (nosotros tampoco). En el próximo post os enseñaré a cómo decir "mañana/tarde/noche), así podremos diferenciar entre las 8 de la mañana u 8 de la tarde.
Si tienes alguna pregunta, ¡abre chat o envía ask!
3 notes · View notes
cosmosbeelover · 6 months ago
Text
Women considered to be the most beautiful in Korean History - Part 1
More than a century ago, a remarkable group of women known as Kisaengs captivated the elite with their captivating performances, without ever compromising their dignity.
These extraordinary women, often referred to as the celebrities of their era, were renowned for their beauty and talent, as evidenced by historical records that ranked the most enchanting kisaengs of that time!
Oh San-wol (오산월;吳山月)
Tumblr media
Oh San Wol, a gisaeng from Pyongyang in the 1920s, remains a mysterious figure due to the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about her background and life. Despite the scarcity of material, her photos have managed to capture attention because of her stunning beauty. She was known to have been a graduate of the Pyeongyang Gisaeng School, gaining immense popularity among 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er fame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postcards featuring her image that were sold, indicating her widespread appeal.
Tumblr media
Kisaeng's Oh San-wol (오산월) and Lim Chun-hong (임춘홍) posing together for a picture.
At the time they were both among the best kisaeng's of there time.
Tumblr media
Both in black and white and colour and remastered.
Tumblr media
I'm not shore where this picture came fronm, i think a book, but it talks about Oh Sal-wol and Lee Chun-hong. This is what the text says in Korean: 기생 오산월(吳山月) 당대의 유명한 기생이었던 오산월. (사진 왼쪽) 산월이는 오늘 저녁에도 이저바컷든 것처럼 제 나회를 따저 보았다. '홍 수물납금! 기생은 갓 수물이 한갑이라는데………………." 산월이는 머릿맛을 더듬어 자루 달닌 거울을 집어드럿다. 그리고 수물닙급은커녕 서른 살도 넘어 보히는 제 얼굴을 한참이나 홀터보다가 화가 나는 드시 거울을 내던지고 거이 입버릇처럼 "망한 녀석!" 하고는 한숨을 지엿다. 이 산월이의 '망한 녀석' 이란 늘 두 녀석을 가리킨 것이다. 한 녀석은 지금으로부터 오륙 년 전에 산일 이에게 밋처서 단이다가 산월이가 그럿케 말니는 것도 듯지 안코 아편을 찌르기 시작해 마 음씨 착한 산월이의 알돈 사천 원을 드러먹고 나중에는 산월이 집에서 독약을 먹고 죽어 송장 감장도 감장이려니와 죄 없는 산월이를 수십 차례나 경찰서 출립을 식힌 윤가(哥) 라는 녀석이요 다른 한 녀석은 산월이가 수물네 살 되든 해 봄인데 그도 화채 한 푼 제법 이럿타 못하는 똑 건달녀석 하나가 꿈결 가치 하룻밤 지내고 간 뒤에 산월이의 그 매부리 코만은 그냥 붓처 두엇슬지언정 특자백이」 하나로 궁지는 ��을 만큼 불려단이든 그의 목 청을 그만 절벽으로 맨드러놋코 간 일홈도 성도 모르는 녀석이……………….
李泰俊,「妓生山月이, <별건곤> 제25호(1930)
I hope the translation makes sense in English:
Gisaeng Osanwol (吳) Osan Wall, a famous kisaeng of the time. (photo left) Sanwol watched my nahoe as if she was busy this evening. 'Flood payment! Gisaeng says that there is a pack of fresh water...……………." San-Wol followed the taste of his hair and opened the mirror with a bag. After looking at my face for a long time, let alone a water nip, Bo-hi, who was over 30, threw out the mirror and sighed, "Done guy!" as his habit. This "Done guy" of San-Wol always refers to two guys. One guy was a mere mortician to San-Ill five or five years ago, and it seems like San-Wol is doing the same thing. He began to poke at San-Ill's opium, exposed San-Wol's aldon of 4,000 won, died of poison at home, and later, San-Wol was cut off from the writing of the invoice. The other guy is Yoon-ga (哥), who cooled San-Wol from the police station dozens of times. He was 24 years old in spring, and after a night of dream value was spent on a straight stone that couldn't do anything like this, San-Wol's every-buckled nose was just a brush or two, but a special porcelain bag, and no matter how hard he was called into a corner, he might have stopped his neck and went to the cliff……………….
Lee Chun-hong, Oh Sang-wol, <Byeolgungon> No. 25 (1930)
Tumblr media
When i looked further down the page i found these only two comments the last one being my favourite. I love the roaring 20s fashion especially in eastern countries like Korea, China and Japan.
In 1918, Oh San Wol was part of the Pyeongyang Association, a group that included other notable kisaengs such as Kwon Yeong-wol, Kim Geum-pa, and Park Geum-hong. Details about these women, including their backgrounds, skills, and current addresses, were documented in the 1918 publication 『朝鮮美人寶鑑』. Oh San Wol's image was also featured on postcar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side another famous kisaeng named Lim Chun-hong. These postcards were widely circulated and even appeared in newspapers multiple times, highlighting the popularity of these talented wome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umblr media Tumblr media
These two picture are of Oh Sal-wol in Western styles clothing both in black and white and colour. Because Kisaeng's enjoyed there fame and popularity compared to modern celebrities, they were lavishly dressed up in fur coats and Western style clothes.
The kisaengs of that time were not only known for their beauty but also for their skills in various art forms such as dance, singing, calligraphy, and painting. They were graduates of specialized schools that provided modern education, transforming them into well-rounded artists.
Tumblr media
Oh San Wol and her contemporaries were not just entertainers but also respected figures in society, showcasing their talents and charm through their performances and appearances on postcards that have since become iconic symbols of that era.
Tumblr media
I found this blog that shows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photo postcard of Oh Sal-wol. Oh Sal-wol's popularity among men was so immense that the benchmark for measuring popularity back then was the number of photo postcards men bought, and it was widely believed that she sold the highest amount.
Tumblr media
I also found this picture on Café Naver .
Tumblr media
Comments at the end of the blog, I'm not sure what the word means?
4 notes · View notes
paper-blank · 1 year ago
Text
2023년, 무더위의 한가운데서
서른 넘어 알게 된 사람들이랑은 대체로 그랬다 “글 왜 안 쓰세요” 라는 말로 안부를 묻기도 하고 난데없이 “글 써야 하는데” 하며 생존 신고를 하기도 했지 허나 꾸준히 쓰는 이는 거의 없었다 나도 그랬고
우리는 정말 써야 하는 걸까 혹은 쓰는 사람이 되어야만 할까 쓴다면 대체 무엇을 써야 할까 쓰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니 이유와 목적을 묻고 앉았네 당위가 있었으면 이미 쓰고 있었겠지 근 몇 년의 나는 도무지 억지란 게 싫어 쉬이 손 놓아 버렸다
수시로 텀블러에 무의미한 글 올리던 나와, 아무 기록 남기지 않고 기억을 잃어가는 나, 양쪽 다 어색해 오래도록 서성이기만 했다 하지만 솔직한 방황 덕에 알아챈 두 가지; 누군가 나를 읽어주면 기뻤다는 것, 그리고 그 기쁨들이 쌓여있는 이 계정은 지우기 싫다는 것
그러니 자주 봐요
Tumblr media
25 notes · View notes
uk-sung · 1 year ago
Text
Tumblr media
2주만에 돌아온 내 서른🤔
44 notes · View notes
kwijeon · 2 months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변화를 느낀 2024년 추석. 나는 滿서른 넷의 연휴를 여러가지로 새로이 보낸 나머지… (중략) 보다 독립된 성인이 되었다 라고 말 맺음. 추석, 보름달, 끝.
4 notes · View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