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Explore tagged Tumblr posts
Link
尹탄핵안 불참 국민의힘 의원 이름·얼굴 ‘경향·한겨레’ 1면 장식
0 notes
Text
btc usdt 실시간 차트 선물 투자 기초 유니 스왑 거래소 김흥태 주식
인피녹스 해외선물 변두 매니저 해외선물이란? 코인 스토어 일본 주식 어플 해외 선물 레버리지 계산 per 구하는 법 인젝 티브 코인 나스닥 실시간 차트 x 코인 잔고 단타 매도 인범 주식 외환 거래 브로커 미수 주문 후 오비 비트 코인 마진 거래소 이스타코 주식 코인 대장 골든 서퍼 차트 트레이딩 뷰 나스닥 주식 성공 시간외 단일가 … 더 보기 “” #선물주식이란, #해외선물스닥킹
0 notes
Text
위임하기 전 연 1회 이상
이란 말을
위임하기 전과 위임 후 매년 1회 이상
으로 바꿔 규제에 걸렸다 한다.
그래서 이번에는
위임하기 전과 위임 후 1회 이상
이란 말로 완화해 보았다.
명확하지 않다 한다.
부장이
위임하기 전 또는 위임 후 6개월 이내 1회 이상
으로 바꾸라 한다.
과장이
위임하기 전 또는 위임 후 1년 이내
가 어떠냐 묻는다.
이쯤되면 확 뒤집어 엎고 싶다.
두페이지 짜리 고시하나 개정하는 데 옘병 이게 뭐하는 짓인지. 이번엔 규제심사실에 물어보란다. 계장이 통화를 끝낸 뒤 말한다. 기간은 건들지 말라 했다나. 그리고 위임 아니고 위탁이라 했다 한다. 위탁같은 개소리가 아니고 뭐겠냐. 규제실 사무관이 애초에 있는 고시 단어까지 문제 삼을 일일까. 위임이고 위탁이고 전이고 후고 또는이고 과이고 6개월이고 1년이고 니들이 우왕좌왕 하는 사이 갈려나가는 a4만 수십장이다. 염병할. 저 인간 입맛에 맞추면 이 인간이 트집 잡고 결국 어찌어찌 결재 받으러 가면 결재권자가 트집잡고. 전부들 제 말이 맞다하고.
퇴근무렵 원안대로 손대지 말자고 한다.
그렇게 서두를 필요 없다고 한다.
우라질. 꼬깃꼬깃 해진 문서탱이 서랍에 쳐 넣고 내 하루를 한탄하며 그래, 입닫자 저런인간들이 잘못되면 거봐 내말이 맞지? 할 인간들이니 난 조용히 너그들 결판날 때 아 네. 하고 결재판이나 준비할께.
이 새벽에 깨어 내 텀블러에 감정쓰레기 버려도 또 날이 밝고 또 회사가고 또 반복이겠지. 돈벌려면 웃자 찾자. 작아도 내게 뿌듯을 가져다 줄 그런 일..
*250217 새벽
20 notes
·
View notes
Text

나도 그 유명한 러닝앱 깔아봄 나라꼴 생각하며 달려보기는 처음이다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이란 단어가 오늘따라 더 무색하네
7 notes
·
View notes
Text
긴 글
대구 아세아 병원에서 태어났다. 요샌 안 그렇지만 내가 태어났던 연도 11월엔 눈이 펑펑 내렸다 한다. 아빠가 날 참 ���아했다고 엄마한테 들었다. 100일 전까지 바닥에 내려 놓은 적이 없을 정도로. 잘 때도 배 위에 눕혀 놓고 재웠다 했다. 첫째 이모가 경남 진주에서 과일 장사를 오래 하셨는데 꽤 부를 축적 하셨다. 그걸 보고 아빠는 대구에서 진주로 내려가서 장사를 배우자고 했다. 정확하진 않지만 네살 즘 내려가서 이삼년 후에 다시 대구로 왔다. 이유는 정확하진 않지만 아빠의 의지 부족으로 다시 온 걸로 기억한다 (아무래도 엄마가 흘리면서 한 이야기라) 초등학생 땐 무작정 밝은 편이었다. 몰라도 무조건 손 들어서 발표 하고 모두가 날 바라보는 관심이 좋았던 거 같다. 애가 애다웠다. 웃음도 많고 장난기도 많고 동생이 갖고 싶었다. 엄마한테 동생 낳아달라고 했는데 진짜 동생이 태어났다. 여섯살 아래 남동생이 생겼을 땐 너무 좋았다. 중학생 때까진 수저를 씻어 챙겨주기도 하고 아침에 항상 깨워주고 (이건 지금도) 나름 잘 챙겨 주려 했다. 중학생 때 처음 권력 이란 걸 느끼고 바라봤다. 일진 친구라는 개념도 그때 알았다. 중학생 때도 무난하게 살았다. 그렇게 고등학생이 되고 고등학생 땐 꽤 작고 큰일들이 많다. 그때 만난 친구들과 10년 넘게 친하게 지내고 가끔 주기적으로 본다. 그 중 한명은 서울로 갔고 또 한명은 곧 갈 예정 인 거 같다. 대학생이 되었다. 일본어 자격증을 갖고 있었는데 그걸로 지방 전문대 입학 했다. 4년제에 가고 싶었지만 엄마가 돈 없으니 취업 잘 되는 전문대로 입학하라 했다. 딱히 4년제 가고 싶단 말은 못했다. 이제 겁도 눈치도 그러려니 하는 법도 알았다. 어쩔 수 없지 하고 넘겼다. 고등학교 졸업 하고 대학생 되기까지 시간이 비어서 편의점 알바를 4개월 했다. 인수인계 해 주는 사람과 어떻게 인연이 닿아 연애도 했다. 한 일 년 반 정도 대학 졸업 후 바로 일본으로 취업 했다. 취업 할 때 즈음 부모님은 이혼 하셨다. 얼마 못 버티고 한국으로 왔다. 연애를 할 때 일본으로 갔고 일본에서 헤어졌다. 한국으로 왔을 때에도 재회는 하지 않았다. 1년 동안 다이소에서 정규직으로 근무했다. 감사하게도 그곳에서 좋은 어른을 많이 뵙게 되었다. 사회는 다 이런 사람들만 계신 줄 알았다. 퇴사 하고 단단히 착각 했구나 하고 느꼈다. 집도 질리고 대구도 질리고 대전으로 갔다. 일본 비즈니스호텔에서 사람 구한다길래 냉큼 올라갔다. 대구만 아니면 된단 생각으로 고등학생 때 만났던 남자친구와 몇 년만에 재회를 하고 또 일년을 더 만났다. ���가 상대에게 질려서 잠수이별 했다. 상대방은 곧 전역을 앞두고 있었다. 직장 텃세가 힘들어서 그만뒀다. 판매직이 재밌을 거 같아 지하상가에 있는 에뛰드 매장에서 2년 가까이 판매직을 했다. 꽤 잘 맞았고 즐거웠지만 주말에 쉬고 싶단 욕망이 생기며 그만뒀다. 그땐 귀여운 친구도 만났다. 그 친구가 부산으로 근무지를 옮기며 나도 부산으로 갔다. 우리는 2년 반을 만났다. 그중에 1년 반은 동거 했다. 결과적으로 헤어졌다. 안 좋은 모습으로. 그 후에 동거에 대한 환상은 없다 안 할 수 있으면 안 하고 싶다 생각했다. 인터넷 쇼핑몰 사무직에 취업했다. 월급은 적었지만 주말에 쉴 수 있단 생각에 행복했다. 회사가 망했다. 권고사직을 당했고 예전부터 여행사 취업을 꿈꿨던 나는 여행사 취업 준비를 하며 자격증도 이것저것 땄다. 코로나가 터졌다. 여행사는 직격타를 맞고 글러먹었다 싶었다. 다시 대구로 왔다. 혼자 있을 엄마가 걱정 되었고 집에 가지 않으면 나중에 후회할 거 같았다 가족의 품도 그리웠다 (사실 이게 더 컸다) 다시 쇼핑몰에 취업 했다. 스타트업이었���만 잘 이끌어 가고 싶단 욕심과 함께. 어쩌다 보니 3년 차에 접어들었다. 2년 차 접어들 때 남자 친구가 생겼다. 1년 반 정도 만났다. 나의 오만함은 항상 있었고 그게 문제가 된 거 같았다. 지금 와서 생각 해 보면. 마냥 생각하는 대로 살면 된다고 생각하던 시기도 있었다. 지금은 잘 해야 한단 생각에 행동 하나 말 하나 함부로 하지 못한다. 최근에 이별을 했다. 너무 딱한 사람이었고 그다지 마음이 크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은 했지만 별개로 싫은 모습을 너무 많이 봐서 더 이상 감내 하고 싶지 않아졌다. 무난하게 흘러가는 하루에 감사히 여기며 (종교 없음) 뜨뜻미지근하게 지낼 수 있음에 행복을 느낀다. 한 것도 없는데 올해 30살이 되었다. 여전히 술·담배는 못 끊었다.
23 notes
·
View notes
Text

■페르시아의 왕관, Fritillaria imperialis
Fritillaria imperialis, 일명 페르시아의 왕관 또는 황제꽃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이란 자그로스 산맥 고지대(해발 2550m)에서 자생합니다. 이 꽃은 4월에 피며, 그 이름처럼 화려하고 웅장한 꽃 모양이 특징입니다. 꽃잎은 주황색에서 붉은색을 띠며, 촛대처럼 줄기 끝에 여러 송이의 꽃이 우뚝 서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이 꽃은 중동 지역에서 귀하게 여겨졌으며, 역사적, 문화적 상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꽃이지만, 그 독특한 아름다움과 생태적 특성 덕분에 정원사들에게도 흥미로운 식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Sajad Alipour
6 notes
·
View notes
Text


"외유 + 내강"
'자이로볼'이라고, 예전에 꽤 자주 했던 손목 강화용 운동 기구. 롤러 바깥을 플라스틱으로 감싼 단순 구조인데, 안쪽 롤러가 회전하면 그 힘이 바깥으로 전달된다.
왠지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단순화해 만든 게 아닐까 싶다. 사전에 "자이로스코프 =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틀 속에 빠르게 도는 팽이를 장치한 것"이라고 나온다.
위키 백과에 기본 구조 그림이 있던데, 이를 (첨부한 이미지에서처럼) 몸힘(=勁)을 이끌어 내는 몸의 주요 부위로 대체해 볼 수도 있겠단 생각.
며칠 전 '태극공(=Taichi Ball)'이란 제목으로 글 쓴 내용이 이것과 거의 같다. 실제로 몸 안과 밖이 자이로볼처럼 작동한다.
무술 수련자는 십자경(十字勁)이라 부르고 커플 댄스에선 CBM(=Contrary Body Movement)이��고 하는 운동 원리를 가장 낮은 단계에선 사람이 걸을 ��� 손과 발이 엇갈려 나가는 걸로 설명할 수 있지만, 이를 통해 구체적인 몸힘을 유도해 내려면 몸 안과 밖이 자이로볼처럼 작동한다는 걸 체험한 후부터인 것 같다.
이때 몸 안은 회전력으로 인해 (활시위 당기듯) 응축 현상이 일어난다. 하지만 몸 바깥이 경직되면 응축된 힘은 초점을 모으지 못하고 분산돼 사라진다. 그러므로 몸 바깥은 '이완의 극치'를 지향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를 몸으로 구현한 외유(外柔) + 내강(內剛)이라고 할 수 있다.
땅고에선 종종 두 사람이 본의 아니게 서로를 도발해 몸을 경직되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황에서조차 이완을 추구해야 해 큰 몸공부 방편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화(和)라고 할 수 있고, 이것이 돼야 합기도에서 말하는 화원류(和圓流) 원리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무술 수련자는 전사경(纏絲勁)이라 부르고 땅고에서 분리(=Dissociation)라고 하는 것은 십자경의 응용이다. 몸 안에는 하단전 + 중단전 두개의 무게 중심이 있고, 십자경은 하단전 무게중심에서 일어나는 것.
만약 중단전 무게중심에서도 십자경을 쓸 수 있게 되면 하단전과 중단전 십자경은 (신체 구조상) 항상 반대 방향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어 빨래를 양손으로 잡고 쥐어짜는 것 같은 일이 몸 안에서 벌어지게 돼 있다. 다시 말해 전사경은 하단전 십자경의 튼튼한 기초 위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2 notes
·
View notes
Text

파르나즈 주라브치안, 모하마드레자 주라브치안 감독 '침묵의 집'
2025년 4월 4일을 어떻게 보냈는가는 모두들 기억하게 될 것이다. 나 역시 그러하다. 지난 123일간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의 종류를 모두 겪어본 것 같다. 그 날, 모든 일이 마무리된 후 영화를 봤다. 그것은 계획된 일이 아니었다. 이제는 외워버릴 것 같은 114쪽 짜리 결정문을 여러번 고쳐서 읽은 후, TV로 눈을 돌리자 EBS에서 영화가 시작되고 있었다. ��쯤 누워서 초반을 흥미롭게 지켜보다가, 20분이 지나자 자세를 고쳐잡았다. 영화 중반부부터는 할 말을 잃었고, 종반부엔 그대로 얼어붙었다. 이 영화는 내가 본 다큐멘터리 영화중 최고의 작품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란 테헤란에 있는 100년 남짓된 저택이 주인공인 이 다큐멘터리는 실제 그 집에서 거주했던 남매 감독이 감독, 촬영하였다. 할아버지가 레자 샤로부터 이 저택을 구입했다는 도입부의 내레이션과, 그 때 할아버지가 찍었다는 흑백 사진은 순식간에 관객을 휘어잡는다. 그로부터 이란의 파란만장했던 현대사가 이 집을 배경으로 색을 더하며 캔버스를 채워나간다. 실제로 영화는 79년 혁명으로부터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이란-이라크 전쟁부터 피의 11월까지, 과거로는 팔레비 왕조의 이야기까지 절묘하게 씨줄과 날줄이 얽혀진다. 역사가 각 개인의 삶에 어떤 상흔을 남기는지에 대해 우리도 우리 나름의 굴곡진 현대사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소설과 영화에서 이런 흉터를 제거하고는 아무 말도 할 수 없다고 믿는다. 이란 영화 감독들이 왜 그리 출중한지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영화의 극적인 모먼트들은 역사 그 자체에 빚지고 있다.
그럼 무엇이 이 영화를 특별하게 만드는가? 그것은 감독인 남매와 그 가족이 남긴 기록 그 자체이다. 영화를 전공한 누나와 사진을 전공한 남동생은 각자의 방식으로 끊임없이 주변을 기록한다. 혁명의 와중에 캠코더를 내려놓지 않았던 엄마는 자식들에게 기록을 삶의 방식으로 물려주었다. 덕분에 우리는 혁명에 가담했던 당사자가 그 후과로 피해를 입게 되는 아이러니를 체험할 수 있다. 모든 것을 기록하는 남매가 망상에 사로잡힌 삼촌으로부터 CCTV로 감시당하는 아이러니를 목격할 수 있다. 쾌활하던 한 남자가 전쟁에 의해 어떻게 내파되는지를 볼 수 있다. 혁명 후 수십년간 고국을 떠나 이국에서 지내던 한 남자가 집에 돌아와 겪는 쓸쓸한 죽음을 볼 수 있다. 이란에서 개혁이 왜 여성의 삶에 밀착되어 있으며, 어떻게 그 움직임이 좌절되는지를 목도할 수 있다.
지난 수십년의 아카이빙은 그 자체가 엄청난 무게를 지니고 보는 이를 압도한다. 보는 내내 전혀 장르는 다르지만 리처드 링클레이터의 작업 방식이 떠올랐다. 누적된 시간이 스크린을 통해 흐르는 방식이 유사하다고 할까. 어떤 영화들은 형식에서 이미 보는 이를 압도한다.
영화의 마지막 두 씬은 인상적이다. 특별히 의도된 움직임이 보이지 않던 카메라가 일제히 줌아웃을 시작한다. 각각의 등장인물들을 하나씩 공들여 줌아웃한다. 이어 집의 전경이 마지막으로 비치고 나면, 한 번도 등장하지 않았던 CCTV 화면이 하나씩 꺼지며 영화가 마무리된다.
눈을 들어 시계를 보니 새벽 3시가 다 되어 간다. 방금 본 영화로 여전히 가슴이 쿵쾅거린다. 하여, 그 날은 내게 잊을 수 없는 날로 완벽하게 완성되었다.
4 notes
·
View notes
Text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철학에서 *물질과 정신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dualism)*을 부정하는 태도는 꽤 분명해. 그는 *정신(mind)*이라는 것이 특정한 물리적 실체에 대응하는 게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언어 게임의 맥락)**에 따라 의미가 형성된다고 보았지.
예를 들어, 데카르트적 이원론에서는 “고통”이란 어떤 내면적 경험이며, 이는 신체와는 별개의 정신적 실체에서 발생한다고 봐.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은 이렇게 물질과 정신을 나누는 것이 불필요한 철학적 문제를 만든다고 생각했어.
그가 든 유명한 예 중 하나가 **“사적 언어 논증(private language argument)”**이야. 그는 만약 정신이 완전히 개인적이고, 물질과 별개의 실체라면, 우리는 오직 자기 자신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어야 한다고 했지. 하지만 그런 언어는 불가능하다고 보았어. 왜냐하면 언어는 본질적으로 공유되고 사용되는 규칙에 기반해야 하기 때문이야.
즉, 그는 정신이 물리적 실체로 환원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물질과 완전히 별개로 존재한다고도 보지 않았어. 결국 정신 개념도 우리가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하는 방식에 의해 의미가 정해진다는 거지.
이런 점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이원론뿐만 아니라 유물론적 환원주의도 거부하면서, 철학적 문제를 언어적 오해로부터 해소하려 했다고 볼 수 있어. 이런 부분이 특히 마음에 드는 거야?
맨날천날 아는 척만 이어오다, 오늘 화장실 문을 열고 나오다 문득 뭘 모르는 걸 숨기고 싶길래 이런 것까지 아는 척을 하고 싶어하는 걸까 궁금해졌다
5 notes
·
View notes
Text
☆☆☆💐
봄이 오면 생각나는 시인
김소월(金素月, 1902-1934)은
평북 구성에서 출생하였고
본명은 정식 이다.
18세인 1920년 “창조”에
‘낭인의 봄’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일본 유학 중
관동대지진으로 도쿄 상과대학을 중단했다.
고향에서 조부의 광산 경영을 도왔으나 망하고 동아일보 지국을 열었으나 당시 대중들의 무관심과
일제의 방해 등이 겹쳐 문을 닫았다.
이후 김소월은 극도의 빈곤에 시달리며 술에 의지하였다.
결국 1934년 12월 24일 뇌출혈로 사망했다
자살설이 많다
유서나 유언은 없었으나
아내에게 죽기 이틀 전,
"여보, 세상은 참 살기 힘든 것 같구려..."
라고 말하면서 우울해했다고 합니다.
암울했던 일제 강압 통치 시절,
32세의 짧은 생을
불꽃같이 살면서 詩作(시작) 활동을 했다.
성장 과정에서 겪은 '恨(한)'을
여성적 감성으로 주옥같은 많은 서정시를 남겼다
작품으로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
♡진달래꽃,
♡개여울,
♡강촌,
♡왕십리,
♡산유화,
♡초혼 등이 있으며
대표작으로 전 국민의 애���시
"진달래꽃 1925", "산유화"가 있다.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교과서에 실려 유명해졌던
"초혼"이란 詩에는 슬픈 사연이 담겨져 있다.
1904년, 김소월이 세살 때
아버지 김성도가 일본인들에게
폭행당해 정신 이상자가 되었다.
이 후 광산을 운영하고 있었던
조부 집으로 이사하여
아픈 상처를 가진 채 성장한다.
남산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북 정주의 오산학교로 진학했다.
오산학교 시절에
김소월은 3살 많은 누나 '오순'을 알게 된다.
둘은 서로 의지하고 상처를 보듬으며 사랑한다.
그러나 그 행복은 너무나 짧았다.
오산학교 재학 중 14세 때
할아버지의 친구의 손녀인 홍단실과
강제로 결혼한다.
당시는 흔한 일이었다.
세월이 흘러 오순이 19살이 됐을 때,
그녀도 억지로 다른 사람과 결혼하게 된다.
이후 둘의 연락은 끊겼지만
소월은 어려울 때
자신의 아픔을 보듬어주던 오순을 잊지 못했다.
그러나 운명의 신은 가혹해서
얼마 되지 않아
너무나 가슴 아픈 사건이 발생한다.
3년 뒤에 오순이
그의 남편에게 맞아 사망한 것이다.
그 남편이란 작자는
심한 의처증에 시달려
걸핏하면 폭력을 일삼는 포악한 자였다.
소월은
가슴 아픈 마음을 안고 오순의 장례식에 참석한다.
그리고 사랑했던 그녀를 기리며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한편의 詩를 헌사한다.
바로 교과서에 실렸던 "초혼( 招魂)"이다.
招魂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에 남아 있는
말 한마디는
끝끝내 마저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가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招魂"은 사람이 죽었을 때
그 혼을 소리쳐 부르는 것을 뜻한다.
소월은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비탄과 절망감을
격정적인 어조로 절절히 노래하여
우리에게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김소월의 많은 작품 중
유명한 시들을 모아 올려본다!
소월의 아름다운 정서를 공유하며 ...
■ 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못 잊어💑
못 잊어 생각이 나겠지요.
그런 대로 한 세상 지내시구려
사노라면 잊힐 날 있으오리다.
못 잊어 생각이 나겠어요.
그런 대로 세월만 가라시구려
못 잊어도 더러는 잊히오리다.
그러나 또 한껏 이렇지요.
그리워 살뜨리 못 잊는데
어쩌면 생각이 나겠지요?
■ 산유화 ⚘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산에 산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있네.
산에서 우는 새여
꽃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네.
산에는 꽃지네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지네.
■ 개여울 🌨
당신은 무슨 일로 그리합니까
홀로이 개여울에 주저앉아서
파릇한 풀포기가
돋아 나오고
잔물이 봄바람에 헤적일 때에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시던
그러한 약속이 있었겠지요
날마다 개여울에
나와 앉아서
하염없이 무엇을 생각합니다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심은
굳이 잊지 말라는 부탁인지요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시던
그러한 약속이 있었겠지요
날마다 개여울에
나와 앉아서
하염없이 무엇을 생각합니다.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심은
굳이 잊지 말라는 부탁인지요.
■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
봄 가을 없이
밤마다 돋는 달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이렇게 사무치게 그리울 줄도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달이 암만 밝아도 쳐다볼 줄은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이제금 저 달이
설움인 줄은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 먼 후일 🎷
먼 훗날 당신이 찾으시면
그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당신이 속으로 나무라면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그래도 당신이 나무라면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고
먼 훗날 그때에 '잊었노라'
■ 가는 길 ⚘
그립다 말을 할까하니 그리워.
그냥 갈까 그래도
다시 한번 그리워
저 산(山)에도 까마귀,
들에 까마귀,
서산(西山)에는
해 진다고
지저귑니다.
앞강물 뒷강물
흐르는 물은
어서 따라 오라고
따라 가자고
흘러도 연달아 흐릅디다려.
■ 무덤 🌱
그 누가
나를 헤내는 부르는 소리
그림자 가득한 언덕으로
여기 저기, 그 누가
나를 헤내는 부르는 소리
부르는 소리, 부르는 소리
내 넋을 잡아 끌어 헤내는
부르는 소리...
___________
김소월은
민족의 전통과
민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한 詩를 남겼다
그의 대표작 진달래꽃은
단순한 이별의 슬픔을 넘어
한국인의 정서를 상징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 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라는 싯���는
깊은 체념과 배려 속에서
고통을 승화시킨 恨(한)의 정수를 보여준다
김소월의 詩는
당시 일제 강점기라는 민족적 아픔과 억압을 담아내며 많은 이들의 공감을 이끌었다
그러나 문학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의 개인적 삶은 고통으로 가득했다
어린시절 부터 아버지의 정신질환과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성장했으며
결혼생활 또한 원만하지 못했다
이 모든 요소는
그의 내면에 깊은 고독감을 심어 주었다 .
문학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심리적 압박 시적 영감과
이상을 추구하는 내면과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현실의 무게는
그의 삶을 점점 무겁게 했다
1934년 12월 24일
끝내 자신의 生을 마감했다.
그의 나이 겨우 32세 때.
3 notes
·
View notes
Text
지난 주일 지~~~인짜 빡시게 순종하고 집에 와서 그냥 쉰게 아니고 매장에 전등 갓을 바꾸는 작업..
우리 매장은 전등갓이 한지로 되어있어 바람이 불돈가 하면 여기저기 부딪쳐 구멍이 나고 찢어지는 안타까운 상황이 반복되는데
이걸 바꾸자니 아깝기도 하고 한지가 주는 한지만의 조명효과가 아주 굳 이란 맒씀
그래서 피곤함을 무릎쓰고 먼저 붙였던 한지를 떼어내는데 이게 쉬운가..?
눈도 가물거리고 결국 돋보기 안경을 착용하고 긁어내서 한지를 붙이려니 허거거거걱 ..
한지가 부족해 ..
에이 .. 이런 .. 감사한 일이 .
그래서 찾아보니 마침 한지는 없고 약재 포장하는 부직포 자루가 적당한게 있어 두장을 해체해 등에 부착하니
오메나... 대박 좋은거 .. 👍
그래서 자주 안찢어지는 쪽은 한지로 자주 찢어지는 쪽은 부직포로 교체완료 ..
얼핏보면 차이가 없는데 불빛이 새어나오는 쪽이 부직포 ㅎㅎㅎㅎ
첨에 한지가 없을때 원망하지 않고 뭔가 방법이 없을까..? 라고 주님을 의지하니 하나님께서 더 나은 방법을.알려 주셔서 더 나은 재료로 등이 완성되네요 ㅎㅎㅎㅎ
역시 우리 주님은 다 뜻이 있으셩 .. ㅎㅎㅎ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주님의 뜻가운데 믿음으로 승리하는 복된 2025년 되시길 기원합니다 ^ ^
#광명전통시장 #광명시장 #전통시장 #추천맛집 #광명왕족발 #광명할머니왕족발 은 #광명소셜상점 #광명8경 #광명동굴 #광명시 #LocalGuides 와 함께 합니다


6 notes
·
View notes
Text
아빠의 부재 이후부터 힘들지 않은 날이 별로 없었지만 지난 삼 년이 가장 힘들었던 것 같다. 설명하거나 이해를 구하는 일이 버거워서 숨고 싶었던 날들 차츰차츰 괜찮아지는가 싶은데 나도 어딘가 모르게 괜찮아져야 할 것 같은 기분이라 이번 달만큼은 조금 더 쉬어야 겠다 …라고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적어 넣고 싶었는데 그러지 않은 소심한 사람은 바로 나다 ㅋ
솔직한 심경이며 지인들의 이해를 구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 저리 하고 싶었던 것 같은데 망설이다가 하지 않은 것은 지나치게 솔직하거나 무거운 감정 혹은 어두운 얘기는 타인에게 하고 싶지 않아 하는 성향 때문이겠지.
또, 그렇게 힘들기도 했지만 그러던 중 좋은 사람을 만나서 행복하기도 하니까 과거의 그림자를 얘기하는 것이 조심스러운 이유도 있을 것이다.
그나저나 이번주에 시영은 요리를 시작했다. 세 번이나 맛있는 것들을 만들어줬는데 파스타와 중국식 볶음요리, 퀘사디아 모두 굉장히 맛있었다.
시영은 동글동글하고 다정한 사람이다. 요리도 운전도 그렇게 한다. 반면에 나는 섬세하다 못해 예민하며 동글동글한 척하는 사람인 것 같다.
지난 월요일부터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서 이틀동안은 아무 일도 않고 멍하니 며칠을 보냈다. 텀블러에 조차 글을 적지 못할만큼 헛헛한 상태였다. 그럴 땐 그래도 펜을 들어 일기를 적는다. 예전에는 누군가에게 어떤 얘기든 털어놔야만 했었는데 그럴 때마다 적잖은 후회를 했었다. 어느 순간부터 힘들 때 말하지 않고 글을 쓰는 습관이 생겨서 참 다행이다.
새해 첫 약속으로는 외교관들이 자리하는 작은 신년회가 있다. 이런 개복치 모드에 하필… 이란 생각도 들지만 그래도 감기몸살이라 하고 안 가버리는 건 하지 않기로 했다.
아무튼 오늘도 나에게 힘내라고 말해주고 싶다.
2 notes
·
View notes
Text
이 세계 미궁에서 하렘을 무검열 야스씬 2기 1화~ 초하렘
이 세계 미궁에서 하렘을 무검열 야스씬 2기 1화~ 초하렘 ver 알려드릴게요. 텍본 및 at-x 초하렘 버전 ova 7화 14화 재밌습니다.
이 세계 미궁에서 하렘을 무검열 야스씬 애니24 링크 <
1기 2기 만화 애니 다 재밌습니다.
이 세계 미궁에서 하렘을 주제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하렘은 일반적으로 동양 문화에서 왕족이나 귀족 가문의 남성들이 거주하는 여성 전용 생활 공간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공간은 특별한 관리자나 시녀들에 의해 운영되며, 왕이나 귀족에게 여러 여성들이 모여 서로 경쟁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곳입니다. 이러한 문화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으며, 특히 중동과 아시아 지역에서 두드러졌습니다.
이 세계 미궁에서 하렘을 무검열 야스씬 2기 1화~ 초하렘 하렘의 역사 1.1. 동양 문화의 특징 하렘은 주로 동양 문화에서 발전하였으며, 터키, 이란, 인도, 중국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지역에서 하렘은 왕실의 권력을 상징하고, 귀족 사회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특히 이슬람 문화에서 하렘은 이슬람 법률인 샤리아에 근거하여 조직되었습니다.
1.2. 역사적 배경 하렘은 과거에는 왕의 여러 아내와 자녀들이 함께 거주하는 곳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하렘은 귀족 남성들이 수많은 처녀들과 히키코모리들을 가지고 관리하는 곳으로 변모하게 되었습니다.
하렘의 구조와 기능 2.1. 건물 구조 하렘은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건물로 구성되었습니다. 대부분의 하렘은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내부 정원이나 중정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개의 방과 화장실, 대형 거실 및 연회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2. 관리체계 하렘은 여러 관리자 및 시녀들에 의해 운영되었습니다. 하렘 내에서는 여성들 간의 등급이나 지위에 따라 다양한 계급이 형성되었습니다. 또한 왕이나 귀족의 선호에 따라 특정한 여성들이 더 많은 권력과 영향력을 가지기도 했습니다.
이 세계 미궁에서 하렘을 무검열 야스씬 2기 1화~ 초하렘 사회적 역할 3.1. 왕과의 관계 하렘은 왕의 정치적인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곳으로 여겨졌습니다. 왕은 하렘 내 여러 여성들 중 하나를 자신의 왕비로 선택하였으며, 하렘 내 여성들 간의 경쟁은 왕의 관심을 끌기 위한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3.2. 여성 간 경쟁 하렘은 자리를 얻기 위한 치열한 경쟁의 장이기도 했습니다. 각 여성들은 자신의 매력과 미모를 부각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왕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지위를 높이기 위해 경쟁했습니다.
하렘의 문화적 영향 4.1. 예술과 문학 하렘은 예술과 문학의 중심지로서 발전하였습니다. 수많은 시인, 작가, 화가들이 하렘 내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을 창작하였으며, 이러한 작품들은 하렘 문화의 풍요로움을 보여주었습니다.
4.2. 교육과 지식의 전달 하렘 내에서는 여성들에게 교육이 제공되었으며, 특히 시녀들은 음악, 미술, 문학 등의 분야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또한 하렘은 정치적인 토론과 사회적인 활동의 장으로서도 기능했습니다.
현대의 하렘 현대에는 하렘이 역사적인 의미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여성들의 권리와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면서 하렘 문화는 사라져가고 있으며, 오래된 관행과 전통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이 세계 미궁에서 하렘을 무검열 야스씬 2기 1화~ 초하렘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와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적인 변화와 함께 현대 사회에서도 그 의미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와 현재의 문화와 사회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8 notes
·
View notes
Text
Women considered to be the most beautiful in Korean History - Part 1
More than a century ago, a remarkable group of women known as Kisaengs captivated the elite with their captivating performances without ever compromising their dignity.
These extraordinary women, often referred to as the celebrities of their era, were renowned for their beauty and talent, as evidenced by historical records that ranked the most enchanting kisaengs of that time!
Oh San-wol (오산월;吳山月)
Oh San Wol, a gisaeng from Pyongyang in the 1920s, remains a mysterious figure due to the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about her background and life. Despite the scarcity of material, her photos have managed to capture attention because of her stunning beauty. She was known to have been a graduate of the Pyeongyang Gisaeng School, gaining immense popularity among 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er fame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postcards featuring her image that were sold, indicating her widespread appeal.

Kisaeng's Oh San-wol (오산월) and Lim Chun-hong (임춘홍) are posing together for a picture.
At the time, they were both among the best kisaeng's of their time.

Both in black and white and colour and remastered.

I'm not shore where this picture came fronm, i think a book, but it talks about Oh Sal-wol and Lee Chun-hong. This is what the text says in Korean: 기생 오산월(吳山月) 당대의 유명한 기생이었던 오산월. (사진 왼쪽) 산월이는 오늘 저녁에도 이저바컷든 것처럼 제 나회를 따저 보았다. '홍 수물납금! 기생은 갓 수물이 한갑이라는데………………." 산월이는 머릿맛을 더듬어 자루 달닌 거울을 집어드럿다. 그리고 수물닙급은커녕 서른 살도 넘어 보히는 제 얼굴을 한참이나 홀터보다가 화가 나는 드시 거울을 내던지고 거이 입버릇처럼 "망한 녀석!" 하고는 한숨을 지엿다. 이 산월이의 '망한 녀석' 이란 늘 두 녀석을 가리킨 것이다. 한 녀석은 지금으로부터 오륙 년 전에 산일 이에게 밋처서 단이다가 산월이가 그럿케 말니는 것도 듯지 안코 아편을 찌르기 시작해 마 음씨 착한 산월이의 알돈 사천 원을 드러먹고 나중에는 산월이 집에서 독약을 먹고 죽어 송장 감장도 감장이려니와 죄 없는 산월이를 수십 차례나 경찰서 출립을 식힌 윤가(哥) 라는 녀석이요 다른 한 녀석은 산월이가 수물네 살 되든 해 봄인데 그도 화채 한 푼 제법 이럿타 못하는 똑 건달녀석 하나가 꿈결 가��� 하룻밤 지내고 간 뒤에 산월이의 그 매부리 코만은 그냥 붓처 두엇슬지언정 특자백이」 하나로 궁지는 안을 만큼 불려단이든 그의 목 청을 그만 절벽으로 맨드러놋코 간 일홈도 성도 모르는 녀석이……………….
李泰俊,「妓生山月이, <별건곤> 제25호(1930)
I hope the translation makes sense in English:
Gisaeng Osanwol (吳) Osan Wall, a famous kisaeng of the time. (photo left) Sanwol watched my nahoe as if she was busy this evening. 'Flood payment! Gisaeng says that there is a pack of fresh water...……………." San-Wol followed the taste of his hair and opened the mirror with a bag. After looking at my face for a long time, let alone a water nip, Bo-hi, who was over 30, threw out the mirror and sighed, "Done guy!" as his habit. This "Done guy" of San-Wol always refers to two guys. One guy was a mere mortician to San-Ill five or five years ago, and it seems like San-Wol is doing the same thing. He began to poke at San-Ill's opium, exposed San-Wol's aldon of 4,000 won, died of poison at home, and later, San-Wol was cut off from the writing of the invoice. The other guy is Yoon-ga (哥), who cooled San-Wol from the police station dozens of times. He was 24 years old in spring, and after a night of dream value was spent on a straight stone that couldn't do anything like this, San-Wol's every-buckled nose was just a brush or two, but a special porcelain bag, and no matter how hard he was called into a corner, he might have stopped his neck and went to the cliff……………….
Lee Chun-hong, Oh Sang-wol, <Byeolgungon> No. 25 (1930)
When i looked further down the page, i found these only two comments, the last one being my favourite. I love the roaring 20s fashion, especially in eastern countries like Korea, China, and Japan.
In 1918, Oh San Wol was part of the Pyeongyang Association, a group that included other notable kisaengs such as Kwon Yeong-wol, Kim Geum-pa, and Park Geum-hong. Details about these women, including their backgrounds, skills, and current addresses, were documented in the 1918 publication 『朝鮮美人寶鑑』. Oh San Wol's image was also featured on postcar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side another famous kisaeng named Lim Chun-hong. These postcards were widely circulated and even appeared in newspapers multiple times, highlighting the popularity of these talented wome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ese two picture are of Oh Sal-wol in Western styles clothing both in black and white and colour. Because Kisaeng's enjoyed there fame and popularity compared to modern celebrities, they were lavishly dressed up in fur coats and Western style clothes.
The kisaengs of that time were not only known for their beauty but also for their skills in various art forms such as dance, singing, calligraphy, and painting. They were graduates of specialized schools that provided modern education, transforming them into well-rounded artists.

Oh San Wol and her contemporaries were not just entertainers but also respected figures in society, showcasing their talents and charm through their performances and appearances on postcards that have since become iconic symbols of that era.

I found this blog that shows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photo postcard of Oh Sal-wol. Oh Sal-wol's popularity among men was so immense that the benchmark for measuring popularity back then was the number of photo postcards men bought, and it was widely believed that she sold the highest amount.

I also found this picture on Café Naver .
Comments at the end of the blog, I'm not sure what the word means?
#south korea#history#korea#20s#30s#Kisaeng#Korean History#Korean Music History#Korean Artists#photography#Fashion
6 notes
·
View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