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Explore tagged Tumblr posts
Text
한 강 Han Kang – awarded the 2024 Nobel Prize in Literature – was born in 1970 in the South Korean city of Gwangju before, at the age of nine, moving with her family to Seoul. She comes from a literary background, her father being a reputed novelist. Alongside her writing, she has also devoted herself to art and music, which is reflected throughout her entire literary production. (x) more at wiki
#congratulations#nobel prize#literature#korean literature#한강#han kang#writer#novel#소년이 온다#채식주의자#south korea#korean#2024#자랑스럽습니다!#novelist#한승원#노벨문학상#book#books
103 notes
·
View notes
Text
앎에 대한 욕망은 필연적으로 음란할 수밖에 없다. 어떤 대상을 진심으로, 진실로 알 수 있는지, 그 가능성에 대한 의문은 잠시 접어두자. 우리가 말하는 앎은, 대상이 지닌 속성의 근사치에 가깝다. 양의 무한대 혹은 음의 무한대 혹은 어떤 특정상수를 향해서 끝없이 뻗어나가는 그래프의 곡선을 본 적이 있는가? 그것은 어떤 대상에 최대한 가까이 다가가려 하는 탐색자의 운동궤적을 닮아 있다. 이처럼 앎의 욕망은 개체와 개체 사이의 핵융합을 막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거리감의 벽을 무너뜨린다. 남은 것은 열정의 가속기 안에서 어느 한쪽이 파멸에 이를 때까지 뒤섞여 들어가는 일일 뿐이다. 개체들의 일시적인 합일로 말미암아 그들의 경계가 소멸하는 파국의 현장은 관능적이다. 그래서 사회적으로 존중해야 할 인력과 척력의 균형감을 삼켜버릴 듯 으르렁대는 앎의 욕망은, 보아서는 안될 현장을 훔쳐보는 자의 시점과 결부되어 있고, 그래서 · · · · · ·
1 note
·
View note
Text
노벨 문학상은 영화제 작품상 같은 게 아니야. 예술가의 일생과 그가 쓴 작품 전반에 걸친 메시지에 보내는 찬사와 헌정이야. <채식주의자>는 육식을 먹지 않는 여성을 통해 비폭력을 이야기하고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광주 5.18과 제주 4.3을 직접적으로 가지고 들어온 작품이야.
세계가 전쟁 중인데 기자회견이 무슨 의미가 있냐는 한강 작가의 말 자체로 자신의 작품에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는 걸 보여준 거잖아. 국가가 개인에게 퍼붓는 폭력이 멈추길 바라는 마음으로 한 글자, 한 문장, 한 문단씩 써 내려갔을 거라고. 윤석열과 김건희는 나라 살림을 망치고 있는 걸 넘어서, 지난밤에는 비상계엄을 선포했어.
무장한 군인이 계엄 무효투표를 하는 본 회의장 까지 밀고 들어왔다고 해. 국회를 점령했으면 투표는 하지 못했겠지. 그럼 오늘 아침부터는 군인들이 치안을 맡고 있었겠다. 정치 집회를 하지 못하는 건 물론이고 통금령이 떨어졌을 거야. 민주주의 시스템이 멈춰, 대통령은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를 수가 있다. 윤석열 계엄 발표문은 전두환을 떠올리게 했어. 똑같이 말했어. 광주에 대한민국을 위협하는 무장한 북한 간첩단이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고. 한국을 잡아 먹는 반국가세력이 있다고. (엄밀히 말하자면 광주시민들을 향해 총을 발포하고 나중에서야 빨갱이 간첩단이 있었다고 발표하지.)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죽음이 있다. 김건희 명품백 의혹이 불거지고 졸속으로 수사가 진행하는 사이 국민권익 위원장은 안방에서 숨진 체 발견돼. 그는 청렴, 부패, 채용비리 관련 업무 책임자로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 사건을 지휘한 사람이야. 군인이 나라를 지배한 시절에는 고문과 총으로 국민을 죽였지만 아내를 비호 하는 검사가 정부를 지배하면, 방식만 다르지, 똑같아, 서슬 퍼렇다고 표현하는 군사정권처럼 말이야.
올해 노벨상 시상식은 12월 10일. 한강 작가는 수상자로 참석한다.
13 notes
·
View notes
Text
Korean Word of the Day
채식주의자
Vegetarian
21 notes
·
View notes
Note
What is your opinion about Han Kang winning the 2024 nobel prize in literature? Is she the best representative of Korean literature nowadays?
This took a while to answer, sorry nonnie. I wanted to try making this as informative and helpful as possible- plus I was(and still am) kinda busy with preparing for college entrance stuff😅.
So!!! To answer your question:
The Korean author 한강(Han Kang) mainly writes fiction about human life and resisting violence, or historical fiction dealing with Korean modern history; I'm gonna focus more on the historical fiction side here though.
Her historical novels focus on the mental & physical scars left on Korea during the tumultuous period right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the Korean War, through the eyes of ordinary people whose lives were destroyed by each event. So Han Kang winning the Nobel Prize is super meaningful to us, because it means the world is taking an interest in Korean history, and the pain we went through.
There's a well-known quote in Korea; it was said b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dependence Activist & leader of the Provisional Korean Government, 김구(Kim Gu).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기 때문이다."
("The only thing I wish we had limitlessly is high power of culture. For the power of culture brings joy to ourselves, and furthermore gives joy to others.")
This quote means cultural power is crucial in drawing in the world to our side. If other countries enjoy our culture, they'll also take an interest in understanding us, which will in turn lead to them taking an interest in our wellbeing & listening to our voice. In fact, it's happening right now! People are learning Korean for K-Pop and K-Dramas! People are getting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Han Kang won the Nobel Prize for books about our history!!!
So, yeah. I think Han Kang's Nobel Prize is very important to Korea, because we're now one step closer to the world acknowledging the sufferings of our country that previously went unrecognized.
And yes, I think Han Kang's novels are a good representation not just of Korean literature, but of the spirit of Korea as well! A number of her works describe some horrific incidents in our history, and others present a calm sort of criticism on the violence of society. <채식주의자(The Vegetarian)>, one of her better-known works of fiction, is a neat slightly grotesque(?) example of this recurring theme of advocating for peace and resisting violence. (This one isn't about history BTW! It's about a woman resisting the lifestyle of her secular family.)
Both history and peace are especially important themes to Koreans. History, because we're always striving not to let it repeat & not to let unsolved disputes be forgotten. Peace, because we're in constant danger, from being the world's one and only divided country, among other things.
BUT, as many Koreans are pointing out, Han Kang is- though undisputedly very talented- one of many amazing writers in Korea. In fact, I've even heard people say up to 60~70% of Korean authors are likely capable of winning the Nobel Prize, if only their work would be translated properly. I- and a lot of others- think Han Kang's success on the international level is not only thanks to her own stellar talent, but also to her translator, Deborah Smith. Deborah Smith has been translating Han Kang's works for a while now, and her thoughtful translations have been much appreciated. NGL, I've seen so many Korean-to-English translations that suck so bad, so seeing Korean literature get translated by someone who very obviously cares a lot about the text? It was like a breath of fresh air after being stuck in the school auditorium for two hours. (And yes, I have just walked out of the school auditorium after being stuck there for two hours.)
This is a lil besides the point, but this is part of why I'm planning to start a Korean literature YouTube channel after I graduate. So many great works of Korean literature either have low-quality translations or don't have any at all, and I want to introduce those works to the wider world properly.
I still have a few months to go till graduation though, so in the meantime, I hope Han Kang's works, at least, get all the well-earned love and respect it deserves.
Thanks for the ask nonnie, and sorry again for the late answer! Feel free to ask if you have any additional questions- though I'm gonna be honest, I'll probably be late in answering those as well.😅 College entrance preparation is hard haha.
-Lilly xx
#this was fun to answer#lots to research & lots to think about yknow?#I'm still v young tbh so idk if my phrasing is easy enough to understand or if I represented Han Kang well enough#but I certainly tried my very best#thank you for the ask nonnie. I thrive on talking about Korea and/or literature and you combined both#Lilly's Korean stuff🇰🇷#han kang#한강#nobel prize#nobel literature prize#reading stuff#Lilly gets an ask
8 notes
·
View notes
Text
" Quando In-hye aveva poggiato sul tavolo le pietanze che aveva portato, Yeong-hye aveva detto: «Sorella, non devi più preoccuparti di portare tutte queste cose, adesso». Le aveva sorriso. «Non ho più bisogno di mangiare». «Ma cosa dici?». In-hye aveva fissato sua sorella come se fosse invasata. Era da tanto tempo che non la vedeva così felice; no, a dire il vero, era la prima volta. «Che cosa diamine stavi facendo, prima?» le aveva chiesto. Yeong-hye aveva risposto con un’altra domanda: «Sorella, tu lo sapevi?». «Sapevo cosa?». «Io non lo sapevo. Pensavo che gli alberi stessero a testa in su… L’ho scoperto solo adesso. In realtà stanno con entrambe le braccia nella terra, tutti quanti. Guarda, guarda là, non sei sorpresa?». Yeong-hye era balzata in piedi e aveva indicato la finestra. «Tutti quanti, stanno tutti a testa in giù». Era scoppiata in una risata incontenibile, e a In-hye erano tornati in mente alcuni momenti della loro infanzia in cui la faccia della sorella aveva esattamente la stessa espressione.
Momenti in cui i suoi occhi dalla palpebra singola si restringevano e diventavano completamente neri, e dalla sua bocca prorompeva quella risata innocente. «Sai come l’ho scoperto? Be’, ho fatto un sogno, e stavo sulla testa… Sul mio corpo crescevano le foglie, e dalle mani mi spuntavano le radici… E così affondavo nella terra. Sempre di più… Volevo che tra le gambe mi sbocciassero dei fiori, così le allargavo; le divaricavo completamente…». Sgomenta, In-hye aveva guardato gli occhi esaltati della sorella. «Devo dare acqua al mio corpo. Non ho bisogno di questo genere di cibo, sorella. Ho bisogno di acqua». "
Han Kang, La vegetariana, traduzione dal coreano di Milena Zemira Ciccimarra, Milano, Adelphi, 2024¹¹, pp. 145-146.
[Edizione originale: 채식주의자, Changbi editori, Corea del Sud, 2007]
#Han Kang#La vegetariana#letture#leggere#Corea del Sud#letteratura contemporanea#estremo oriente#donne#ribellione#famiglia#anoressia#disturbi alimentari#relazioni familiari#romanzo#Seoul#cibo#società coreana#macchia mongolica#morbosità#ossessioni#citazioni letterarie#schizofrenia#malattia mentale#depressione#conformismo#matrimonio#amore#Milena Zemira Ciccimarra#psiche#libri
3 notes
·
View notes
Video
youtube
풀영상은? 👉🏻 유튜브 '덴티피디아' @dentipedia_ 팔로우하고 치아 지키는 꿀팁 받아 가세요🦷 ——— [Disclaimer] 본 영상은 개개인의 진단이나 치료 목적이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한 김정훈 박사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시청하시는 분들의 체질, 가족력, 기왕력 등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채식 #치아건강 #채식의효과 #구강건강 #채식주의 #치아관리 #건강한생활 #채식의장단점 #치아건강팁 #채식주의자 What about the full video? 👉🏻 YouTube 'Dentipedia' @dentipedia_ Follow and get tips for protecting your teeth🦷 ——— [Disclaimer] This video is not for the purpose of individual diagnosis or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overall health promotion It's Dr. Kim Jung Hoon's personal opinion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family history, and history of the viewers I would like to inform you that other results may come out. #Vegetarian #DentalHealth #VegetarianEffects #Vegetarian #Vegetarian #Care #HealthyLiving #Vegetarian #VegetableHealthTips #Vegetarian
2 notes
·
View notes
Text
Books actor Hong Kyug has read
1. 村上春樹 「職業としての小説家」/Novelist as a Vocation by Haruki Murakami (2015)
[Nylon Korea March 2018 |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 Livro do Desassossego/The Book of Disquiet by Fernando Pessoa (1982)
[2018.10.12 bluecages instagram post | 2021.10.26 naver fancafe post | Dazed Korea January 2022 |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3. Wenn die Haut zu dünn ist: Hochsensibilität – vom Manko zum Plus by Rolf Sellin (2011)
[2018.10.12 bluecages instagram post]
4. The Great Gatsby by F. Scott Fitzgerald (1925)
[2018.10.12 bluecages instagram post]
5. Henry V by William Shakespeare
[2018.10.12 bluecages instagram post]
6. 제11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 강화길 <음복> "The 11th Young Writer Award Collection: Eumbok (Partaking of Sacrificial Food and Drink)" by Kang Hwa-gil (2020)
[매경Economy interview ② 2020 | Cine21 June 2020 1259th edition]
7. Winners Take All by Anand Giridharadas (2018)
[Cine21 June 2020 1259th edition | bluecages Q&A instagram story |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8. Bieguni/Flights by Olga Tokarczuk (2007)
[매경Economy 2020 interview ②]
9. 村上春樹 「色彩を持たない多崎つくると、彼の巡礼の年」/Colorless Tsukuru Tazaki and His Years of Pilgrimage by Haruki Murakami (2013)
[bluecages Q&A instagram story | Minumsa naver blog/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 Dazed Korea January 2022]
10. The Shallows by Nicholas G. Carr (2010)
[bluecages Q&A instagram story]
11. 강화길, 서이제, 임솔아 <소설 보다 : 여름 2020> "See the Novel: Summer 2020" by Kang Hwa-gil, Seo I-je, Im Sol-ah
[bluecages Q&A instagram story | 2020.07.14 bluecages instagram post]
12. Agnès Varda: Interviews, Ed. T. Jefferson Kline (2014)
[bluecages Q&A instagram story]
13. 박은지 <여름 상설 공연>/"Summer Permanent Performance" by Park Eun-ji (2021)
[2021.11.03 bluecages instagram story]
14. 전하영, 김멜라, 김혜진, 박서련, 서이제, 한정현, 김지연 <2021 제12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The 12th Young Writer Award Collection" by Jun Ha-young, Kim Mel-la, Kim Hye-jin, Park Seo-ryun, Seo I-je, Han Jung-hyun, Kim Ji-yeon (2021)
[bluecages instagram story]
15. 村上春樹 「女のいない男たち」/Men Without Women by Haruki Murakami (2014)
[2022.02.08, 2022.02.14 bluecages instagram story | Allure Korea March 2022 | Marie Claire Korea June 2022 | Minumsa naver blog/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16. 한강 <작별하지 않는다>/I Do Not Bid Farewell by Han Kang (2021)
[Marie Claire Korea June 2022 | 2022.09.19, 2022.10.01, 2022.10.03 bluecages instagram story, GQ Korea February 2024]
17. 김진영 <아침의 피아노> "The Morning Piano" by Kim Jin-young (2018)
[2022.05.30 bluecages instagram story | Marie Claire Korea June 2022]
18. 정보라 <저주토끼>/Cursed Bunny by Chung Bo-ra (2017)
[Marie Claire Korea June 2022 |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19. 최은영 <애쓰지 않아도> "Don’t Push Yourself" by Choi Eun-young (2022)
[bluecages instagram story]
20. 太宰治 「人間失格」/No Longer Human by Osamu Dazai (1948)
[Minumsa naver blog/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1. 장강명 <한국이 싫어서> "Because I Don't Like Korea" by Chang Kang-myoung (2015)
[Minumsa naver blog/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2. 松家仁之 「火山のふもとで」 "At the Foot of a Volcano" by Masashi Matsuie (2012)
[Minumsa naver blog/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3. 박준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Although Crying Would Not Change Anything" by Park Joon (2017)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4. 한강 <소년이 온다>/Human Acts by Han Kang (2014)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5. 한강 <채식주의자>/The Vegetarian by Han Kang (2007)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6. The Remains of the Day by Kazuo Ishiguro (1989)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7. 松家仁之 「光の犬」 "Dog of Light" by Masashi Matsuie (2017)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8. 유현준 <공간이 만든 공간> "Space Created Space" by Yoo Hyun-joon (2020)
[Littor 36th edition/읽는 사람]
29. 한강 <여수의 사��>/Yeosu by Han Kang (1995)
[Cine21 LIST 2022/GQ Korea February 2024]
30. Swimming in the Dark by Tomasz Jedrowski (2020)
[2023.01.17 bluecages instagram post]
31. 읽는 사람-허윤선 인터뷰집/Reader: Interview Collection by Heo Yoon-sun (2023)
[2023.04.15 bluecages instagram story]
32. 한강 <내 여자의 열매>/Fruits of My Woman by Han Kang (2000)
[Elle Korea September 2023]
33. 한강 <검은 사슴>/Black Deer (1998)
[GQ Korea February 2024]
34. 한강 <흰>/ The White Book (2016)
[GQ Korea February 2024]
35. Haruki Murakami 「一人称単数」 / First Person Singular (2020)
[bluecages instastory]
36. Yoshifumi Nakamura 「住宅巡禮」 "Housing Tour"
[bluecages instastory]
Goodreads Listopia:
12 notes
·
View notes
Text
빛과 실
지난해 1월, 이사를 위해 창고를 정리하다 낡은 구두 상자 하나가 나왔다. 열어보니 유년 시절에 쓴 일기장 여남은 권이 담겨 있었다. 표지에 ‘시집’이라는 단어가 연필로 적힌 얇은 중철 제본을 발견한 것은 그 포개어진 일기장들 사이에서였다. A5 크기의 갱지 다섯 장을 절반으로 접고 스테이플러로 중철한 조그만 책자. 제목 아래에는 삐뚤빼뚤한 선 두 개가 나란히 그려져 있었다. 왼쪽에서부터 올라가는 여섯 단의 계단 모양 선 하나와,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일곱 단의 계단 같은 선 하나. 그건 일종의 표지화였을까? 아니면 그저 낙서였을 뿐일까? 책자의 뒤쪽 표지에는 1979라는 연도와 내 이름이, 내지에는 모두 여덟 편의 시들이 표지 제목과 같은 연필 필적으로 또박또박 적혀 있었다. 페이지의 하단마다에는 각기 다른 날짜들이 시간순으로 기입되어 있었다. 여덟 살 아이답게 천진하고 서툰 문장들 사이에서, 4월의 날짜가 적힌 시 한 편이 눈에 들어왔다. 다음의 두 행짜리 연들로 시작되는 시였다.
사랑이란 어디 있을까?
팔딱팔딱 뛰는 나의 가슴 속에 있지.
사랑이란 무얼까?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이지.
사십여 년의 시간을 단박에 건너, 그 책자를 만들던 오후의 기억이 떠오른 건 그 순간이었다. 볼펜 깍지를 끼운 몽당연필과 지우개 가루, 아버지의 방에서 몰래 가져온 커다란 철제 스테이플러. 곧 서울로 이사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 뒤, 그동안 자투리 종이들과 공책들과 문제집의 여백, 일기장 여기저기에 끄적여놓았던 시들을 추려 모아두고 싶었던 마음도 이어 생각났다. 그 ‘시집’을 다 만들고 나�� 어째서인지 누구에게도 보여주고 싶지 않아졌던 마음도.
일기장들과 그 책자를 원래대로 구두 상자 안에 포개어 넣고 뚜껑을 덮기 전, 이 시가 적힌 면을 휴대폰으로 찍어두었다. 그 여덟 살 아이가 사용한 단어 몇 개가 지금의 나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뛰는 가슴 속 내 심장.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 그걸 잇는 금(金)실- 빛을 내는 실.
*
그후 14년이 흘러 처음으로 시를, 그 이듬해에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나는 ‘쓰는 사람’이 되었다. 다시 5년이 더 흐른 뒤에는 약 3년에 걸쳐 완성한 첫 장편소설을 발표했다. 시를 쓰는 일도, 단편소설을 쓰는 일도 좋아했지만-지금도 좋아한다- 장편소설을 쓰는 일에는 특별한 매혹이 있었다. 완성까지 아무리 짧아도 1년, 길게는 7년까지 걸리는 장편소설은 내 개인적 삶의 상당한 기간들과 맞바꿈된다. 바로 그 점이 나는 좋았다. 그렇게 맞바꿔도 좋다고 결심할 만큼 중요하고 절실한 질문들 속으로 들어가 머물 수 있다는 것이.
하나의 장편소설을 쓸 때마다 나는 질문들을 견디며 그 안에 산다. 그 질문들의 끝에 다다를 때-대답을 찾아낼 때가 아니라- 그 소설을 완성하게 된다. 그 소설을 시작하던 시점과 같은 사람일 수 없는, 그 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변형된 나는 그 상태에서 다시 출발한다. 다음의 질문들이 사슬처럼, 또는 도미노처럼 포개어지고 이어지며 새로운 소설을 시작하게 된다.
세번째 장편소설인 <채식주의자>를 쓰던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나는 그렇게 몇 개의 고통스러운 질문들 안에서 머물고 있었다. 한 인간이 완전하게 결백한 존재가 되는 것은 가능한가? 우리는 얼마나 깊게 폭력을 거부할 수 있는가? 그걸 위해 더이상 인간이라는 종에 속하기를 거부하는 이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폭력을 거부하기 위해 육식을 거부하고, 종내에는 스스로 식물이 되었다고 믿으며 물 외의 어떤 것도 먹으려 하지 않는 여주인공 영혜는 자신을 구원하기 위해 매 순간 죽음에 가까워지는 아이러니 안에 있다. 사실상 두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영혜와 인혜 자매는 소리 없이 비명을 지르며, 악몽과 부서짐의 순간들을 통과해 마침내 함께 있다. 이 소설의 세계 속에서 영혜가 끝까지 살아 있기를 바랐으므로 마지막 장면은 앰뷸런스 안이다. 타오르는 초록의 불꽃 같은 나무들 사이로 구급차는 달리고, 깨어 있는 언니는 뚫어지게 창밖을 쏘아본다. 대답을 기다리듯, 무엇인가에 항의하듯. 이 소설 전체가 그렇게 질문의 상태에 놓여 있다. 응시하고 저항하며. 대답을 기다리며.
그 다음의 소설 <바람이 분다, 가라>는 이 질문들에서 더 나아간다. 폭력을 거부하기 위해 삶과 세계를 거부할 수는 ���다. 우리는 결국 식물이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정체와 이탤릭체의 문장들이 충돌하며 흔들리는 미스터리 형식의 이 소설에서, 오랫동안 죽음의 그림자와 싸워왔던 여주인공은 친구의 돌연한 죽음이 자살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분투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죽음과 폭력으로부터 온힘을 다해 배로 기어나오는 그녀의 모습을 쓰며 나는 질문하고 있었다. 마침내 우리는 살아남아야 하지 않는가? 생명으로 진실을 증거해야 하는 것 아닌가?
다섯번째 장편소설인 <희랍어 시간>은 그 질문에서 다시 더 나아간다. 우리가 정말로 이 세계에서 살아나가야 한다면, 어떤 지점에서 그것이 가능한가? 말을 잃은 여자와 서서히 시력을 잃어가는 남자는 각자의 침묵과 어둠 속에서 고독하게 나아가다가 서로를 발견한다. 이 소설을 쓰는 동안 나는 촉각적 순간들에 집중하고 싶었다. 침묵과 어둠 속에서, 손톱을 바싹 깎은 여자의 손이 남자의 손바닥에 몇 개의 단어를 쓰는 장면을 향해 이 소설은 느린 속력으로 전진한다. 영원처럼 부풀어오르는 순간의 빛 속에서 두 사람은 서로에게 자신의 연한 부분을 보여준다. 이 소설을 쓰며 나는 묻고 싶었다. 인간의 가장 연한 부분을 들여다보는 것- 그 부인할 수 없는 온기를 어루만지는 것- 그것으로 우리는 마침내 살아갈 수 있는 것 아닐까, 이 덧없고 폭력적인 세계 가운데에서?
그 질문의 끝에서 나는 다음의 소설을 상상했다. <희랍어 시간>을 출간한 후 찾아온 2012년의 봄이었다. 빛과 따스함의 방향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소설을 쓰겠다고 나는 생각했다. 마침내 삶을, 세계를 끌어안는 그 소설을 눈부시게 투명한 감각들로 충전하겠다고. 제목을 짓고 앞의 20페이지 정도까지 쓰다 멈춘 것은, 그 소설을 쓸 수 없게 하는 무엇인가가 내 안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
그 시점까지 나는 광주에 대해 쓰겠다는 생각을 단 한번도 해보지 않았다.
1980년 1월 가족과 함께 광주를 떠난 뒤 4개월이 채 지나지 않아 그곳에서 학살이 벌어졌을 때 나는 아홉 살이었다. 이후 몇 해가 흘러 서가에 거꾸로 꽂힌 ‘광주 사진첩’을 우연히 발견해 어른들 몰래 읽었을 때는 열두 살이었다. 쿠데타를 일으킨 신군부에 저항하다 곤봉과 총검, 총격에 살해된 시민들과 학생들의 사진들이 실려 있는, 당시 정권의 철저한 언론 통제로 인해 왜곡된 진실을 증거하기 위해 유족들과 생존자들이 비밀리에 제작해 유통한 책이었다. 어렸던 나는 그 사���들의 정치적 의미를 정확히 이해할 수 없었으므로, 그 훼손된 얼굴들은 오직 인간에 대한 근원적인 의문으로 내 안에 새겨졌다. 인간은 인간에게 이런 행동을 하는가, 나는 생각했다. ���시에 다른 의문도 있었다. 같은 책에 실려 있는, 총상자들에게 피를 나눠주기 위해 대학병원 앞에서 끝없이 줄을 서 있는 사람들의 사진이었다. 인간은 인간에게 이런 행동을 하는가. 양립할 수 없어 보이는 두 질문이 충돌해 풀 수 없는 수수께끼가 되었다.
그러니까 2012년 봄, ‘삶을 껴안는 눈부시게 밝은 소설’을 쓰려고 애쓰던 어느 날, 한번도 풀린 적 없는 그 의문들을 내 안에서 다시 만나게 된 것이었다. 오래 전에 이미 나는 인간에 대한 근원적 신뢰를 잃었다. 그런데 어떻게 세계를 껴안을 수 있겠는가? 그 불가능한 수수께끼를 대면하지 않으면 앞으로 갈 수 없다는 것을, 오직 글쓰기로만 그 의문들을 꿰뚫고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 순간이었다.
그후 1년 가까이 새로 쓸 소설에 대한 스케치를 하며, 1980년 5월 광주가 하나의 겹으로 들어가는 소설을 상상했다. 그러다 망월동 묘지에 찾아간 것은 같은 해 12월, 눈이 몹시 내리고 난 다음날 오후였다. 어두워질 무렵 심장에 손을 얹고 얼어붙은 묘지를 걸어나오면서 생각했다. 광주가 하나의 겹이 되는 소설이 아니라, 정면으로 광주를 다루는 소설을 쓰겠다고. 9백여 명의 증언을 모은 책을 구해, 약 한 달에 걸쳐 매일 아홉 시간씩 읽어 완독했다. 이후 광주뿐 아니라 국가폭력의 다른 사례들을 다룬 자료들을, 장소와 시간대를 넓혀 인간들이 전 세계에 걸쳐, 긴 역사에 걸쳐 반복해온 학살들에 대한 책들을 읽었다.
그렇게 자료 작업을 하던 시기에 내가 떠올리곤 했던 두 개의 질문이 있다. 이십대 중반에 일기장을 바꿀 때마다 맨 앞페이지에 적었던 문장들이다.
현재가 과거를 도울 수 있는가?
산 자가 죽은 자를 구할 수 있는가?
자료를 읽을수록 이 질문들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는 듯했다. 인간성의 가장 어두운 부분들을 지속적으로 접하며, 오래 전에 금이 갔다고 생각했던 인간성에 대한 믿음이 마저 깨어지고 부서지는 경험을 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을 쓰는 일을 더이상 진척할 수 없겠다고 거의 체념했을 때 한 젊은 야학 교사의 일기를 읽었다. 1980년 오월 당시 광주에서 군인들이 잠시 물러간 뒤 열흘 동안 이루어졌던 시민자치의 절대공동체에 참여했으며, 군인들이 되돌아오기로 예고된 새벽까지 도청 옆 YWCA에 남아 있다 살해되었던, 수줍은 성격의 조용한 사람이었다는 박용준은 마지막 밤에 이렇게 썼다. “하느님, 왜 저에게는 양심이 있어 이렇게 저를 찌르고 아프게 하는 것입니까? 저는 살고 싶습니다.”
그 문장들을 읽은 순간, 이 소설이 어느 쪽으로 가야 하는지 벼락처럼 알게 되었다. 두 개의 질문을 이렇게 거꾸로 뒤집어야 한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
과거가 현재를 도울 수 있는가?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
이후 이 소설을 쓰는 동안, 실제로 과거가 현재를 돕고 있다고, 죽은 자들이 산 자를 구하고 있다고 느낀 순간들이 있었다. 이따금 그 묘지에 다시 찾아갔는데, 이상하게도 갈 때마다 날이 맑았다. 눈을 감으면 태양의 주황빛이 눈꺼풀 안쪽에 가득 찼다. 그것이 생명의 빛이라고 나는 느꼈다. 말할 수 없이 따스한 빛과 공기가 내 몸을 에워싸고 있다고.
열두 살에 그 사진첩을 본 이후 품게 된 나의 의문들은 이런 것이었다. 인간은 어떻게 이토록 폭력적인가? 동시에 인간은 어떻게 그토록 압도적인 폭력의 반대편에 설 수 있는가? 우리가 인간이라는 종에 속한다는 사실은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인간의 참혹과 존엄 사이에서, 두 벼랑 사이를 잇는 불가능한 허공의 길을 건너려면 죽은 자들의 도움이 필요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어린 동호가 어머니의 손을 힘껏 끌고 햇빛이 비치는 쪽으로 걸었던 것처럼.
당연하게도 나는 그 망자들에게, 유족들과 생존자들에게 일어난 어떤 일도 돌이킬 수 없었다. 할 수 있는 것은 내 몸의 감각과 감정과 생명을 빌려드리는 것뿐이었다. 소설의 처음과 끝에 촛불을 밝히고 싶었기에, 당시 시신을 수습하고 장례식을 치르는 곳이었던 상무관에서 첫 장면을 시작했다. 그곳에서 열다섯 살의 소년 동호가 시신들 위로 흰 천을 덮고 촛불을 밝힌다. 파르스름한 심장 같은 불꽃의 중심을 응시한다.
이 소설의 한국어 제목은 <소년이 온다>이다. ‘온다’는 ‘오다’라는 동사의 현재형이다. 너라고, 혹은 당신이라고 2인칭으로 불리는 순간 희끄무레한 어둠 속에서 깨어난 소년이 혼의 걸음걸이로 현재를 향해 다가온다. 점점 더 가까이 걸어와 현재가 된다. 인간의 잔혹성과 존엄함이 극한의 형태로 동시에 존재했던 시공간을 광주라고 부를 때, 광주는 더이상 한 도시를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가 된다는 것을 나는 이 책을 쓰는 동안 알게 되었다. 시간과 공간을 건너 계속해서 우리에게 되돌아오는 현재형이라는 것을. 바로 지금 이 순간에도.
*
그렇게 <소년이 온다>를 완성해 마침내 출간한 2014년 봄, 나를 놀라게 한 것은 독자들이 이 소설을 읽으며 느꼈다고 고백해온 고통이었다. 내가 이 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느낀 고통과, 그 책을 읽은 사람들이 느꼈다고 말하는 고통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해 나는 생각해야만 했다. 그 고통의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인간성을 믿고자 하기에, 그 믿음이 흔들릴 때 자신이 파괴되는 것을 느끼는 것일까? 우리는 인간을 사랑하고자 하기에, 그 사랑이 부서질 때 고통을 느끼는 것일까? 사랑에서 고통이 생겨나고, 어떤 고통은 사랑의 증거인 것일까?
같은 해 유월에 꿈을 꾸었다. 성근 눈이 내리는 벌판을 걷는 꿈이었다. 벌판 가득 수천 수만 그루의 검은 통나무들이 심겨 있고, 하나하나의 나무 뒤쪽마다 무덤의 봉분들이 있었다. 어느 순간부터 운동화 아래에 물이 밟혀 뒤를 돌아보자, 지평선인 줄 알았던 벌판의 끝에서부터 바다가 밀려들어오고 있었다. 왜 이런 곳에다 이 무덤들을 썼을까, 나는 스스로에게 물었다. 아래쪽 무덤들의 뼈들은 모두 쓸려가버린 것 아닐까. 위쪽 무덤들의 뼈들이라도 옮겨야 하는 것 아닐까, 더 늦기 전에 지금. 하지만 어떻게 그게 가능할까? 나에게는 삽도 없는데. 벌써 발목까지 물이 차오르고 있는데. 꿈에서 깨어나 아직 어두운 창문을 보면서, 이 꿈이 무엇인가 중요한 것을 말하고 있다고 느꼈다. 꿈을 기록한 뒤에는 이것이 다음 소설의 시작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것이 어떤 소설일지 아직 알지 못한 채 그 꿈에서 뻗어나갈 법한 몇 개의 이야기를 앞머리만 썼다 지우기를 반복하다가, 2017년 12월부터 2년여 동안 제주도에 월세방을 얻어 서울을 오가는 생활을 했다. 바람과 빛과 눈비가 매순간 강렬한 제주의 날씨를 느끼며 숲과 바닷가와 마을길을 걷는 동안 소설의 윤곽이 차츰 또렷해지는 것을 느꼈다. <소년이 온다>를 쓸 때와 비슷한 방식으로 학살 생존자들의 증언들을 읽고 자료를 공부하며, 언어로 치환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느껴지는 잔혹한 세부들을 응시하며 최대한 절제하여 써간 <작별하지 않는다>를 출간한 것은, 검은 나무들과 밀려오는 바다의 꿈을 꾼 아침으로부터 약 7년이 지났을 때였다.
소설을 쓰는 동안 사용했던 몇 권의 공책들에 나는 이런 메모를 했다.
생명은 살고자 한다. 생명은 따뜻하다.
죽는다는 건 차가워지는 것. 얼굴에 쌓인 눈이 녹지 않는 것.
죽인다는 것은 차갑게 만드는 것.
역사 속에서의 인간과 우주 속에서의 인간.
바람과 해류. 전세계를 잇는 물과 바람의 순환.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연결되어 있다, 부디.
이 소설은 모두 3부로 이루어져 있다. 1부의 여정이 화자인 경하가 서울에서부터 제주 중산간에 있는 인선의 집까지 한 마리 새를 구하기 위해 폭설을 뚫고 가는 횡의 길이라면, 2부는 그녀와 인선이 함께 인간의 밤 아래로-1948년 겨울 제주도에서 벌어졌던 민간인 학살의 시간으로-, 심해 아래로 내려가는 수직의 길이다. 마지막 3부에서 두 사람이 그 바다 아래에서 촛불을 밝힌다.
친구인 경하와 인선이 촛불을 넘겼다가 다시 건네받듯 함께 끌고 가는 소설이지만, 그들과 연결되어 있는 진짜 주인공은 인선의 어머니인 정심이다. 학살에서 살아남은 뒤, 사랑하는 사람의 뼈 한 조각이라도 찾아내 장례를 치르고자 싸워온 사람. 애도를 종결하지 않는 사람. 고통을 품고 망각에 맞서는 사람. 작별하지 않는 사람. 평생에 걸쳐 고통과 사랑이 같은 밀도와 온도로 끓고 있던 그녀의 삶을 들여다보며 나는 묻고 있었던 것 같다. 우리는 얼마나 사랑할 수 있는가? 어디까지가 우리의 한계인가? 얼마나 사랑해야 우리는 끝내 인간으로 남는 것인가?
*
<작별하지 않는다>를 출간한 뒤 3년이 흐른 지금, 아직 나는 다음의 소설을 완성하지 못하고 있다. 그 책을 완성한 다음에 쓸 다른 소설도 오래 전부터 나를 기다리고 있다. 태어난 지 두 시간 만에 세상을 떠난 언니에게 내 삶을 잠시 빌려주려 했던, 무엇으로도 결코 파괴될 수 없는 우리 안의 어떤 부분을 들여다보고 싶었던 <흰>과 형식적으로 연결되는 소설이다. 완성의 시점들을 예측하는 것은 언제나처럼 불가능하지만, 어쨌든 나는 느린 속도로나마 계속 쓸 것이다. 지금까지 쓴 책들을 뒤로 하고 앞으로 더 나아갈 것이다. 어느 사이 모퉁이를 돌아 더이상 과거의 책들이 보이지 않을 만큼, 삶이 허락하는 한 가장 멀리.
내가 그렇게 멀리 가는 동안, 비록 내가 썼으나 독자적인 ���명을 지니게 된 나의 책들도 자신들의 운명에 따라 여행을 할 것이다. 차창 밖으로 초록의 불꽃들이 타오르는 앰뷸런스 안에서 영원히 함께 있게 된 두 자매도. 어둠과 침묵 속에서 남자의 손바닥에 글씨를 쓰고 있는, 곧 언어를 되찾게 될 여자의 손가락도. 태어난 지 두 시간 만에 세상을 떠난 내 언니와, 끝까지 그 아기에게 ‘죽지 마, 죽지 마라 제발’이라고 말했던 내 젊은 어머니도. 내 감은 눈꺼풀들 속에 진한 오렌지빛으로 고이던, 말할 수 없이 따스한 빛으로 나를 에워싸던 그 혼들은 얼마나 멀리 가게 될까? 학살이 벌어진 모든 장소에서, 압도적인 폭력이 쓸고 지나간 모든 시간과 공간에서 밝혀지는, 작별하지 않기를 맹세하는 사람들의 촛불은 어디까지 여행하게 될까? 심지에서 심지로, 심장에서 심장으로 이어지는 금(金)실을 타고?
*
지난해 1월 낡은 구두 상자에서 찾아낸 중철 제본에서, 1979년 4월의 나는 두 개의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고 있었다.
사랑이란 어디 있을까?
사랑은 무얼까?
한편 <작별하지 않는다>를 출간한 2021년 가을까지, 나는 줄곧 다음의 두 질문이 나의 핵심이라고 생각해왔었다.
세계는 왜 이토록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가?
동시에 세계는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가?
이 두 질문 사이의 긴장과 내적 투쟁이 내 글쓰기를 밀고 온 동력이었다고 오랫동안 믿어왔다. 첫 장편소설부터 최근의 장편소설까지 내 질문들의 국면은 계속해서 변하며 앞으로 나아갔지만, 이 질문들만은 변하지 않은 일관된 것이었다고. 그러나 이삼 년 전부터 그 생각을 의심하게 되었다. 정말 나는 2014년 봄 <소년이 온다>를 출간하고 난 뒤에야 처음으로 사랑에 대해- 우리를 연결하는 고통에 대해- 질문했던 것일까? 첫 소설부터 최근의 소설까지, 어쩌면 내 모든 질문들의 가장 깊은 겹은 언제나 사랑을 향하고 있었던 것 아닐까? 그것이 내 삶의 가장 오래고 근원적인 배음이었던 것은 아닐까?
사랑은 ‘나의 심장’이라는 개인적인 장소에 위치한다고 1979년 4월의 아이는 썼다. (팔딱팔딱 뛰는 나의 가슴 속에 있지.) 그 사랑의 정체에 대해서는 이렇게 대답했다.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이지.)
소설을 쓸 때 나는 신체를 사용한다.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부드러움과 온기와 차가움과 통증을 느끼는, 심장이 뛰고 갈증과 허기를 느끼고 걷고 달리고 바람과 눈비를 맞고 손을 맞잡는 모든 감각의 세부들을 사용한다. 필멸하는 존재로서 따뜻한 피가 흐르는 몸을 가진 내가 느끼는 그 생생한 감각들을 전류처럼 문장들에 불어넣으려 하고, 그 전류가 읽는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느낄 때면 놀라고 감동한다. 언어가 우리를 잇는 실이라는 것을, 생명의 빛과 전류가 흐르는 그 실에 나의 질문들이 접속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는 순간에. 그 실에 연결되어주었고, 연결되어줄 모든 분들에게 마음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0 notes
Text
"흑인 잔혹사"
2024년 10월 10일, 한강 씨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지도 거의 3주가 흘렀다. 개인적으로 문학을 좋아하지 않아 '채식주의자'가 맨부커상 받았단 뉴스를 접했을 때 이분 이름을 처음 들었고, 얼마 뒤 서점에 갔더니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란 시집에 있길래 읽어봤으나 내가 시 쏘울(soul)이 없는 사람이라 딱히 인상에 남은 건 없었던.
인터넷 검색하니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를 '고통 3부작'이라고도 부르나보다. 각각 어떤 내용인지는 대충 주워들었고, 그래서 아마도 읽지 못할 거 같다.
2006년 개봉한 '고야의 유령'이란 영화가 떠오른다. 사전 정보 없이 나탈리 포트만이 나온다길래 봤다가 인간의 잔혹성에 치가 떨렸고 뒤끝이 길어 혼났던 기억.
또 하나는 재즈 평론가 김진묵 씨가 2011년 출판한 '흑인 잔혹사'라는 책. 재즈 덕후로서 노예 무역 흑역사를 차마 외면할 수 없어 읽긴 했으나 몇십 쪽 읽자마자 "와… 씨발…" 분노 감정이 치솟길래 책 덮고 잠깐 마음 추스린 뒤 다시 읽다가 얼마 안 돼 또다시 "와… 씨발…"을 반복하며 꾸역꾸역 끝까지 읽은 기억.
나는 197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격동의 근현대사를 책으로만 접했을 뿐 참혹한 현실을 실제로 목도한 적이 없다. 독재 정권 땐 세상 물정을 몰랐고, 나이 든 뒤부턴 주변이 비교적 평화로웠다. 덕분에 50년 넘는 세월을 전쟁터 장기알이나 자본주의 기계 부품으로 전락하지 않고 내 맘대로 잘 살아남았단 게 얼마나 역사의 행운아였는지? 만약 윤회가 정말로 있어서 다음 생애에 인간으로 태어나더라도 이런 복을 한번 더 타고나리란 보장은 없을 것.
1 note
·
View note
Text
■제주도, 한강 소설 속 유적지 활용 역사탐방 프로그램 추진
제주도는 21일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작인 『작별하지 않는다』에 등장하는 유적지를 활용해 역사탐방(다크투어)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작품은 제주4·3 사건을 배경으로, 그 당시의 아픔과 생존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주요 유적지로는 정방폭포 인근 학살터, 성산일출봉 주변, 주민들이 숨었던 동굴 등 다양한 장소가 탐방 대상지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저는 오늘도 시간을 내어 '채식주의자', '소년은 온다'에 이어 '작별하지 않는다 '를 읽고 있습니다. 다크투어를 위해 반복해서 여러번 읽을 계획입니다.
#한강 #노벨문학상 #역사탐방 #작별하지않는다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