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해 우리는
Explore tagged Tumblr posts
snoozebin · 1 year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 “My dream is to bask in the sun during the day and to lie underneath a lamp at nigh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 🌴 — 🍃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234 notes · View notes
naksushadows · 7 months ago
Text
“My dream is to bask in the sun during the day and to lie underneath a lamp at night.” – Choi Ung
19 notes · View notes
tarodango · 1 year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15 notes · View notes
bts-trans · 2 months ago
Text
250303 Weverse Translations
RM's Post ❇️ with V's Comment 💬
바깥은 봄인가요 화천은 눈이 17cm가 왔습니다 전북 어디는 영상 20도가 넘���다는데 확실히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 멋진 대한민국 맞습니다 음 갑자기 후임 하나가 생활관 앞에 이글루를 만들고 있습니다 여기서 추억이 참 많을 것 같아요 예.. 세상은 요지경 이제 대학생들은 개강을 하고 초중고딩 친구들은 새학기가 시작되겠군요 저도 드디어 군생활 앞자리를 떨궜습니다 로빈 훗마냥 달력에 하루하루 X자를 치고 있답니다 저 조난된 걸까요 아마도.. 그럴지도 야간 점호를 하면 늘 독서 연등을 가는 게 습관입니다 최근엔 미루어왔던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 있습니다 사랑에 기술이라니 이게 웬 말일까요 사랑을 노력한다는 게.. 말이 되니? 요는 이렇습니다 우리는 그림을 잘 그리려고 기타를 잘 치려고 공부를 잘 하려고 수십 수백번 숙달하고 연습하면서 사람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사랑'은 왜 아무 연습도 숙달도 없이 그냥 하려는 거냐는 거죠 날로 먹으려는 그 마음! 현대 사회에서 사랑은 미디어나 자본주의에 의해 강렬한 감정과 드라마만 강조되어 오고 있지만 사실은 비장한 결의의고, 약속이며 결심이라는 것입니다 사랑엔 종류도 온도도 표정도 많겠지요 일대일이 아닌 일대다나 다대일인 우리는 어떤가요 음악을 만드는 사람은 무엇을 만들고, 듣는 사람들은 무엇을 듣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는 무엇을 바라보고 무엇을 사랑하고 있는가요? 저는 어떤 결심으로 여러분 앞에 11년을 서 왔을까요 그런 말랑한 생각들을 해 보았습니다 결론은.. 한 번쯤 일독을 권합니다 (출간된 지 50년이 넘어 좀 낡은 관념들이 있긴 합니다만.) 세 달 정도 남았습니다. 퍼센트로는 18% 그 전에 죽기야 할까요. 건강하게 인사드려야죠 정신과 시간의 방.. 갈수록 중력이 무겁네요 짝대기가 네 개라 그런가 드럽게 안 가긴 합니다만, 국방부 시계는 거꾸로 매달아도 간다니까요. 거꾸로도 매달아보고 돌려도 보고 540도로도 달아보고 그럴랍니다 제 사랑도 마음도 잘 재정비해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음악으로도 언어로도 들려드릴 이야기가 많네요 이제 봄입니다 봄이 오고 있습니다! (17cm 제설을 하며) 아 쫌 덥나? 싶으면 나가서 제가 저희가 계속 귀찮게 치근댈 예정이니 그전까지 갓생 사시길 바라겠읍니다 그럼 저는 보던 웹툰을 마저 보러 가보겠사와요 사랑합니다 오늘도 이건 결심이고 약속일 터입니다 보고싶슴다 초여름과 메뚜기떼 이놈들아 빨리 와 ! - 남준
Tumblr media
V: 잠만 이 글 너무 명석해보이잖아 (https://weverse.io/bts/artist/0-156513041)
Is it spring outside? Hwacheon just got 17cm of snowfall. But I heard somewhere in Jeonbuk it's been above 20 degrees. South Korea truly is a country where the four seasons are all so clearly present, such a cool nation.
Umm Suddenly, one of my juniors has started making igloos in front of the barracks. I feel like I'm going to have so many memories to take away from this place Yeah.. It's a strange world.
At around this time, college students are probably going back to college, and school kids are probably starting a new semester. For me, finally, my days in the military have fallen to the double digits I feel like Robin Hood, crossing out the days on my calendar. Have I become a castaway? Maybe.. I might have
After we do the evening roll call, I always spend my leisure time reading. Recently, I read Erich Fromm's 'The Art of Loving', which I'd been meaning to read for a while. The art of loving, what on earth could that mean? Love as something that you have to work for.. that doesn't make sense. In a nutshell, this is what the book talks about: In order to be good at painting, or playing the guitar, or being good at studying, we practice hundreds of times to develop our skills. So then why, when it comes to lov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 person's life, do we just try do it, with no skill, no practice?
In our modern world, love is something that's intensified by the media and capitalism, and only the drama of it is emphasised but, in reality, love is a determined resolution, a promise and a decision. There are probably many different types, and temperatures, and expressions of love. What about us? Not a one-to-one love, but a one-to-many or many-to-all love, what could we be? What does the person making music make, and what do the people listening to the music hear? What are we gazing at, what are we loving? With what resolution have I been standing in front of you for 11 years? I spent some time with these tender thoughts. The conclusion… I recommend reading the book. (It was published over 50 years ago though, so it does have some old-fashioned ideas)
Three months left now. In terms of percentages, that's 18%. Will I die before then? I'll be sure to greet you in good health. This hyperbolic time chamber… the further I go, the stronger gravity feels. Maybe it's because I have the four lines now.² They move so disgustingly slow, but the hands on the military clock do move, even if you hang the clock upside down. I'll try hanging it upside down, and turning the hands, and tilting it 540 degrees, I'm trying it all. I'll do my best to come back to you with my love and my heart reset.
I have so many things to tell you, both through music and through language. It's spring now, spring's coming! (After the 17cm of snow has been cleared) Right when you start to think "It's gotten kinda hot, hasn't it?" We'll be out and bothering you so much it gets annoying. Until then, I hope you guys are killin it. Okay, I'm gonna get back to the webtoon I was reading. I love you, today too, as always. This is both a resolution and a promise.
I miss you. Early summer, grasshoppers Can you guys please hurry up?!
-Namjoon
(T/N: *A reference from Dragon Ball Z
Referring to the stripes on his uniform, which indicate the rank of a sergeant.)
V: Wait this post sounds so intelligent
Trans cr; Aditi @ bts-trans © TAKE OUT WITH FULL CREDITS
V's Post ❇️ with RM & V's Comments 💬
Tumblr media Tumblr media
눈이 왔습니다 제설 했습니다 눈싸움했습니다 눈싸움 잘합니다 병장 2호봉 됐습니다 이제 여기서 2위입니다 곧 서열 1위 최근에 특급전사됐습니다 운동 열심히 했습니다 열심히 하다가 갈비뼈 한번 나갔습니다 돌아왔습니다 지금은 다이어트합니다 70입니다 책 많이 읽었습니다 이나누나가 책 많이 주셨습니다 너무 많이 주셨습니다 다 못 읽겠습니다 여기서는 불면증이 없습니다 누우면 그냥 기절합니다 그래도 아침에 일어나는 건 도저히 익숙해지지 않습니다 아미 많이 보고싶어서 콘서트 영상 많이 봅니다 춤추고 싶습니다 노래 부르고 싶습니다 후임동생이 블랙스완 안무 다 땄다고 봐달라고 했습니다 제가 안무를 모릅니다 까먹었습니다 요즘 보물섬 봅니다 박형식 배우님 멋있습니다 정호석님 나 혼자 산다도 봤습니다 정호감입니다 콘서트 못가서 많이 아쉽습니다 아미 볼 수 있는 기회인데 어 음 아무튼 보고싶습니다! 사랑합니다!🩶
V: 어떤데 명석하나 RM: 누우면 기절? 개부럽다 RM: 김명석으로 앨범하나 내줘 (https://weverse.io/bts/artist/3-193728755)
It snowed. I cleared the snow out. I had a snowball fight. I'm quite good at snowball fights. I became a level 2 sergeant. I'm now the second highest rank here, soon I'll be the first. I recently became a special forces officer. I worked out really hard. I went so hard I broke a rib, it's fine now. I'm on a diet now. I'm 70 kilos. I've read a lot of books. Lee na nuna gave me lots of books. She gave me too many. I cannot read all of them. There is no insomnia here. I pass out as soon as I lie down. But I still find it so hard to get used to waking up in the morning. I miss ARMY a lot so I've been watching a lot of concert videos. I want to dance. I want to sing. A junior of mine said he learnt the whole Black Swan choreo and aksed me to watch. I don't know the choreo. I have forgotten it. I've been watching Buried Hearts lately. Mr. Park Hyungsik is such a cool actor. I watched Mr. Jung Hoseok's I Live Alone episode. I am now Jung Appreciation*. I was very sad that I couldn't go to the concert. It would have been a chance to see ARMY. And uhh yeah anyway I miss you! I love you!🩶
V: How was that, did it sound intelligent?
RM: You pass out as soon as you lie down? So jealous.
RM: You should release an album sometime as Kim Intelligent.
Picture translation: All I have is you
(T/N: A play on the words '호감', 'appreciation', and '영감', inspiration, which was mentioned during J-hope's 'I Live Alone' episode.)
V's Comments 💬 on ARMY's Post ❇️
💜: 김병장님… 제설 아닙니까..? 재설….? 제설이 아니였습니까 병장님 병장님이 이렇게 귀여워서 되나요 V: 그만하지? V: 실수였어요 (https://weverse.io/bts/fanpost/1-156530407)
💜: Sergeant Kim..is it not spelled 제설*..? 제설….? Wasn't it supposed to be 제설? Seargeant, seargant, are you allowed to be this cute?
V: Okay you can stop now.
V: It was a mistake.
(T/N: V initially misspelled the word '제설', 'snow clearing' in his Weverse post.)
💜: 거짓말 ㅋㅋ
Tumblr media
V: 아 진챠로 ㅋ (https://weverse.io/bts/fanpost/4-193725419?anchor=4-370356021)
💜: Liar haha
V: It's trueee heh
Picture translation: All I have is you
Trans cr; Aditi @ bts-trans © TAKE OUT WITH FULL CREDITS
220 notes · View notes
koreanthroughfiction · 2 months ago
Text
허무주의 뱀, 슬링키 선생 - Slinky the Nihilist Snake
Tumblr media
바나비는 안락의자에 편안히 감긴 뱀 슬링키를 응시했다. 슬링키는 차가운 파충류의 눈으로 그를 바라보았다.
[Barnaby stared at the snake, Slinky, coiled comfortably on the armchair. Slinky regarded him with a cold, reptilian stare.]
"정말 확실해, 슬링키?" 바나비가 말했다.
["Are you quite sure about this, Slinky?" Barnaby said.]
"존재의 본질적인 무의미함에 대해서 말이야?" 슬링키가 건조한 목소리로 말했다. "바나비, 내 사랑하는 소년아, 그건 내가 확신하는 유일한 것이지."
["About the inherent meaninglessness of existence?" Slinky said, his voice a dry rustle. "Barnaby, my dear boy, it's the only thing I'm sure of."]
바나비는 머리를 긁적였다. 그는 항상 슬링키가 꽤 똑똑한 뱀이라고 생각했지만, 이건 그가 상상할 수 있는 그 어떤 것보다도 대단했다. 지난주만 해도 슬링키는 자기 꼬리를 쫓고 ��끔 허물을 벗는 것에 만족했었다. 이제 그는 니체를 인용하고 있었다.
[Barnaby ran a hand through his hair. He'd always thought Slinky was a rather intelligent snake, but this was beyond anything he could have imagined. Just last week, Slinky had been content with chasing his tail and occasionally shedding his skin. Now, he was quoting Nietzsche.]
"하지만 분명," 바나비가 말했다, "삶에는 그저… 공허함 이상의 무언가가 있어야 해, 그렇지 않아?"
["But surely," Barnaby said, "there must be something more to life than just…nothingness?"]
"말해봐, 바나비," 슬링키가 약간 몸을 풀며 말했다, "네 삶에 의미를 주는 게 뭐지? 네 직업? 네 우표 수집?"
["Tell me, Barnaby," Slinky said, uncoiling slightly, "what is it that gives your life meaning? Your job? Your stamp collection?"]
"음, 나는…" 바나비가 더듬거렸다. 그는 최근에 연필깎이 시험관 일자리에서 해고되었고, 그의 우표 수집은 거의 영감을 주지 못했다. "채소 정원을 시작하려고 했어."
["Well, I…" Barnaby stammered. He'd recently been laid off from his job as a pencil sharpener tester, and his stamp collection was hardly inspiring. "I was going to start a vegetable garden."]
"고귀한 추구야," 슬링키가 말했다, "하지만 결국 헛된 일이지. 채소는 자랄 거고, 너는 그것들을 먹을 거고, 그리고 너는 죽을 거야. 그 안에 무슨 의미가 있겠어?"
["A noble pursuit," Slinky said, "but ultimately futile. The vegetables will grow, you will eat them, and then you will die. Where is the meaning in that?"]
바나비는 한숨을 쉬었다. 슬링키의 말이 꽤 우울하긴 했지만 일리가 있었다. 그는 갑작스러운 실존적 공포를 느끼며 소파에 털썩 주저앉았다.
[Barnaby sighed. Slinky had a point, even if it was a rather depressing one. He slumped onto the sofa, feeling a sudden existential dread.]
"절망하지 마, 바나비," 슬링키가 안락의자에서 미끄러져 내려와 소파로 올라오며 말했다. "이 모든 것의 부조리함 속에는 어떤 아름다움이 있어."
["Don't despair, Barnaby," Slinky said, slithering off the armchair and onto the sofa. "There is a certain beauty in the absurdity of it all."]
"아름다움이라고?" 바나비가 말했다. "우리가 하는 모든 것이 결국 무의미하다는 걸 아는 데서?"
["Beauty?" Barnaby said. "In knowing that everything we do is ultimately pointless?"]
"정확해," 슬링키가 말했다. "그것이 우리를 기대의 부담에서 해방시켜주지. 우리는 그저 존재하면서, 특별히 즙이 많은 쥐나 따뜻한 햇살 같은 작은 것들을 감상할 수 있어."
["Precisely," Slinky said. "It frees us from the burden of expectation. We can simply exist, appreciate the small things, like a particularly juicy mouse or a warm sunbeam."]
바나비는 이를 곰곰이 생각해보았다. 어쩌면 슬링키의 말이 맞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인생의 의미는 거창한 의미를 찾는 것이 아니라 그저 여정을 즐기는 것일 수도 있다.
[Barnaby considered this. Maybe Slinky was right. Maybe the point of life wasn't to find some grand meaning, but to simply enjoy the ride.]
"그래서," 바나비가 말했다, "이제 우리가 뭘 하면 좋을까?"
["So," Barnaby said, "what do you suggest we do now?"]
"음," 슬링키가 말했다, "난 우유 한 그릇이 나쁘지 않겠어. 그리고 어쩌면 우리가 흔한 정원 달팽이의 교미 습성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볼 수도 있을 거야? 놀랍게도 철학적이거든."
["Well," Slinky said, "I wouldn't mind a nice bowl of milk. And perhaps we could watch that documentary about the mating habits of the common garden slug? It's surprisingly philosophical."]
바나비는 킥킥 웃었다. 그는 여전히 슬링키의 갑작스러운 실존적 위기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확실치 않았지만, 앞으로 일들이 훨씬 더 흥미로워질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는 슬링키를 위해 우유 한 그릇을 가져와 소파에 자리를 잡고, 이 모든 부조리함을 받아들일 준비를 했다.
[Barnaby chuckled. He still wasn't entirely sure what to make of Slinky's sudden existential crisis, but he had a feeling things were about to get a lot more interesting. He fetched a bowl of milk for Slinky and settled down on the sofa, ready to embrace the absurdity of it all.]
다큐멘터리가 시작되자, 바나비는 슬링키가 항상 이렇게 철학적이었는지, 아니면 단순히 자신의 심오한 통찰력을 세상과 공유할 적절한 순간을 기다리고 있었는지 궁금해졌다. 어느 쪽이든, 바나비는 자신의 삶이 다시는 예전과 같지 않을 것임을 알았다. 그에겐 말하는 뱀이 애완동물로 있었고, 그 말하는 뱀은 인생이 무의미하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이는 그가 겪어본 가장 기이하고 우스꽝스러운 상황이었지만, 그는 이 상황을 달리 바꾸고 싶지 않았다.
[As the documentary began, Barnaby couldn't help but wonder if Slinky had always been this philosophical, or if he'd simply been waiting for the right moment to share his profound insights with the world. Either way, Barnaby knew that his life would never be the same. He had a talking snake for a pet, and that talking snake was convinced that life was meaningless. It was the most bizarre and hilarious situation he'd ever found himself in, and he wouldn't have it any other way.]
다음 날 아침, 바나비는 슬링키가 실존주의 책을 읽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The next morning, Barnaby woke up to find Slinky reading a book on existentialism.]
“좋은 아침, 바나비," 슬링키가 고개를 들지 않고 말했다. "사르트르의 불성실 개념의 함의에 대해 생각해 봤어?"
["Good morning, Barnaby," Slinky said, without looking up. "Have you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Sartre's concept of bad faith?"]
바나비는 눈을 비볐다. "아니, 별로 안 해봤어, 슬링키. 실존적 불안을 느끼기엔 아직 이른 아침이야."
[Barnaby rubbed his eyes. "Not really, Slinky. It's a bit early for existential angst."]
"말도 안 돼," 슬링키가 말했다. "실존적 불안은 시대를 초월한 추구야. 어쩌면 그것만이 진정으로 중요한 유일한 추구라고 할 수 있지."
["Nonsense," Slinky said. "Existential angst is a timeless pursuit. One might even say it's the only pursuit that truly matters."]
바나비는 한숨을 쉬었다. 이 논쟁에서 이길 수 없다는 걸 알았다. 그는 시리얼을 한 그릇 부어 주방 테이블에 앉았다. 슬링키는 미끄러지듯 다가와 그와 함께 앉았고, 여전히 책을 감고 있었다.
[Barnaby sighed. He knew he wasn't going to win this argument. He poured himself a bowl of cereal and sat down at the kitchen table. Slinky slithered over and joined him, the book still in his coils.]
"있잖아, 바나비," 슬링키가 말했다. "생각해봤는데, 만약 인생이 정말로 무의미하다면, 우리는 혼돈을 받아들여야 해. 그저 무슨 일이 일어날지 보기 위해 전혀 말이 안 되는 일들을 해야 해."
["You know, Barnaby," Slinky said, "I've been thinking. If life is truly meaningless, then perhaps we should embrace chaos. We should do things that make absolutely no sense, just to see what happens."]
바나비는 눈썹을 치켜올렸다. "예를 들면?"
[Barnaby raised an eyebrow. "Like what?"]
"예를 들어 슈퍼마켓에 투투를 입고 가는 거야," 슬링키가 말했다. "아니면 다람쥐에게 밴조 연주를 가르치려고 시도하는 거지. 아니면 실내 화초를 위한 철학 운동을 시작할 수도 있어."
["Like wearing a tutu to the grocery store," Slinky said. "Or trying to teach a squirrel how to play the banjo. Or maybe we could start a philosophical movement for houseplants."]
바나비는 웃음을 참을 수 없었다. "슬링키, 넌 천재야."
[Barnaby couldn't help but laugh. "Slinky, you're a genius."]
"알아," 슬링키가 득의양양하게 혀를 날름거리며 말했다.
["I know," Slinky said, with a smug flick of his tongue.]
그리하여 바나비와 슬링키는 일련의 터무니없는 모험을 시작했다. 그들은 다른 쇼핑객들의 즐거움 속에서 슈퍼마켓에 투투를 입고 갔다. 다람쥐에게 밴조 연주를 가르치려고 시도했지만, 다람쥐는 밴조 줄을 먹는 데 더 관심이 있었다. 심지어 실내 화초를 위한 철학 운동을 시작했는데, 놀랍게도 작지만 헌신적인 추종자들을 얻었다.
[And so, Barnaby and Slinky embarked on a series of absurd adventures. They wore tutus to the grocery store, much to the amusement of the other shoppers. They attempted to teach a squirrel how to play the banjo, but the squirrel was more interested in eating the banjo strings. They even started a philosophical movement for houseplants, which surprisingly gained a small but dedicated following.]
그들의 기행은 지역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곧 바나비와 슬링키는 소소한 유명인사가 되었다. 그들은 텔레비전에서 인터뷰를 하고, 신문에 실리고, 심지어 명문 대학에서 강연을 해달라는 초청을 받았다.
[Their antics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local media, and soon Barnaby and Slinky were minor celebrities. They were interviewed on television, featured in newspapers, and even invited to give a talk at a prestigious university.]
"이 모든 게 좀 터무니없지 않아?" 바나비가 대학 강연을 준비하면서 슬링키에게 말했다.
["This is all rather absurd, isn't it?" Barnaby said to Slinky, as they were preparing for their university lecture.]
"물론이지," 슬링키가 말했다. "하지만 그게 핵심이야. 우리는 이 모든 것의 무의미함을 받아들이고 그 과정에서 약간의 재미를 즐기고 있는 거야."
["Of course it is," Slinky said. "But that's the point. We're embracing the meaninglessness of it all and having a bit of fun along the way."]
바나비는 미소를 지었다. 그는 슬링키의 말이 일리가 있다는 걸 인정해야 했다. 그들이 터무니없는 것을 받아들인 이후로 그들의 삶은 훨씬 더 흥미로워졌다. 그리고 누가 알겠는가, 어쩌면 그들은 단지 사람들을 웃게 만드는 것만으로도 실제로 세상에 변화를 주고 있을지도 모른다.
[Barnaby smiled. He had to admit, Slinky had a point. Their lives had become a lot more interesting since they'd embraced the absurd. And who knew, maybe they were actually making a difference in the world, even if it was just by making people laugh.]
그들이 가득 찬 강당을 마주하고 무대에 섰을 때, 바나비는 깊은 숨을 들이쉬었다. "신사 숙녀 여러분," 그가 말했다, "오늘 우리는 여러분께 인생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의미의 부재에 대해서요."
[As they stood on the stage, facing a packed auditorium, Barnaby took a deep breath. "Ladies and gentlemen," he said, "we're here today to talk to you about the meaning of life. Or rather, the lack thereof."]
슬링키가 연단 위로 미끄러져 올라와 청중들에게 매력적인 미소를 지었다. "제 존경하는 동료가 지적했듯이, 인생은 본질적으로 무의미합니다. 하지만 그게 꼭 나쁜 것은 아니에요. 사실, 그것은 꽤 해방감을 줄 수 있죠."
[Slinky slithered onto the podium and gave the audience a charming smile. "As my esteemed colleague has pointed out, life is inherently meaningless. But that's not necessarily a bad thing. In fact, it can be quite liberating."]
바나비와 슬링키는 다음 한 시간 동안 실존주의의 세부 사항들을 논의하며, 그들의 터무니없는 모험에 대한 농담과 일화들로 강연을 풍성하게 했다. 청중들은 매료되었다. 그들은 웃고 울었으며, 강당을 떠날 때는 정말 독특한 경험을 한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Barnaby and Slinky spent the next hour discussing the finer points of existentialism, peppering their lecture with jokes and anecdotes about their absurd adventures. The audience was captivated. They laughed, they cried, and they left the auditorium feeling like they had just experienced something truly unique.]
강연이 끝난 후, 바나비와 슬링키는 그들이 발표한 아이디어들을 논의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과 교수진들에게 둘러싸였다.
[After the lecture, Barnaby and Slinky were surrounded by students and faculty, eager to discuss the ideas they had presented.]
"제 인생을 바꾸셨어요," 한 학생이 바나비에게 말했다. "전에는 이런 식으로 인생을 생각해 본 적이 없었어요."
["You've changed my life," one student said to Barnaby. "I've never thought about life this way before."]
"이 모든 건 슬링키 덕분이야," 바나비가 그의 철학적인 뱀 동료를 가리키며 말했다.
["It's all thanks to Slinky," Barnaby said, gesturing towards his philosophical snake companion.]
슬링키는 겸손하게 고개를 숙였다. "제게는 영광이었습니다," 그가 말했다.
[Slinky bowed his head modestly. "It was my pleasure," he said.]
바나비와 슬링키는 앞으로 수년 동안 그들의 철학적 모험을 계속했다. 그들은 세계를 여행하며 부조리의 메시지를 전파하고 사람들이 존재의 혼돈을 받아들이도록 격려했다. 그리고 비록 그들은 인생의 의미를 찾지는 못했지만, 그들은 훨씬 더 가치 있는 무언가를 발견했다: 무의미함의 아름다움에 대한 깊은 감사.
[Barnaby and Slinky continued their philosophical adventures for many years to come. They traveled the world, spreading their message of absurdity and encouraging people to embrace the chaos of existence. And though they never found the meaning of life, they did find something far more valuable: a deep appreciation for the beauty of the meaningless.]
[The End]
71 notes · View notes
ikjun · 1 year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I knew all along that this would happen from the very moment we met again.
OUR BELOVED SUMMER (그 해 우리는) Before Sunset, dir. Kim Yoon-jin
280 notes · View notes
wolha · 1 year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KIM DA-MI as KOOK YEON-SOO OUR BELOVED SUMMER 그 해 우리는 (2021—2022) dir. Kim Yoon-Jin
155 notes · View notes
everythingisexperience · 7 months ago
Text
9p
어느 날 아침 문득, 정말이지 맹세코 아무런 계시나 암시도 없었는데 불현듯,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 나는 이렇게 부르짖었다.
"그래, 이렇게 살아서는 안 돼! 내 인생에 나의 온 생애를 다 걸어야 해. 꼭 그래야만 해!"
15p
내 인생의 볼륨이 이토록 빈약하다는 사실에 대해 나는 어쩔 수 없이 절망한다.
솔직히 말해서 내가 요즘 들어 가장 많이 우울해 하는 것은 내 인생에 양감이 없다는 것이다.
내 삶의 부피는 너무 얇다. 겨자씨 한 알 심을 만한 깊이도 없다. 이렇게 살아도 되는 것일까.
21p
우리들은 남이 행복하지 않은 것은 당연하게 생각하고
자기 자신이 행복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언제나 납득할 수 없어한다.
22p
그랬다. 이렇게 살아서는 안 되는 것이었다. 내가 내 삶��� 대해 졸렬했다는 것, 나는 이제 인정한다. 지금부터라도 나는 내 생을 유심히 관찰하면서 살아갈 것이다. 되어 가는 대로 놓아두지 않고 적절한 순간, 내 삶의 방향키를 과감하게 돌릴 것이다. 인생은 그냥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를 걸고라도 탐구하면서 살아야 하는 무엇이다. 그것이 인생이다.
173p
삶은 그렇게 간단히 말해지는 것이 아님을 정녕 주리는 모르고 있는 것일까.
인생이란 때때로 우리로 하여금 기꺼이 악을 선택하게 만들고 우리는 어쩔 수 없이 그 모순과 손잡으며 살아가야 한다는 사실을 주리는 정말 조금도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p177 안진진이 주리에게 아버지에 대해 설명할 때 가슴이 매여오는 감정을 받았다. 타인에게 술꾼이자 건달이며 성격파탄자인 아버지를, '우리 아버지는 나한테 생각하는 법을 가르쳐주셨어.아버지가 잘못한 게 있다면 너무 많이 생각했다는 것이지. 우리 아버지는 자식한테 해줘야 할 의무를 다했다고 봐, 아버지는 내 인생을 풍요롭게 만들어주었어. 난 아버지를 사랑해.'라는 대목에서 그냥 감동을 받았다. 이런 모순된 상황이 예술이다. 과연 안진진이 말한대로 사실인지 아니면 주리에게 자그마치의 체면을 세우기 위해서 일말의 변명을 한 것인지 현재 시점에선 모르겠으나(끝까지 읽어보니 진심이었다.) 그럼에도 이렇게 아름답게 얘기할 수 있는 건 쉽지 않다. 안진진의 용기가 가상하다.
178p
나는 주리를 그만 이해하기로 했다. 탐험해봐야 알 수 있는 많은 인생의 비밀에 대해 아무런 흥미도 느끼지 못하는 주리 같은 사람도 있는 것이었다. 그것 또한 재미있는 인생의 비밀 중의 하나가 아니던가 말이다.
그날 나는 비로소 깨달았다. 나는 이제 내 이종사촌들에 대해 아무것도 말할 수 없다는 것을. 나와 그들 사이에 너무나 많은 시간이 흘러버렸다는 것을. 그러나 그 많은 시간들이 우리들 사이의 소통을 위해 한 일은 아무것도 없었다는 것을 나는 절실하게 깨달았던 것이었다.
188p
상처 입은 사람들을 위로하는 것은 말이 아니었다. 상처는 상처로 위로해야 가장 효험이 있는 법이었다.
191p
나는 바다를 잊을 수 없어 연신 뒤를 돌아보았다.
세상의 모든 잊을 수 없는 것들은 언제나 뒤에 남겨져 있었다.
그래서, 그래서 과거를 버릴 수 없는 것인지도.
26 notes · View notes
at-1point · 7 months ago
Text
다시 발을 들여놔. 
사랑의 감정만 느끼고 싶은 사랑은 재밌고 쉽지. 그런데 진짜는 사랑하겠다는 의지가 동반되어야 해. 진정한 사랑은 감정보다 의지에서 나와. 감정은 휘발성이 강해서 사라지면 그만이거든. 사랑을 통해 영적인 성장을 하겠다는 의지가 있으면 좋아.
느낌으로 사랑을 이야기하면 안 좋아. 그건 당사자만 아는 거고 내 느낌을 몰라준다며 자주 토라질 뿐이야. 사랑을 느낌이라고 믿는 오류는 애착과 사랑을 혼동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말 같지만 저 두 단어에는 차이가 있어. 강아지가 가지고 노는 애착 인형과 나와의 관계는 다르잖아.
강아지는 동거인을 사랑하지. 애착 인형처럼 물어뜯지 않고. 인형에게 매력을 느끼지 못하면 욕망도 사라져, 마치 섹스가 끝나고 서로에게 관심이 사라진 것처럼. 애착이 실현되면 그에 대한 탈애착이 일어난다. 반면에 시랑은 누군가의 영적 성장을 염려할 때 더 관심이 높아져. 책임 있는 행동으로 안정감을 주려 하지.
애정, 애착, 연애, 사랑... 같은 말 같지만 다 다른 언어다. 사랑은 아주 강렬한 주관적인 경험이며 사랑에 빠지는 건 성과 관련된 욕망인거야. 우리는 아이들을 사랑하지만 아이들과 사랑에 빠지지 않지. 친구를 사랑하지만 사랑에 빠지지 않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성적인 자극이 되었을 때 사랑에 빠진다.
그래서 사랑에 빠지는 건 예외 없이 일시적이다. 그 일시적인 감정이 끝난 다음으로는 관계와 경계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 애정, 애착, 연애, 결혼은 이 카테고리에 포함된다. 이 영역에서 누구는 철학자가 되거나 누구는 범죄자가 돼. 
이렇게 보면 사랑은 위기일발로 치닫는 고속도로 같다.  
사람은 한 꼬집의 좋은 말에 살아. 그 말에 숨을 쉬지. 하루 동안 사랑을 듣지 못하며 지내는 사람이 훨씬 많아. “고마워.” “사랑해.” 좋은 말은  공기를 만들어. 네가 듣고 싶어 하는 말을 자주 하는 것도 좋아. 언젠가는 그도 눈치를 채거든. 네가 듣고 싶어 하는 말을 내게 해줬구나, 하고. 
그때는 그 사람이 곁에 없을지라도 그는 다른 이에게 자신이 들었던 좋은 말을 해주고 있을 거야. 그렇게 사랑은 인간을 지키는 역할을 해왔어. 난 그 지켜져가는 과정을 수집하는 사람이었고.
다시 이곳에 발을 들여놔. 
21 notes · View notes
seo8inn · 1 year ago
Text
Summer rain (and the awkward conversations) | Dokyeom
[In which he’s your brother’s best friend…]
Tumblr media
She knew it now. That all she had with him would ever really be the heavy, awkward conversations. Yet they were everything to her.
“Hey,”
She raised her gaze for it to be met with that of a familiar boy’s worried eyes.
"Are you okay?"
She nodded, and LEE DOKYEOM reached out to help her up, though when he noticed her struggle to balance herself on the skates, he bent down to take them off for her. Her throat dried out. She rather felt like a child, in only her fluorescent red socks against the hot, hard cement.
"I'll walk you home," he merely said and she nodded, because who would not, when he looked like that, dirt brown eyes and messy hair, skin still glistening under the shade. She could not comprehend how every feature of his could be beautiful to her but they just were.
Sometimes she wondered if he only treated her the way he did because she was his best friend’s little sister and he saw her as his own. If he saw her as a child. After all, she was fourteen to his nineteen. Those five years, however, were everything to her. As if in those five years, he’d seen all the parts to the world she hadn’t uncovered. As if in those five years, he might have been waiting for her to come along.
As she walked toward the boy, however, feelings of shame rose to the back of her throat. She was embarrassed, to say the least. She felt stupid, and childish. So she hid her face behind her hair in hopes of keeping away from the urge to look at him. She didn’t dare to, anyway, it reminded her too much of the previous times that summer where those shrewd eyes of his caught hers.
There wasn’t much to say when they were alone, she realized. She resented the fact she had so much trouble merely conversing with the tall boy. She was not sure if the slightly uncomfortable feelings were mutual, but she was sure that them being together like that, alone, was unusual.
As the sun set, the sky broke into hues of pinks and oranges. When they reached the end of her driveway, Dokyeom extended his arm, dangling the skates in his hand.
“Ah," she nodded and retrieved the very object that caused the butterflies in her stomach and the scrapes on her knees.
"Thanks, by the way," she said to him.
He looked at her for a moment, then shifted his gaze back to the path in front of him and grinned slightly to himself. "For what?"
She shrugged. "For helping me? And walking me home, I guess."
He shook his head. "It's nothing."
Then, there was the familiar silence she knew so very well. She opened her mouth to speak, but shut it again, for reasons even she could not explain. She was about to thank him again, continue the conversation, but he’d caught sight of her brother.
“Hey, hyung!” he called, rushing forward.
“Dokyeom! What are you doing here,” YOON JEONGHAN grinned in return. He slipped into some slippers and rushed to open the gate.
The two began to converse in their own language. She realised, soon enough, that she’d never really have a part in that world. She didn’t understand; after all, fourteen year-olds didn’t have much in common with nineteen year-olds. Jeonghan whispered into his ear, and the gorgeous boy burst into a fit of laughter.
She knew it now. That all she had with him would ever really be the heavy, awkward conversations. Yet they were everything to her.
64 notes · View notes
naksushadows · 7 months ago
Text
“Being good at your job without empathy isn’t something to be proud of. Empathy is linked to intelligence.” – Kook Yeongsu
16 notes · View notes
tarodango · 1 year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0 notes
beingadult · 4 months ago
Text
유리는 그런 생각을 하고는 했다. 차라리 긍정적인 일들을 생각해버린다면, 나에게 어떤 일이 닥치더라도 그걸 그대로 바라보는 것 대신에 차라리 다른 생각을 해 버린다면, 그런 생각들을 하다 보면 눈 앞의 불행이나 과오같은 것들도 눈 녹듯 사라질 것이라고, 적어도 그녀의 머릿속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어떤 그런 것이 되어 녹아버릴 것이라고, 그렇게 생각했다. 그러고 나니 차라리 마음이 차분해졌다. 그리고 하고자 하는 것을 생각했다. 소박하게, 그러나 이번에는 비교적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를 테면 이런 것들 말이다.
비 오는 날의 파전, 친구와 함께 기울이는 막걸리 잔, 사람들, 좋아하는 향수, 민속주점 조그마한 다락방 서랍에 넣어뒀던 돛대같은 것들 말이다. 결국에 단성사 2층 스타벅스 테라스에서 담배를 나누어 피던 시절로 돌아가야 한다면 기꺼이 그래도 좋고. 한참을 방황하다 들어갔던 순대국집이 네가 전에 말해줬던 아저씨들이 벌건 얼굴로 자꾸만 자꾸만 자리를 채우던 그 맛집이었다든지 하는 것들이.
그렇게 만져지는 것들로만 생각하기로 한다. 그리고 그 경험을 최대한 더 많은 다른 겪어보지 못한 타인들이 글로써만 읽고도 그 경험을 오롯이 해냈다는 느낌이 들도록 더 많이 주문을 걸며 이야기하는 것, 그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런 경험들을 차곡차곡 쌓아가면서 나는 나에게 필요한 긍정적인 힘을 모으기 시작한다. 오래 사용했던 비디오 캠코더라든지, 티비에서 나오는 영화 쉬리를 비디오 캠코더를 산 김에 자신있게 녹화를 해 놓고 '편희 쉬리' 라고 매직펜으로 적어두었던 아빠에 대한 기억이랄지 하는 것들이, 결국 물에 넣어 녹여버린 소금처럼 자잘하고 꾸밈없이 그 맛만을 남겨둔 채 형체가 사라지더라도, 우리는 그 안에 분명히 조개처럼 앙다문 입으로 버티고 견뎌왔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8 notes · View notes
keemzi · 1 year ago
Text
-셀 수 없을 만큼의 고민이 스쳐지나갔다.
나이가 좀 있으면 스물 일곱 , 그러고나면 사회생활 고작 4년 차. 통장의 찍힌 숫자들이 떠오르고 암담한 미래의 숫자도 가늠해 본다. 일을 하며 스쳐지나갔던 수 많은 사람들. 그들이 해준 조언과 충고 그리고 비판들은 전부 잘 기억나지 않는다.
한때는 그런 조언과 충고를 열정 삼아 일하던 때가 있었는데 말이다.
무엇이 되고 싶었더라.. 꿈이 있었나? 잘 기억나지 않는 꿈을 떠올리려했지만 기억은 쉽사리 돌아오지 않았다. 사무실에 앉아 수 많은 파일들이 켜진 모니터를 바라보며 그런 생각을 했다. 요 며칠 나아지지 않은 기분에 대한 이유를 명확하게 알고 있기에 절망적이었다.
-너무 피곤하다. 마음이 피곤한 건지 몸이 피곤한건지 모를 정도로 정신없는 하루를 보낸다. 며칠 밤을 ��우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연락이 오는 친구들의 전화를 받을 힘이 없어 그냥 모른 척을 했다.
그들이 보고싶지 않은 것은 절대 아니다. 보고싶은 사람들이 너무 많은데 이기적일지는 몰라도 나를 챙기고 싶은 생각이 조금 더 강할 뿐이다. 아무런 에너지가 남아있지 않았다.
-힘들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건 아무런 도움이 되지않는다.
힘들 때마다 그저 입을 다물고 술을 마셨던 나를 보면 안쓰럽다고 말하는 H의 말에 나는 웃음으로 대답했다.
종알종알 다그치는 그의 말이 잔소리처럼 느껴지지 않았다. 그의 말 한마디 덕분에 나를 아는 사람이 있어 잠시나마 고립된 감정에서 빠져나왔다.
힘들다는 이유로 술을 마시는 게 당연한 일이 되어버렸고, 그 모든 ��정을 꺼내놓는 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냥 별다른 말은 하지않는다. 고민과 걱정, 분노를 함께 내 속으로 삼켜 버린다. 루저가 된 기분이다.
살면서 그렇게 마신 술은 얼마나 될까. 몇백 리터는 되지 않았을까. 가끔은 그 술들이 내게 돌아오는 기분이다. 엄청난 시속과 충격으로 나에게 다가온다. 계속해서 취하고, 깨어나고, 취하고, 깨어나고 정신없는 시간을 반복하고 나면 괴로운 밤은 사라져있다.
-이렇게 바쁘게 지내면서 깨달은게 있다.
항상 나를 찾아주는 사람과 나를 더이상 찾지않는 사람들도 있다고. 누구나 다 내 곁에 있을 수는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인정했다.
나를 여전히 찾아주는 고마운 사람들과 몇 해 째 함께다. 다른 사람들이 다 떠나도 지금 내 머릿속에 스쳐지나가는 사람들은 그대로 내 옆에 있었다. 내가 멀리 있더라도, 내가 힘들고 엉망인 모습을 하더라도 그들이 내게 유지해주는 사랑이 참 좋다. 나도 그런 사랑을 유지해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덜컥 다짐한 때도 있었다. 사랑을 다짐하는 것을 싫어하는 내가 그런 다짐을 했더랬다. 어쩌면 그게 내 삶의 유일한 꿈일지 모른다.
그러나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나를 잊는다는 것은 조금 슬프다. 뭐, 어쩔 수 없는거겠지. 모두가 그렇게 잊혀지고 멀어지고 하니까. 인정하기 싫어도 인정해야 하는 것들이 있다.
그들은 이런 내 마음을 모를테지만, 나는 그들을 잊지 않을 것이다. 그저 멀리서, 점차 멀리서 응원하며 잘지내기를 바랄 것이다. 우리는 한 때 같이 술을 마시며 울기도 하고 웃기도 하면서 고민을 나눴던 좋은 기억을 갖고있으니. 아름다운 것들은 아름다운대로 남겨두자.
-살아 갈 이유를 다시 찾고싶다. 잃어버린 낭만을 다시 찾고 싶고, 좋았던 기억 속으로 다시 뛰어들고 싶다. 그게 저 멀리 우주만큼이나 먼 거리더라도 다시 무언가를 열렬히 쫓고 싶다.
58 notes · View notes
Text
My old Sageuk script, revised! ----- Madam Jung : Where is Yoo-hwa? She should have been here by afternoon. 유화가 어디냐? 오후까지 왔어야 했는데. Myeong Ae: She's in the palace today I think the Prince has taken a liking to her. 유화가 궁에 있아옵니다. 세자저하께서 언니한테 관심이 생겼다는 소문을 들었아옵니다. Madam Jung : I see. I hope she doesn't get swayed by the Prince to stay at the court. 그리하구나. 세자저하께 교태전에 남아있으라는 말 안듣게... Mi Hee : Why? If the Prince likes her, she might receive a lot of money. And maybe she will become his concubine! 왜 그렇습니까? 세자저하께서 언니를 좋아하신다면, 돈을 받고, 어쩌면 저하의 첩이 될지도 모릅니다! Madam Jung : Not every gisaeng's path leads to the court. Yoo-hwa is too naive to get into politics, and is too skilled to be an entertainment to the Royal family. 모든 기생들의 길이 궁까지 가야 할 필요 없다. 우리 유화가 너무 흔들리기 쉬워서 궁정과 정치에 멀리서 있어야 해. 또한, 왕실의 오락거리일뿐이 되기에는 얘가 너무 숙련되어있는데. Jin Yi : I've heard that the Consort Hee of the Jang family is a very greedy woman. Yoo-hwa would suffer a lot if she gets in that woman's way. As someone who has seen her since she was young, I am worried. 장씨 희빈마마께 욕망이 많은 여자라고 들었어요. 유화는 그 분에게 방해가 된다면 큰 고통을 겪게 될 건데. 얘를 오랫동안 보는 분이라서 걱정이 되옵니다. Jang Sook : Consorts are always greedy. I don't understand why. The court is splitting like a watermelon, the nation is being attacked on the shores, and these women give birth to four of five babies for what? For the land they receive? For their son to be the next king? So they can be the Queen Dowager and order their own son and the court around? 빈궁들은 항상 욕심이 많군요. 왜 그런지 이해하지 않아. 우리 궁정은 수박처럼 갈라지고 있고, 우리 나라는 해안에 심한 공격당하고 있는데도, 이 여자들은 무엇 때문에 계속 4명이나 5명의 아기를 낳습니까? 받는 땅을 위해서요? 아들이 생기면 그 불쌍한 아이가 다음 왕이 되기 위해서요? 대비가 되어 아들과 궁정을 명령할 수 있기 위해서요? Madam Jung : (raises hand) We are no one to judge someone else's situation and decisions in life. All we can do is live with it and give the children an example of how to,nor how not to, lead life. 우리는 다른 사람의 상황과 결정을 판단하는 사람이 아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우리대로 먹고살고 우리 아이들에게 삶을 사는 방법에 대한 예를 드는 것일뿐이다.
Madam Jung : Cheon-geum-ah? 천금아? Cheon-geum  : Yes, mother 네, 어머님 Madam Jung : You are the closest to the age of 16 among the training gisaengs. Am I right? 여기 아이들 중에 16세 넘은 아이 너냐? Cheon-geum  : True, mother. 맞사옵니다 Madam Jung : Then, have you decided on a gisaeng name yet? 그럼, 기생이름을 선택했느냐? Cheon-geum  : No, mother. 아니옵니다 어머님 Madam Jung : Why so, when I have reminded you mamy times? 몇 번 말을 했던게요, 그럼 왜? Cheon-geum : (stutters slightly, in a quieter voice) I- I intend not to take on a gisaeng name, mother. 저- 저는 기생 이름을 생기는 생각이 없아옵니다, 어머님 Wol-hyang : (looks at Eui-hye with a look of worry) Madam Jung : May I know the reason? 이유를 좀 전할할 수 있을까? Cheon-geum  : (voice becoming more firm) My mother gave me a name that I think is fitting to me. I want to be a heavenly lyre player even when I'm a gisaeng. Please understand this young girl's wish, mother. 이 소녀의 애미는 저에게는 잘 어울리는 이름을 지으셨다고 생각을 하느니, 기생이 되도 지금 이름대로 천상의 거문게꾼으로 유명하고 싶은 이 소녀의 순한 마음을 이해주십시오 Soon-ryeon : (leans over to Wol-hyang and whispers) when is her birthday? In how many months? 얘 생일 언젠데? 몇월? Wol-hyang : ( noticing that Madam Jung jas noticed Soonryeon whispering, signals with her hand, 2 fingers. SR gives a look of "well, whatever" and continues eating.) Madam Jung : (slightly angry) So you think these reasons give you the freedom that your friends don't have? What makes you think you have a choice? 그럼 네 친구들이 없는 자유가 네가 갖고 있는 줄 알았느냐? 선택이 있는 생각을 어떻게 들 수 있느냐? Cheon-geum : (quiet but firm) None of the other girls were born to a gisaeng and raised to be one. I have never known anything else but being a gisaeng. How can I change my name? 다른 얘들은 기생의 몸에 타어나지 않았고 기생이 되기 위해 키웠던 게 아니옵니다. 이 소녀는 기생의 삶 밖에 모른데, 어떻게 온 인생이 담긴 그 이름까지 버릴 수 있는 겁니까? Madam Jung : (breathes in sharply) Listen here, child... 아이야, 한 번 들어봐 Mi-hee : (signals to Madam Jung to let her deal with it) Cheon-geum-ah, think again. All of us have gisaeng names. 천금아, 또다시 생각해보렴. 우린 다 기생이름은 있다. Hwa-myeong : I am also the daughter of a gisaeng. I know that you're proud of your name, but I'm sure your mother would appreciate it if you followed the tradition. 저도 기생딸이라서 이름이라는 것에 대한 자랑스음 아주 잘 알아. 그래도, 우리 기생민의 전통을 따라하면 좋겠다. Myeong-ae : ... it is, in the end, what she did too. It wouldn't be wrong to do so. 천금양 어머니도 결곡엔 그렇게 했느니, 니 잘못이 아니라단다... Hwa-myeong : You think it would be disrespectful to your mother, isn't it? 이름을 바뀌는 것은 어머니에게 무례할 거라고 생각을 하냐?? Cheon-geum  : (nods timidly) Mi-hee : I can assure you, it isn't. In fact, I'm sure your mother, if she were here, would tell you to leave your pride behind and do the same as all your seniors, and be a honourable gisaeng. You understand? 장담할건대, 그렇지는 않아. 천금애미께 여기 계셨다면, 자존심은 버리고 모든 선배들과 똑같이 하고, ��륭한 기생이 되라고 말씀하실 거예요. 이해했나? Cheon-geum  : (lowers her head at the sudden interjection of the seniors, embarrassed) I understand. I will think about it. 알겠아옵니다. 생각을 할 겁니다. Madam Jung : Lift your head up. I will give you time until the day before your 17th birthday. Have you understood? 고개를 들어라. 17번째 생일의 날까지 시간을 줄게. 알아들어시게. Cheon-geum  : Yes, mother. 네, 어머님
Jang Sook : Madam, isn't it commonplace to name the girls as soon as they enter the gyobang? 마님, 평소에는 이런 소녀들에게 교입할때 기생이름을 지우는 것은 맞습니까? Madam Jung : You are right, Mrs. Jang. But I feel like a child should be able to enjoy her name before having it taken away from her. 맞는 말씀이십니다.그렇지만, 이 아가들이 자신의 이름과 그것의 뜻을 알고 즐기는 시간을 주고 싶다고 생각하옵니다. Jin-yi : This gyobang really seems like the only one in the kingdom to do so. 온 왕국에서 이 교방은 이것을 하는거 유일한 것 같죠... Jang Sook : I have heard of another gyobang in the Pyongyang region, where they allow the girls to choose which field they study in, isn't that good too, madam? 평양쪽 또다른 교방에서 교입하는 소녀들에게 각자의 공부의 길을 선택하는 것을 허락하는 게 들었는데, 그리하는 것도 좋아하지 않습니까? Madam Jung : I disagree with that. I know that some of the best gisaengs especially in dancing and singing have come from that gyobang, but the gisaengs there lack an all-round education. A gisaeng should be able to do anything. 아닙니다. 저 교방 출신 기생들은 특히 무용과 창으로 아주 유명하지만, 모든 필요한 실력을 갖이지는 아니다. 기생이 모든 게 잘할 수 있어야 됩니다. Myeong-ae : I agree, mother. There is no reason a gisaeng who excels at poetry would also excel at dancing. 동의하옵니다, 어머님. 시를 잘 쓰는 기생은 무용을 잘 할 리 없네요. Soon-ryeon, Eui-hye and Hwa-jung : (look at  Wol-hyang with a smile, almost as if taunting her for her two left feet.  Wol-hyang lets out a sigh and stuffs her mouth with rice) Mi-hee : (notices  Wol-hyang, smiles) Mi-soon-ah (referring to Myeong-ae by her gisaeng name) , to realise you're wrong, you don't need to look far. 미순아, 잘못의 말씀을 했던 게 이해하기 위해 멀리서 보지마오. Wol-hyang : (even more embarrassed, she cowers and keeps on stuffing rice into her mouth) Mi-hee : I'm sitting right here, am I not, mother? 저 여긴 앉아 있지 않으나요, 어머님? Wol-hyang : (surprised at the sudden relevation, looks up) Madam Jung : I remember. 기억하단다. Mi-hee : (continues) There were days I practiced until my legs bruised, and I thought of Yoo-hwa (Yi-rin's gisaeng name) and cried, because I wasn't even as good as her toenail when it came to dancing. 유화의 발끝만큼도 춤을 못출 수 있단 것을 생각하며 울었고, 제 다리가 다쳤을적까지 연습하는 나날들이 있었군요 Myeong-ae : (laughs) And weren't there days I made the floor wet with my tears, as my voice cracked at all the songs, Geum-wol? 나도 노래할때 이상한 소리가 내서 내 눈물로 바닥을 젖은 날들이 있었다, 기억하나, 금월아? Hwa-myeong : I remember crying while playing the drums - I hit my head with a drumstick. (laughter erupts across the room) . I got a big red boil on my head like an egg. It's practice, practice and again practice, that made us to be as skilled as we are. (turns to Wolhyang) There's no need to worry at all. If there is a will, there is a way. 나는 복을 치다가 울었던 기억이 난데요 - 복에 내 머리를 부딪쳤다고... 이마가 겨란처럼 빨갛게 부어올랐어요. 역시, 연습, 연습 그리고 연습이 우리를 이렇게 만들어. 월향아,너 걱정하기가 필요없다. 너 이젠 마음 먹었으니 길이 발견될테니. (Wolhyang : bends her head, half in shame, half in relief. The seniors and Madam Jung smile, and everyone continues eating)
15 notes · View notes
wolha · 1 year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CHOI WOO-SHIK & KIM DA-MI as CHOI WOONG & KOOK YEON-SOO OUR BELOVED SUMMER 그 해 우리는 (2021—2022) dir. Kim Yoon-Jin
218 notes · View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