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mgik
#권오중
star-shorts365 · 10 months
Video
youtube
[스타쇼츠 & 연예가소식 ] '미우새' 권오중 "발달장애子..무사히 대학 졸업" #스타쇼츠 #소상공인마켓 #비데랜드 #쇼츠라인 #...
0 notes
irris30 · 6 years
Photo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Arang tells Kim Eun Oh that his only concern is that she is a clue to finding his mother….(give the guy a break he almost really died 🤕 and still was looking for you) She berates him and refuses to talk further.
3 notes · View notes
pbethebeauty-blog · 7 years
Photo
Tumblr media
영화 [오로라 공주] 청소년관람불가 / 범죄 / 106분 박병은 배우님의 필모를 하나 둘씩 따라가다 보면 어떤..수분감이 느껴집니다. 바로 분량...😔 단역부터 주조연, 특별 출연까지 여러 역할을 필모로 꾸준히 쌓아오신 만큼 뵐 수 있는 작품은 많으나 보는 입장에선 단짠단짠이 존재할 수 밖에 없지요...(따흐흑) 오로라 공주는 2005년 개봉한 작품으로, 배우님은 단역 <포르쉐 매장 손님 2>역으로 아주 잠깐 얼굴을 비춥니다. 인스타지기도 하마터면 배우님 못보고 지나칠 뻔 했다는...풍문이...😅 연쇄 살인을 그린 영화인지라 보시는 분에 따라서 잔인한 장면이 있을 수 있으니 염두에 두시고요! 나는 박병은의 5초라도 놓치지 않겠다! 하시는 분이라면 👉영화 오로라 공주 #박병은 #박병은팬카페미인박병 #박병은필모 #오로라공주 #방은진감독 #엄정화 #문성근 #권오중 #단역 #짠인가요 #짠은아직도많다
0 notes
solplparty · 3 years
Video
youtube
[Music Video] 한결(BAE173) - Melody (내 모든 밤을 수놓던 네가) (러브 인 블랙홀 OST Part.1) https://youtu.be/aRTUUJkIndA ‘러브 인 블랙홀’, 드디어 베일 벗는다! 오늘(17일) 오후 6시 첫 방송! -남자 주인공 BAE173 한결 가창 ‘러브 인 블랙홀’ OST ‘Melody’ 동시 발매!! -매주 금•일요일 오후 6시 공식 유튜브채널 통해 새 에피소드 공개 그룹 BAE173 한결, 우주소녀 설아, SF9 재윤, BAE173 도하, 다이아 기희현, 권오중 등이 주연으로 나선 웹드라마 ‘러브 인 블랙홀’이 17일 오후 6시 첫 방송된다. 또한 남자 주인공 한결이 부른 ‘러브 인 블랙홀’의 첫 번째 OST ‘Melody (내 모든 밤을 수놓던 네가)’가 동시 발매된다. 17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첫 공개되는 ‘러브 인 블랙홀’은 여자 주인공 은하(설아)를 좋아하는 누군가가 쓴 편지가 화이트홀을 통해 전달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SF 판타지 로맨스물로, 한결, 설아, 재윤, 권오중 외에 BAE173 도하, 다이아 기희현 등이 출연해 싱그러운 20대의 풋풋한 로맨스를 그려 나갈 예정이다. ‘러브 인 블랙홀’ 측은 앞서 화이트홀을 통해 ‘사랑하는 은하에게’로 시작하는 편지를 전달 받은 은하가 편지 속 글씨체의 주인공 찾기에 나선 모습을 담은 티저 영상을 공개해 기대감을 고조시킨 바 있다. 영상에는 은하의 소꿉친구 태양(한결), 인기 많은 학교 선배 성운(재윤), 초긍정 연하남 해명(도하), 꿈을 좇는 안나(기희현)의 모습이 순정만화의 한 장면처럼 담기며 시청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냈다. 첫 방송에 맞춰 남자 주인공 태양 역을 맡은 한결이 부른 OST ‘Melody (내 모든 밤을 수놓던 네가)’도 국내 주요 음원 사이트를 통해 17일 오후 6시 동시 발매된다. 이번에 한결은 연기에 이어 OST 가창까지 맡으며 시청자들의 드라마 몰입을 도울 예정이다. ‘Melody (내 모든 밤을 수놓던 네가)’는 80년대의 레트로풍 팝 발라드 곡으로 좋아하는 이를 향한 그리움과 그 시절의 향수를 자극하는 곡이다. 고급스러운 신디사이저와 전자 피아노의 매력적인 선율, 서로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은 애틋한 가사가 한결(BAE173)의 정직하고 담백한 보컬과 어우러지며 감동을 선사할 전망이다. 실제로 이 곡은 극 중에서 태양이 은하를 위해 직접 만들고 부른 곡으로 나올 예정이다. 인기 아이돌이 총출동한 라인업으로 방영 전부터 국내외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러브 인 블랙홀’은 매주 금요일과 일요일 오후 6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새 에피소드를 공개한다. 러브 인 블랙홀 OST Part.1 한결(BAE173) [Credit] 작사 DANI, 박근철, 정수민 작곡 박근철, 정수민 편곡 박근철, 정수민 Guitar 이태욱 Piano 정수민 Chorus 김창연 Recording 김광민@개나리싸운드 Mixing 홍성준@개나리싸운드 Mastering 박정언@HoneyButterStudio 워너뮤직코리아 (Warner Music Korea)
0 notes
bluelullu · 4 years
Link
0 notes
theissuecollector · 5 years
Photo
Tumblr media
권오중, 발달장애 아들 언급하며 눈물→시청자 응원 쏟아져 https://ift.tt/2XlAiJf
0 notes
irris30 · 6 years
Photo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Kim Eun Oh thinks about what Arang 👻 told him about becoming human. Dol Soe thinks about what Kim Eun Oh is thinking about, and who’s that girl? The village officials are hoping that Kim Eun Oh will really leave town after the funeral? Arang is lost in search of the burial ground.
3 notes · View notes
vanbaxm1992 · 6 years
Video
youtube
my channel 성유리, 권오중 특별출연.."제자, 옥한흠" 내레이션 | KRVBA TV link https://youtu.be/nw3FWdXkNs8
0 notes
fullyburningstudent · 6 years
Video
youtube
배우 장원영 결혼 부*인 누구? 결혼식 사회 권오중 축가 정수영? 장원영 모발이식 대머리 가발 나이 학력 고향 프로필 근황 | KRVBA News
0 notes
Link
독일 야동 불법경마사이트 농협기업인터넷뱅킹 식상한 나이지리아 야동 일본경마예상지 중흥s클래스 이뻤지만 잠비아 야동 일본경마결과 돈디스크쿠폰 난감했다
0 notes
sgrstylise34 · 5 years
Text
[충격]권오중 아들 희귀병 오진 눈물. 희귀 한 아들의 질병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진실은 ...
via IFTTT
0 notes
Link
아이유 인스타그램 셀카 몇장 올려봅니다.
기본 프로필
2017년을 빛낸 최고의 한국 가수 1위, 2017년 아이돌 선호도 1위
아이유 본명: 이지은
아이유 출생: 1993년 5월 16일 (25세) 닭띠, 황소자리 서울특별시 성동구 송정동
아이유 키 161.7cm
아이유 몸무게 45kg 혈액형 A형
아이유는 음원 차트를 장악하는 보기 드문 K-POP 싱어송라이터 중 하나며, 이 장르의 진부함을 서서히 깨나가는 그녀의 자아 성찰에 대한 숙련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녀는 다른 곳에서는 찾을 수 없는, 자신만의 진정성을 뿜어낸다. - 뉴욕 타임스 25 Songs that tell us where music is going 중
본명은 이지은이며, 아이유(IU)는 예명이다. 아이유(IU)는 '음악으로 너와 내가 하나가 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2008년에 데뷔하여 가수 경력 만 10년을 막 넘어섰다.
아이유 본명은 이지은이다. 아이유는 음악으로 너와 내가 하나가 된다 라는 뜻. 가수로써는 아이유는 경력만 10년이 넘는다/아이유 #아이유프로필 #아이유 #이지은 #아이유노래 #가수아이유 #배우아이유 #아이유출연 #아이유드라마 #아이유경력 #아이유 #아이유예능 #아이유아는형님 #아이유앨범 #아이유노래가사 #아이유노래 #아이유삐삐 #아이유수상 #아이유 아이유경력 아이유 이지은 아이유본명 아이유카페 아이유블로그 아이유데뷔 아이유가수경력 아이유혈액형 아이유출생 아이유본명 아이유매 아이유 음악중심 아이유차트순위 아이유삐삐 아이유뮤비 아이유유튜브 아이유채널
아이유 인스타그램 셀카 고화질 JPG 모음
#아이유 #IU #가수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다양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유, 현 시대 여성 솔로 가수 중에선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가요계의 여왕이며, 어떤 장르도 소화해내는 만능형 가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20] 로엔 소속 가수 중에 듀엣이나 콜라보 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1위를 기록한 가수는 아이유가 유일하다.[21] 가수 이외의 커리어도 꽤 많은 편인데, 브라운관에서 종횡무진 활동을 하는 현역 가수 중 한 명이기도 하다. 2010년 2월 2일 신설 전 가제는 '김승우 쇼'였다가 첫 방송을 앞두고 '김승우의 승승장구'로 최종 결정하였다. 방송 초반엔 토크 전 악기 연주로 게스트를 맞이하고 토크를 마친 뒤 진행자와 게스트가 함께 공연하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는 포맷이 일본 후지TV의 인기 장수 프로그램 '도모토쿄다이'의 컨셉을 표절 한 것이라는 의혹이 수면 위로 떠올랐으나 담당 PD는 "우리 프로그램 컨셉이 주인공을 위한 노래를 만들어주는 것이어서 밴드 공연을 한 것이다." "표절이기는 커녕 도모토쿄다이라는 프로그램에 대해 알고 있지도 않다."라며 표절 사실을 부인 했다. 믿거나 말거나... 뒤이어 한 문화평론가는 "예능에서 형식이야 돌고 돈다지만 '승승장구'엔 'MC 밴드' 형식이 잘 들어맞지도 않는다. 메인MC가 전체 쇼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특성상, 메인 MC인 킨키키즈야 (싱어송라이터) 가수니까 (그 외 고정 패널들도 하나 둘 악기를 능숙하게 다룰 줄 아는 유명 뮤지션 또는 악기를 다룰 줄 모르는 연예인이 고정 패널일 경우엔 코러스 담당 아티스트에게 전문적인 지도를 받아 코러스로 참여 시킨다.) 연주 및 코러스가 성사 된다고 해도 '승승장구' 에서 밴드는 연주도 어설프고 토크쇼 분위기와 섞이지 않는다"는 평을 남겼다. 초반의 방송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패널들 대부분이 밴드의 손 모양만 흉내내어 연주를 하는 것이 정말 어색하기 그지 없다. 그나마 실제 연주를 하는 건 메인 진행자인 김승우 뿐이다. 이 부분은 해당 평론가 뿐만이 아니라 시청자들 역시 어색하다며 매회 지적해왔던 부분이다. 이후 PD는 시청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기로 한 건지 얼마 안 지나서 밴드 컨셉이라는 것 자체가 아예 사라진다. 한 때 시청률 30%를 찍고 종영 직전까지 10% 근처의 시청률을 찍던 장수 인기 프로그램의 후속 프로그램[1]인데다, 메인 MC가 오락프로그램 초짜인 탤런트라서 기대치도 낮았고, 5년넘게 롱런하던 직전 프로그램을 버로우시킨 한 때 국민MC가 진행하던 프로그램이 경쟁상대라 제작진들도 시작부터 버거워하던 프로그램이었다. 초반 예상은 몇 개월이나 버틸까 였으나 예상보다 장수하면서 2년넘게 롱런해서 2012년 초에 100회를 돌파했다. 2013년까지 3년 가까이 방송을 했으나 2013년 초에 폐지확정. 폐지의 이유는 이례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처음 시작했을 때 예상됐던 시청률 저하나 부진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메인MC인 김승우 본인이 연기에 전념하고 싶다면서 사의를 표명했기 때문.[2][3] 그리고 탁재훈은 또 하나의 프로그램의 문을 닫았다. 새로운 폐지전문 MC 등극? 정말로 프로그램 시작했을 때의 기대치를 생각하면 굉장히 선전했고 충분히 장수한 프로그램. 경쟁 프로그램인 강심장과는 달리 철저히 게스트 위주이고 진솔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팬층은 꽤 있다. 무릎팍도사가 종영된 이후에는 거의 유일하게 게스트의 진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되었다.[4] 힐링캠프 기���지 아니한가도 있기는 하지만. 2013년 1월 15일 종영이 확정되었으며 마지막 게스트는 안정환 부부.[5] 후속으로는 강호동의 KBS 복귀작인 달빛 프린스.[6] 공교롭게도 같은 시간대 SBS 강심장도 비슷한 시기 종영이 확정됐다. 2. 역대 진행자 목록[편집] 김승우 - 메인 MC로서 프로그램에 이름을 내걸고 있지만 순발력 부족으로 크게 웃음을 주지는 못한다. 하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대본을 통해 이끌어내는 실력이 있다. 우영과 함께 할때는 꽁승우의 캐릭터가 있었지만 개편으로 인해서 사라져 버렸다. 이수근 - 과거 정재용이 스케줄로 출연하지 못했을 때 보충된 적이 있었다. 이후 김성수가 하차함에 따라 고정으로 결정되었다. 순발력이 있어 다른 MC보다 많은 개그를 내뱉는 편이다. 예능계에서는 김승우보다 선배. 탁재훈 - 개인사정으로 보조MC의 자리를 물러난 정재용의 뒤를 이어 보조 MC로 발탁되면서 화요일 밤의 KBS로 복귀. 이수근과 더불어 메인MC의 부족한 예능감을 보완하는 존재. 순발력으로 말할 것 같으면 이수근도 한수 접고 들어갈 정도이다. 본인이 주역이었던 전작 때 빛을 발하던 애드리브는 여전하다. 이기광 - 비스트의 멤버로 뜨거운 형제들을 통해 입증된 예능감을 보고 캐스팅되었다. 아이돌과 젊음을 무기로 직설적인 질문을 자주 내뱉는다. 다들 꺼려하는 정보를 꺼내는데 능하다. 2012년 10월 9일 방송분(박근형 편)을 끝으로 하차. 태연 - 소녀시대의 멤버 태연. 2PM의 우영과 함께 승승돌로 불리며 초기 시청률을 올리는데 공헌하였다. 2010년 겨울 개편을 기점으로 하차. 우영 - 2PM의 멤버 우영. 김승우와 꽁으로 양대산맥을 이루었었다. 우영 때문에 프로그램을 싫어하는 사람물론 박재범 팬들과 우영 때문에 승승장구를 보는 사람들로 갈렸었다. 역시 2010년 겨울 개편을 기점으로 하차. 김신영 - 준비된 입담으로 개그를 많이 끌어냈었다. 최화정 - 누님의 캐릭터로 가끔 입이 틀 때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병풍취급이었다. 김성수 - 영화 스케줄에 집중하기 위해 하차. 빈틈을 노려 개그를 날리는 능력이 있었다. 이 분의 하차에는 이경규의 예언이 뒤에 있었다는 소문이... 정재용 - 보조MC로서 입담은 있는 편이지만, 사람 수가 수다 보니 자주 입을 열지는 못한다. 여자 앞에서 떠는 것도 한가지 이유인 듯. 자학적 타학적 개그가 많이 나온다. DJ DOC 앨범 활동을 이유로 자진 하차. 3. 역대 코너[편집] 3.1. 우리 빨리 물어 앙[편집] 승승돌의 귀엽게 무는 표정이 돋보였던 코너. 태연과 우영이 한번씩 100초안에 많은 질문을 하고 누가 이겼는지 보는 코너였다. 태연과 우영이 하차하면서 사라졌다. 3.2. 우리 지금 만나[편집] 게스트가 웹사이트에 "만약 ...이 ...을 한다면"이라는 글을 올려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댓글을 실행하도록 하는 코너였다. 가학성 논란을 받았는지 어느순간 슬그머니 사라졌다. 팬들의 무서움을 보여주는 코너. 특히 태연이 나갔을 때는... 3.3. 우리 빨리 물어 빵[편집] MC들이 차례로 1분안에 문제를 묻고 게스트로 부터 답을 들어 50개의 질문을 채우면 방청객에게 빵을 돌리고 실패하면 소원쪽지를 들어주는 형식이었다. 김성수가 하차하면서 사라졌다. 3.4. 김승우의 시선[편집] 김승우가 직설적인 질문을 던지면 게스트가 답변을 하는 형식. 호응이 없었는지 몇 회만에 사라졌다. 당신은 왜?의 전 단계라 할 수 있다. 3.5. 몰래 온 손님[편집] 이 프로그램을 상징했다고 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코너로 첫 방송부터 계속되어왔다. 게스트에게 말하지 않고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가 나타나는 형식이다. 게스트는 정말로 놀라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머니가 나타났을 때는... 현재 해피투게더 시즌 3에서 이 형식이 부활했다. 3.6. 당신의 사전[편집] 게스트가 자신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미리 얘기한 후, 토크를 통해 왜 그 단어들이 자신에게 맞는지 설명하는 형태의 코너. 3.7. 당신은 왜?[편집] 게스트에 대한 가장 궁금한 ���을 웹사이트의 댓글을 통해보여주고,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댓글 다섯개 중 가장 걸맞는 댓글을 게스트가 뽑도록 많든 코너. 왠지 이상한 댓글이 추천을 많이 받을테지만, 심의상 제거하는 분위기이다. 3.8. 나에게 쓰는 편지[편집] 게스트가 자신에게 쓰는 편지. 마무리 하기 직전 예외없이 모든 게스트가 수행했다. 4. 역대 게스트[편집] 회차적으로 기입. 동시출연은 쉼표로 한줄에 기입. 몰래온 손님은 아는 경우 같은 줄에 적는다. 김남주 황정민 2PM 2부 김소연 이규혁, 이상화, 백지영, 휘성 김수로, 이찬호, 이현우, 지연(티아라) 공부의 신 출연진들이다. 신현준, 탁재훈 장혁 비 소녀시대, 옥주현 김해숙 박명수, 하하, 길 박중훈 오은선 원더걸스, 박경림 2부 구혜선, 산다라박, 윤아 차승원, 성지루, 이준혁 최시원, 택연, 정용화 박성호, 김병만, 이수근 이재룡, 유호정, 주영훈, 이윤미 부부 백일섭, 고두심 DJ DOC 백지연 김창렬, 허준, 조빈, 김준, 이경필, 동호, 조연우, 서효림, 비스트 천하무적 야구단. 지소연, 문소리, 김나래 여자 축구 국가대표선수들. 이상용, 이상벽 한은정, 김호진, 김유정, 서신애 김태희, 양동근, 이하늬, 오정연 김태희 2부 2NE1, 천둥 박영규, 김성은 김제동, 성동일, 김남주, 이하늘, 강수정 김제동 2부 성동일, 비, 이나영, 다니엘 헤니 신승훈, 싸이, 박소현 김성근, 하일성 송해[7], 이수근, 송대관, 설운도, 박상철 이선균, 최강희 김수미, 신현준, 이유리 최수종, 하희라 부부, 이덕화 박진영, 김태우, 손호영, 미쓰에이 박태환, 산다라박 전인화, 주원, 윤시윤, 이보희, 이혜숙 이경규, 이윤석, 김태원, 김병만 이경규 2부 심형래 김병만, 류담, 노우진 김구라, 김흥국, 김동현, 왕종근 자니 윤 주상욱 전현무, 신영일, 김현욱, 박은영 남진 안문숙, 박철, 김민희 임하룡 김갑수, 조권, 윤두준 김완선, 지나 신동엽, 김생민, 홍석천 도지원 김정운, 박지연[8] 안내상, 우현 이혜영 김대희, 김준호, 박성호 김청 김범수 김정태 김동건 정진영 에드워드 권, 권오중, 이현우 전유성, 희철 이순재, 사미자 유오성, 박원상 김보연, 전노민 조관우, 조통달 조수미, 김병만 이문세, 노사연, 한고은 2부 김한길, 최명길, 황신혜[9] 김건모, 윤일상, 이선미[10] 신해철, 윤원희[11] 용감한 형제, 신사동 호랭이, 가희, 정아, 리지(이상 애프터스쿨), 소연, 은정(이상 티아라), 윤두준, 용준형(이상 비스트) 엄태웅, 은지원, 이수근, 김종민(이상 1박 2일 멤버진), 엄정화[12], 주원 배철수, 구창모, 성시경, 장기하 박정현, 성시경 최효종, 애정남 팀[13], 사마귀 유치원 팀(정범균, 박성호) 임재범, 김형석 2부[14] 아이유, 수지[15], 유인나 김응룡, 이종범, 양준혁 이대근, 조형기 타이거 JK, 윤미래, 서조단, 서병후[16] 엄정화, 엄태웅(전화 연결)[17], 황정민, 주영훈 안성기, 태진아, 안인기[18] 김승우(?), 이태성, 공형진, 이종혁 2012년 1월 24일부터 100회 특집으로서 기존 MC들을 게스트로 초청하여 방송하고 있다. 김승우 편에선 아내인 김남주 씨가 일일 MC로 등장했다. 이수근 일일 MC로 김병만이 출연했다. 심수봉 이날 심수봉은 10.26 사건 이후 자신에게 닥친 고난에 관한 진지한 이야기들을 많이 들려줬다. 비스트 은지원, 바비킴 전미선 신화 하하 김서형 이상해, 김영임, 김준현 장현성 유준상 이승철 백지영 보아 강수진 소방차 김준현, 신보라,네가지 팀[19], 용감한 녀석들 팀(정태호, 박성광, 양선일) 정명화, 정경화 차태현 울랄라세션 이종혁 장미란 이희준 손연재 역대 최연소 게스트. 정경미, 박지선, 허안나, 김영희, 정태호 박근형, 김자옥, 송대관 김종민 박철민 김장훈 윤복희 주원, 박기웅 윤상현 정준호 금난새 이대호 혜민 션, 정혜영 이영자 박성호 안정환, 이혜원 최종회 게스트. [1] 사실 승승장구도 방영 시작 1년 반이 넘도록 상상플러스 종영 직전의 시청률을 넘나들다가 강호동의 잠정은퇴로 강심장이 부진하면서 시청률이 꾸준히 올라 2012년부턴 10% 초중반대의 시청률을 유지했다. [2] 그 외에도 김승우는 1박 2일에도 출연했기 때문에 그동안 진행하면서 스케줄을 소화하기 어려웠던 것도 한 몫 했다. [3] 보통의 예능 프로그램들은 시청률이 낮거나 도전 지구탐험대나 생방송 음악캠프와 같이 불미스러운 사건사고에 연루되고, 심지어 특정한 이유로 결방이 지속되어 더 이상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한 후 폐지되는 경우가 태반이지만 이 프로그램의 경우는 시청률이 높은 편이지만 본인 의사에 의해 폐지되었기 때문에 이례적인 경우에 속한다. [4] 본 방송에 출연했던 아이유도 강심장에서는 말도 제대로 못하고 편집당했지만 여기서는 부담이 없다라고 말했다. [5] 마지막 방송은 역대 MC들이 출연할 예정이었지만, 해당 게스트로 변경됐다. [6] 그런데 문제는 이 프로그램이 반응을 얻지 못하여 2달만에 종영되었다는 것. [7] 역대 최연장자 게스트 [8] 이수근의 부인. 이 에피소드에는 부부상담 게스트로 이수근-박지연 및 박지윤 - 최동석이 참석했다. [9] 김한길 - 최명길 부부의 몰래 온 손님으로 황신혜가 출연함. [10] 김건모의 모친 [11] 마왕 신해철의 아내. [12] 아이유 [13] 류근지, 이원구, 신종령. [14] 김형석이 1부에 몰래온 손님으로 출연 [15] 역대 최연소 몰래온 손님 [16] 일가족 총 집합. 서병후는 타이거 JK의 부친이다. [17] 엄태웅이 게스트였을 때 엄정화가 전화로 연결해 출연한 것과 유사하다. [18] 안성기의 친형. 예능 프로그램 PD 출신이며, 현재는 성남문화재단 이사로 활동 중. [19] 김기열, 양상국, 허경환. 아이유 2000-2010년대 한류의 최대 수요지 동남아시아의 경우에는 필리핀, 싱가폴, 말레이시아. 미얀마에서 인기가 많으며, 태국에서는 자체영상물의 인기가 상당히 높은데다가, 인도네시아에서도 인도 드라마와 터키 드라마가 방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주 잘나가는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가요면에서는 엄청난 영향을 받고, 한국 웹툰도 꽤 인기를 얻는 등[1] 상당한 인기가 있는편이다. 필리핀 야후에는 아예 '한류(KOREAN WAVE) 라는 카테고리까지 있다. 사실 동남아시아는 사람 수도 많고 워낙 다양한 문화를 서로서로 좋아해서 그냥 한류뿐만 아니라 다 좋아한다. 한국 대중문화뿐 아나라 일본과 중화권 대중 문화, 인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하는 인도 대중 문화나 태국산 영상 매체도 인기가 있고,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는 터키 드라마도 상당한 인기가 있다. 물론 한류에 대한 반감이 없는 것은 아니라서 학부모들이나 언론매체에서는 청소년들이나 젊은층들이 한류에 물들여져서 전통문화는 경시하고 사치스럽거나 퇴폐적인 문화에 물들여져 가는거 아니냐는 기사나 의견이 종종 실리기도 한다. 사실 이런 레퍼토리야 전 세계 공통이기는 하다.[2] 한국이나 일본도 과거에는 그런 레퍼토리가 판을 쳤기는 했으니. 그래도 마냥 부정적인 기사만 나오는것은 아니고 한류를 벤치마킹해서 자국의 대중문화를 진흥시키자는 주장도 많이 나오기도 한다. 사실 이건 언론사 성향이나 필진에 따라 달라지기는 한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같은 SNS계정에서 좋아요나 팔로우 등을 하는 동남아시아인들을 역추적해보면 정말 다양한 문화를 많은사람들이 좋아하는걸 볼 수 있다. 2017년 1월 기준으로 드라마 태양의 후예가 돌풍을 일으키면서 아시아 및 대양주 지역 한류 동호인이 4010만여 명으로 53% 늘었다. # 2018년에는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 폐막식에서 iKON과 슈퍼주니어가 폐막식 공연을 하였다. 3.1. 베트남의 한류[편집] 베트남은 같은 사회주의 국가였던 만큼, 한류가 유행하기 시작한 배경이 중국과 유사하다. 1975년 통일 이후 완전한 사회주의 국가를 추구하지만, 경제난으로 인해 개혁이 반드시 필요했다. 1986년 유명한 도이모이(Doi Moi)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베트남은 사실상 시장경제체제를 가지게 되었다. 이후 계속된 산업화와 현대화 정책을 통해 국민들의 소득이 증가했다. 자연스럽게 질 높은 문화 컨텐츠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었다. 하지만 베트남 내부에서는 아직 양질의 문화 상품을 생산하기에는 무리였다. 이에 따라 베트남 방송국들은 해외 문화에 눈길을 돌린다. 베트남에 최초로 수입된 일본 드라마는 1994년 방영된 <오싱>이라는 작품으로, 전후의 가난을 극복해가는 스토리로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그 이후 방영된 드라마들은 일본 샐러리맨들의 생활이나 베트남에서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현대적 배경을 소재로 하고 있어 실패로 끝났다. 이렇게 공감하기 힘든 일본 드라마나 무거운 주제가 많은 중국 드라마를 제치고 가볍게 볼 수 있고 유교문화를 공유하는 한국 드라마가 선택되었다. 베트남에서 최초로 소개된 드라마는 1994년 방영된 KBS作 <느낌>으로, 첫 소개작부터 인기를 끌었다. 이후 1999년 5월까지 14편의 한국 드라마가 소개된다. 이 중 가장 히트를 친 드라마는 장동건, 이영애 주연의 <의가형제>와 중국에서도 인기였던 <별은 내가슴에> 이다. 2000년대에는 <모래시계>, <가을동화>, 그리고 <겨울연가>와 <대장금>이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이 두 작품은 한류가 유행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대히트를 쳤다. 드라마들이 이처럼 대거 방영된 데에는 국내 기업들의 공도 있었다. 삼성이나 LG 등의 대기업들은 TV광고를 내보내고 광고료를 드라마를 통채로 사서 지불했다. 방송국 입장에서도 시청률이 괜찮게 나오는 드라마를 헐값에 살 수 있으니 받아들였고, 기업들은 원 광고료의 몇 배에 달하는 경제 효과를 얻었다. 3.2. 태국의 한류[편집] 태국 역시 한류의 영향력이 매우 막강한 곳 중 하나이다. 태국의 한류는 이미 알려진대로 K-POP을 중심으로한 아이돌 팬덤과 온라인 게임이 그 중심축을 이루고 있고 한국드라마도 여러번 방송되어서 꽤나 재미를 보기도 했으며 여러 K-POP 그룹들이 태국인들을 멤버로 두고있다보니까[3] 자연히 태국인들의 인기도 더욱 커졌다. 그리고 200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는 한국 학습만화가 의외로 꽤 흥하기도 했고, 2010년대 들어서는 한국의 웹툰이 태국어로 번역되어 인터넷에 제법 퍼졌고, 2010년대 중반부터는 아예 한국업체에서 공식적으로 진출하거나 현지업체와 제휴해면서 한국 웹툰이 널리 퍼지게 되었고 현지작가들도 모집하고 있는 중이다. 번역이 시작된 시기도 다른 주요 언어보다 비교적 빠른 편이다. 게다가 태국 현지 팬들도 K-POP 그룹의 보컬과 랩, 그리고 안무를 따라하는 커버 영상까지 올라올 정도다.[4] 4. 중동의 한류[편집] 이 지역은 기본적으로 터키 드라마와 레바논/이집트 음악과 이집트의 TV 쇼 등 터키와 레바논, 이집트의 대중문화가 크게 유행하고 있는 곳이다. 문화적으로 폐쇄적인 지역으로 알려져있으나 사실 이건 위성방송이 많이 보급되어있다는것을 감안하지 않은 얘기로 1990년대 이후로 위성방송이 널리 보급되면서 각 국가별로 수십여개 정도의 위성방송 채널을 기본적으로 수신하는 가정이 많은데 그 와중에 한국영상물도 꽤나 인기를 얻게 된것이다. 나름대로의 이란에서는 국영방송사에서 여러 사극이 수입되었다. 그 와중에 주몽, 대장금등 한국산 드라마들이 방영되며 인지도를 얻었고 2010년대 이후 여성층을 중심으로 매니아들을 모으며 꽤나 인기를 모으고 있다. 중동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 제작국인 터키에서도 미안하다 사랑한다, 넝쿨째 굴러온 당신, 풀하우스를 리메이크 할 정도.[5] 기존 터키 드라마의 경우 1회당 방영 시간이 2시간 이상에 100개 이상의 에피소드, 중간중간 광고까지 들어가기 때문에 중동 시청자들이 지루해하는 반면에 한국 드라마의 경우 길이가 짧고 소재도 터키 드라마보다 다양하기 때문에 부담없이 즐길수 있어서 좋다는 반응이 많다. 인터뷰. 터키 드라마는 대부분이 시대극이니 복수극인데 사실 몇몇 작품의 퀄리티는 꽤 좋아 유럽에서도 영향력이 크다. 그 외에 이집트, 레바논,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 에미리트, 쿠웨이트, 이라크에서 최신 한국 드라마 시청, K팝 행사, 한국 연극 단체 관람 등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 2017년 1월 기준으로 아프리카 지역과 같이 한류 동호인은 19만 명으로 전년(17만 명)에 이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 5. 유럽의 한류[편집]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등은 2011년을 유럽 공략의 원년으로 삼고 유럽을 목표로 달리고 있다. 분명한 것은 수출산업을 ���가 기간산업으로 하는 한국에 새로운 유형의 수출 기간산업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는 것이다. 한류가 일회성 문화의 흐름으로 끝나지 않고 다른 수출산업의 기폭제 역할을 하며 한국이라는 국가의 이미지 제고에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눈에 보이는 비용으로만 바라볼 게 다가 아닌 것. 최근에는 방탄소년단을 필두로 서구권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어서, K-POP만 전문적으로 번안해서 부르는 유튜브 가수도 나왔다 (JD Relic 참고). 몇 가수들은 큰 공연은 아님에도 몇번씩 유럽 투어를 하고오기도했다. 2017년 1월 기준으로 영화 아가씨와 곡성, 부산행 등이 개봉 전 2016년 5월 칸 영화제에서 주목받으면서 한류팬이 1000만 명을 넘어섰다. # 아직 아시아에 비해 규모는 작다지만, 확실히 팬층은 형성되었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영국, 프랑스, 폴란드, 루마니아 등이 한국문화가 제대로 자리를 잡은 나라들로 분석된다. 5.1. 프랑스의 한류[편집] 프랑스 공연 영상 예시로써 2011년 6월 10일, 11일 SM엔터테인먼트 아이돌들의 프랑스 공연이 성황리에 종료됐다. 이틀 간 1만4,000여 명의 관객들이 관람을 했다. # 2011년 6월 9일, 10일, 르몽드와 르피가로는 'SM타운 라이브 월드투어 인 파리'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 르몽드는 '유럽을 덮친 한류'란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르피가로는 '한류가 프랑스의 르 제니스를 강타하다'란 타이틀의 기사를 실었다. #원문? 2013년 2월 9일, 틴탑이 프랑스 파리의 르 트리아농(Le Trianon)에서 공연을 하였다. '르 트리아농(Le Trianon)'은 미국의 리한나도 공연을 한 공연장이라고 한다.(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30212104207210) 5.2. 독일의 한류[편집] 2011년 9월 10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K-POP 팬들이 플래시몹을 벌였다. # 이들은 태극기를 들며 플래시몹을 벌이는 장소로 이동했다.# JYJ가 10월 29일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공연을 가진다는 기사가 조선일보를 통해 보도됐다. 공연규모는 4000석이며 장소는 빨라우 산 호르디(Palau Sant Jordi) 경기장이다.(JYJ, 스페인·독일서 단독콘서트…K-POP 가수 중 처음). JYJ는 스페인 공연 후인 11월 6일 독일에서 공연을 가졌다. 장소는 독일의 수도 베를린이며 공연규모는 3500석 정도로 추정된다. 6. 북아메리카의 한류[편집] 6.1. 미국의 한류[편집] 간단히 말하자면 이렇다. 싸이, 그리고 방탄소년단 이전까지는 찻잔 속의 태풍에 불과 했으나 2012년 싸이의 미국 강제진출로 인해 미국 주류 문화에 한류라고 할 만한 것이 일어나기도 했다. 한국어 노래가 사상 최초로 빌보드 메인 차트의 최상위권을 차지 하기도 했으나 싸이 개인의 성공이지 미국내 한류가 뿌리내렸다고 보기는 어렵다. 영화의 경우 올드보이가 인지도를 높이는데 꽤 기여했다. 사실 올드보이는 미국보단 유럽에서 아직까지 인정받고있다. 특히 엠파이어지에서는 일년에 한번씩은 꼭 언급되는 영화. 특히 박찬욱 감독은 미국 내 인지도가 남다르며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이 적극적으로 좋다고 표현할 정도다. 사실 올드보이의 칸 영화제 수상당시 심사위원이 바로 이 분이었고 직접 상도 건네주었다. 타란티노 감독은 일본영화 특유의 잔인성을 광적으로 좋아하는 감독이며 그외에도 80년대 특유의 B급액션이나 범죄영화들을 지금도 오마쥬로 쓸정도로 좋아하는 감독이다. 가장 좋아하는 영화도 일본의 배틀로얄이라한다. 실베스타 스탤론은 좋아하는 영화 리스트에 국내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를 언급하기도 했다. 최근 방탄소년단이 북미 포함 세계적 인기를 끌면서 상황이 상당히 달라졌다. 각종 메이저 TV 쇼와 시상식에 초청될 정도이다. 그리고 강남스타일만이 빅 히트를 친 싸이와는 달리 방탄소년단은 자체 팬덤이 상당히 형성되었고, 노래도 골고루 인기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다만 방탄소년단의 미국에서의 성장세는 K-POP이나 한류의 일환이라기보다는 방탄소년단이라는 그룹 자체에 대한 인기에 가까우며, 일시적인 유행이나 트렌드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또한 방탄소년단의 음악 역시 기존의 K-POP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편이며 오히려 최신 영미권 팝 스트림에 더 가깝다는 평가도 있으므로 기존의 한류와는 궤를 달리한다는 분석 역시 존재한다. 7. 남아메리카의 한류[편집] 의외로 한류가 꽤나 상당한 수요를 지니고 있다. 공산국가로도 유명한 쿠바에서도 한국드라마를 수입할 정도의 수준이고 K-POP도 상당한 인기가 있는 편이다. 물론 라틴아메리카를 바깥에서도 크게 인기가 있는 텔레노벨라나 라틴팝등 자체적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는 능력이 상당한 곳이기에 동남아처럼 아주 메이저한 수준은 아니고 한류 수용도도 국가별로 차이가 나는 편이기도 하다. 7.1. 브라질의 한류[편집] 아직까지는 지극히 소수에 불과하지만 상파울루에서 한국 가수들이 공연을 가졌다. 주로 K-POP의 인기가 높은편이고 드라마는 진출이 많이 미진하다. 7.2. 아르헨티나의 한류[편집] 아르헨티나에서도 한류가 이어져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한국 가수들이 공연을 갖게 되었다. 대체로 브라질보다는 한류의 세가 강한 편[6]. 7.3. 페루의 한류[편집] ※ 김현중의 팬미팅을 위한 페루 방문.(소리 주의) 중남미에서 가장 한류의 바람이 강한 곳이며, 이에 대해 페루가 다른 중남미 국가들보다 아시아계 국민들이 많다는 점이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2013년 2월 25일 김현중은 팬미팅을 위해 페루를 방문하였다. 김현중이 머물기로 한 호텔 앞에는 하루 전부터 팬들이 텐트 등으로 진을 치고 있었다고 한다.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30227105611806. 팬미팅에는 대략 4천여 명 가량이 몰렸다고 전해진다. 팬미팅이 벌어진 장소는 페루의 수도 리마의 '빠르케 데 엑스포지시온'(Parque de la Exposicion)이라는 야외무대였다고 한다.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30227103907220. 8. 아프리카의 한류[편집] 웬 아프리카? 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 한류는 아프리카에도 분명한 영향을 끼쳤다. 아직 국가별로 세세하게 나누기엔 부족하고,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이긴 하지만 한국과 전혀 접점이 없어보이는 곳인데 불구하고 한국의 문화컨텐츠가 생각보다 널리 알려져 있다. 샘 오취리의 경우를 봐도 알 수 있듯 대장금은 가나 공화국, 보츠와나, 짐바브웨 등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영채널 에서 방영되었고 2014년 강남스타일을 편곡해 자국의 대통령을 깐 남아공 청년도 있었을 정도. 그리고 2013년 7월 만델라의 95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콘서트에 싸이를 섭외하려 했다 한다. 2017년 1월 기준으로 중동 지역과 같이 한류 동호인은 19만 명으로 전년(17만 명)에 이어 성장세를 보였다. # [1] 아예 네이버가 현지에 진출해서 한국 웹툰 서비스를 하기도 할 정도이다. 라인 인도네시아 지사와 태국 지사에서 한국웹툰을 서비스하고 있고, 현지 웹코믹도 연재하고 있다. [2] 사실 서구권에서도 이런 레퍼토리가 판을 치기는 했다. 미국 내에서도 자국 TV프로그램과 영화의 과도한 선정성이나 폭력성, 헤드메탈의 막마성 문제같은것은 사실 보수세력이나 학부모들 사이에서 종종 나왔던 레퍼토리였고, 유럽에서도 한창 미국 대중문화가 세를 떨쳐갈 무렵에 양키 대중문화가 유럽을 점령하고 자국 문화의 주체상을 상실하는거 아니냐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3] BLACKPINK, 2PM, GOT7, CLC, (여자)아이들 등등 [4] 해당 관련 영상 공식 계정 OB1Jellopy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5] 다만 대형프로젝트의 개념으로 리메이크된건 아니고 인기가 있던 것은 아니다. [6] 그럼에도 불구하고 K-POP 그룹의 남미 콘서트나 공연은 브라질과 칠레가 가져가는 형국이라 아르헨티나 한류팬들이 자기네들도 좀 봐달라며 하소연할 지경이다. 실제로 방탄소년단이 브라질에서 콘서트를 열었을때 아르헨티나 팬들이 부러워 할 정도.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0 notes
megakidsclub · 6 years
Video
youtube
근육 없어지는 ‘희귀병’ 앓는 아들 이야기하며 눈시울 붉힌 권오중 MBC '궁민남편'[인사이트] 최해리 기자 = 배우 권오중이 애틋한 부성애로 시청자들의 눈물샘을 자극했다.지난 2일 방송된 MBC '궁민남편'에서는 권오중이 아들에 대한 이야기를 털어놓은 장면이 그려졌다.김용만은 취미가 없다는 권오중의 말에 "그럼 한식, 양식 조리 자격증은 왜 딴 거냐"고 물었다.이에 권오중은 "우리 아이가 허약했다. 의사가 건강 요법을 해야 한다고 하더라. 그래서 내가 직접 요리를 배워서 해주려고 땄다"고 털어놨다. MBC '궁민남편'앞서 권오중은 방송을 통해 아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골격근이 위축되는 '근이영양증... ▶유튜브 구독하기: https://goo.gl/JQ1f1j 보고 주셔서 감사합니다. #근 #육 #없 #어 #지 #는 #‘ #희 #귀 #병 #앓 #는 #아 #들 #이 #야 #기 #하 #며 #눈 #시 #울 #붉 #힌 #권 #오 #중
0 notes
rankingnews-blog · 6 years
Link
근육 없어지는 '희귀병' 앓는 아들 이야기하며 눈시울 붉힌 권오중 - https://mb18.co/?p=225993&utm_source=SocialAutoPoster&utm_medium=Social&utm_campaign=Tumblr...
0 notes
theissuecollector · 6 years
Text
권오중, 아들 희귀병 고백…그가 요리와 봉사를 하는 이유는?
권오중, 아들 희귀병 고백…그가 요리와 봉사를 하는 이유는?
배우 권오중 아들의 희귀병 투병 사실이 전해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2일 방송된 MBC ‘일밤-궁민남편’에서는 배우 권오중이 낚시에 도전하려고 열정을 보이는 모습이 그려졌다.
이날 권오중은 한식, 양식 요리 자격증을 딴 남모를 사연을 고백해 눈길을 끌었다. “어쩌다 요리 자격증을 따게 됐나.”라는 질문에 권오중은 “우리 아이가 워낙 허약했다. 병원에 갔더니 시제품을 사 먹이지 말고 유기농으로 먹이라고 하더라. 그래서 아들을 위해 요리 공부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또 권오중은 아들의 병을 얘기하면서 “국내에는 1명, 전세계에서 15명만 겪고 있는 병을 앓고 있다.”고 고백했다. 권오중은 “그때 어떻게 생각했냐면 ‘특별한 아이를 키우고 있다’라고 생각했다.”며 아들과 시간을 보내기 위해…
View On WordPress
0 notes
irris30 · 6 years
Photo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Self defense class for the human ghost 👻. She really can defend herself as Kim Eun Oh falls to the ground. Dol Soe watches nearby, pleased that Arang is making herself unlikable by her kicking Eun Oh’s butt in fighting….
2 notes · View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