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
Explore tagged Tumblr posts
tosahobi-if · 8 months ago
Note
hi yeri !! just wanted to ask where you get your resources for korean mythology from?
hihiiii! i do the majority of my research by purchasing or borrowing books, cross-referencing classical documents, reading academic papers, and government websites! i'll also do museum visits and in the future i'm planning on conducting interviews (i've done one with a mudang before, and she was reaaaally helpful!) i'm not a history major so i struggle with compiling resources, and for that reason i try to limit my inquiry to the methods i listed above!
***wikipedia should not be utilized as a primary source! i've verified incorrect information in there before, at most it should be used as a collection for sources cited***
i'll try and recommend a handful of the more beginner sources i like, but please note that i have no idea whether or not most of these have english translations!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mythology (by won-oh choi, this one is in english!)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실록)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삼국유사)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삼국사기)
classic of the mountains and seas (山海经)
goguryeo arirang by park jijeong
the unknown history of baekje by jeong jaesoo
living korean myths by shin dongheun
jeju island's bonpuri and the myths around it by heo namchun
the gods are divided by seongtae yoo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website)
terms you may find helpful to search up
한국 신화 (hanguk shinhwa, or korean mythology)
건국 신화 (gonguk shinhwa, or state-foundation myths)
30 notes · View notes
korea-tkra35824 · 6 months ago
Text
Tumblr media
억지가 만든 광복절 난〈亂〉
毒舌🗣📣
종찬은
광복회장
자리를 그만둬야 한다.
1919년
건국 주장은
좌파들이 이승만이
건국 아버지가 되는게
두려워 김구를 내세우면서
만들어낸 어거지다.
2 notes · View notes
Text
원경 시간대 3화 4화 좌표 차주영 이이담
원경 시간대 3화 4화 좌표 차주영 이이담 보는법 알려드릴게요.
원경 시간대 3화 4화 좌표 차주영 이이담 사이트 <
위에 가셔서 19세 원경 티빙 버전 다운로드 5화 6화 1화 2화 부터 다 보세요!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드라마 원경 시간대 3화 4화 좌표 차주영 이이담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로 이어지는 격동의 시기를 배경으로, 중전 원경왕후 민씨의 삶과 그녀의 사랑, 그리고 조선이라는 새로운 왕조의 건국 과정에서의 험난한 여정을 그린 티빙의 역사 드라마입니다.
주요 배경 고려 말, 사회와 정치 체계는 무너져가고, 민란과 외세의 침략이 끊이지 않는 혼란스러운 시대를 배경으로 합니다. 이 시기, 한 여인이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선택하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다하며 역사의 중심으로 나아가는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줄거리 원경왕후 민씨는 어린 시절부터 강인하고 독립적인 성품으로 주목받았던 여인입니다. 그녀는 자신이 원하는 사랑과 삶의 방향을 선택하기 위해 당시 사회적 관습과 압박에 맞서며, 장차 조선을 건국할 이방원(태종)을 배우자로 선택합니다.
하지만 그녀의 선택은 단순한 사랑의 결실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방원이 조선을 건국하고 왕위에 오르며, 그녀는 조선의 첫 중전으로서의 막중한 책임과 압박을 떠안게 됩니다. 그녀는 새로운 왕조를 안정시키기 위해 헌신하며, 정치적 갈등과 가문 간의 대립 속에서도 중전으로서의 품위와 강인함을 잃지 않습니다.
특히, 남편 이방원과의 관계는 단순한 사랑을 넘어선 파트너십으로 묘��됩니다. 민씨는 자신의 의견을 당당히 개진하며 조선의 정치적 안정에 기여하고, 동시에 가족을 지키는 데에도 최선을 다합니다. 그녀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성군 세종대왕을 훌륭한 군주로 키워낸 어머니로서의 모습입니다.
원경 시간대 3화 4화 좌표 차주영 이이담 주요 테마 사랑과 책임 민씨는 단순히 사랑하는 사람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단지 한 남자의 아내로서뿐 아니라, 한 나라의 중전으로서도 발휘됩니다. 여성의 주체성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의 격동기 속에서 한 여성의 주체적인 삶과 역량을 그려내며, 그 시대를 살아낸 여성들의 강인함을 조명합니다. 가정과 국가의 균형 원경왕후는 왕실의 중전으로서의 역할과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모두 훌륭히 해냅니다. 특히 세종대왕이라는 인물을 길러내면서 그녀의 삶이 조선의 역사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를 보여줍니다. 주요 인물 원경왕후 민씨
강인하고 주체적인 성격을 지닌 여주인공으로, 사랑과 책임, 정치적 수완을 겸비한 인물. 이방원(태종)
조선을 건국하고 왕이 된 민씨의 남편. 정치적 갈등 속에서도 민씨와 깊은 신뢰를 유지하며 함께 조선을 이끌어나갑니다. 세종대왕(이도)
민씨의 아들로, 그녀의 사랑과 가르침 속에서 성장해 조선의 가장 위대한 성군으로 자리 잡습니다. 정치적 적대 세력과 가문들
민씨가 극복해야 하는 장벽으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을 보여줍니다. 특징 고증된 역사적 배경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과 사회적 변화를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강렬한 드라마적 요소 주인공의 사랑과 갈등, 정치적 음모와 대립 등이 드라마틱하게 펼쳐집니다. 현대적 메시지 과거의 이야기를 통해 현대의 여성들에게 주체성과 책임감에 대해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시청 포인트 아름다운 한복과 고증된 시대 배경 속에서 펼쳐지는 감각적인 연출. 강렬하고 매력적인 캐릭터들이 빚어내는 연기 시너지. 사랑, 정치, 가족 간의 갈등을 통해 역사의 큰 흐름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스토리. 원경 시간대 3화 4화 좌표 차주영 이이담 단순한 역사 드라마를 넘어, 시대를 초월한 여성의 이야기와 사랑, 책임, 그리고 정치적 역량을 조명하는 감동적인 작품입니다.
1 note · View note
agtv7004 · 27 days ago
Video
youtube
(윤석열 제2의 건국 나서야!에서)
0 notes
hwanshikkim · 1 month ago
Text
독도에 '건국 기념비' 세우자(2413)
일본 국회의사당 앞에는 1945년 태평양 전쟁에서 무조건적 항복을 선언해 소련에 빼앗긴 북방 영토 4개 섬이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문구로 간판이 세워져 있다. 이러한 간판은 일본 각지에서 볼 수 있다. 아베 신조 전 총리는 러시아로부터 빼앗긴 북방 영토를 반환받으려 애썼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얼토당토않은 궤변도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이승만 건국 대통령은 1952년 인접 해양에 대한 주권에 관한 ‘평화선(Peace Line)’ 선언을 국무원 고�� 제14호로 선포해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분명히 밝혔다. 평화선은 대한민국의 국방, 어업 생존권 등을 보호‧보존하고, 해안에서부터 평균 60마일에 달하는 수역(水域)에 포함된 광물과 수산자원을 보존하기 위해 설정한 것이다. 당시 어업 기술이 월등한 일본과의 어업 분쟁 가능성을 사전에 봉쇄하고, 공산 세력의 연안 침투 방지를 위한 것이기도 했다. 이승만 대통령은 평화선을 침범하는 일본 선박을 나포하라는 명령권을 발령했고, 독도를 포함한 평화선 내의 영토 등은 대한민국의 주권 관할임을 세계에 분명하게 선포했다.
일본은 전쟁에서 패전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러시아와의 북방 영토 영유권, 중국과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우리나라와 독도 영유권 문제를 이슈화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끈질기게 영토 문제를 다루는 것은 무관심화하는 자국민을 일깨우기 위함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일본의 젊은 MZ 세대는 한국 문화, 드라마 등에 관심이 있어도 영유권에 대해서는 흥미가 없는 듯 보인다. 왜냐하면 독도를 한국에 돌려줘도 된다는 의견에 동의할 만큼 영토 갈등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일본이 가진 영토 욕��은 지난 60여 년간 장기 집권해 온 우파 정부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독도를 탐하는 이유는 독도라는 조그만 섬 자체보다 그로 인해 실제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해양 영토에 대한 탐욕 때문일 것이다. 그와 함께 젊은 세대들의 정치‧영토 등에 대한 무관심화가 심화하고 정체성을 잃어가는 상황도 반전시키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렇기에 일본은 끊임없이 지도와 명칭을 바꾸고 틈만 나면 유엔이나 국제사회에 자신들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젠 우리도 독도에 대해 좀 더 냉정하고 일관된 태도를 유지할 때가 아닐까 한다. 일본이 독도에 대해 무슨 주장을 내놨다고 해서 우리가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 독도는 우리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이제는 독도 관련 분쟁은 없다는 우리 입장을 제대로 실행해야 할 것이다.
과거에도 현재도 미래에도 독도는 대한민국 고유의 영토다. 실효 지배를 하는 사실과 독도를 지켜낸 이승만 건국 대통령이라는 사실에서 독도는 국가 정체성의 상징이다. 자손 대대 지켜야 할 의무와 책임으로서 이제는 우리 영토인 독도에 대한민국 건국을 기리는 기념비를 세워야 한다.
12/26/24/hwanshikkim.tumblr.com/archive
1 note · View note
dailyhongkong · 2 months ago
Text
홍콩 오션파크, 12월 8일 판다 새식구 대중에 공개한다
(홍콩=데일리홍콩) 김한국 ��자 =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 75주년을 기념하여 홍콩에 보낸 자이언트 판다 한 쌍이 격리와 적응 기간을 마치고 다음 달 12월 8일 대중 앞에 공개된다. 새로운 자이언트 판다 암·수 한 쌍은 지난 9월 26일 홍콩에 도착 이후 10월 25일에 격리를 마쳤다. 두 판다는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으며, 건강 상태도 양호하다. 오션파크는 12월 7일 오후 새로운 자이언트 판다를 환영하는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자이언트 판다가 대중에 공개되는 날은 환영 행사 다음 날인 8일부터다. 새로운 자이언트 판다 한 쌍은 오션파크 내 “Hong Kong Jockey Club Sichuan Treasures” 전시관에서 대중 앞에 공개될 예정이다. 현재 오션파크는 후원사, 교육계…
0 notes
secretshop7 · 4 months ago
Text
장제스 건국 훈장 내용 정리
외국인으로서 최고 등급의 훈장을 받은 장제스 대한민국 독립유공자는 17,664명 입니다. 하지만 독립 유공자 중에서도 정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게 되는데, 최고등급은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입니다. 그런데 이 훈장을 서훈 받은 사람중에 외국인이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그것이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건국훈장은 국적에 상관 없이 독립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주는 것이기 때문에 외국인이라고 서훈을 못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중국 국민당의 총수이자 대만 건국의 아버지로 유명한 장제스 역시 독립 유공자로서 받을 수 있는 최고 훈장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받은 것입니다. 장제스 같은 경우는 나중에 공이 인정되며 받은 것도 아니고,대한민국 건국 초기라고 볼 수 있는 1953년 경에 훈장을…
Tumblr media
View On WordPress
0 notes
yesesg-seoul · 4 months ago
Text
세종대왕의 여민동락(與民同樂) 리더십
세종대왕의 여민동락(與民同樂) 리더십에서는 세종대왕의 즉위와 사민정책(徙民政策),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약자에 대한 배려, 세종대왕 여민동락(與民同樂) 리더십의 의미와 연구, 세종대왕의 감수성과 경연의 정치에 대하여 알아보고 오늘날 지속가능경영 ESG에 있어서 조직 리더십의 역할을 재조명해 본다1. 1. 세종대왕의 즉위와 사민정책(徙民政策) 한국 세종대왕의 여민동락(與民同樂) 리더십에서, 세종대왕(이하, 세종으로 부름)은 1397년(조선 건국 태조 6년) 5월 7일, 지금의 서울시 종로구 통인동에서 태종(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과 원경왕후(민씨)의 여섯 번째 자녀이자,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세종은 어려서부터 독서와 공부를 좋아하였으며 형제간 우애가 깊고 부모에게 지극한 효자로 알려져…
Tumblr media
View On WordPress
0 notes
seekpif · 10 months ago
Video
youtube
세 나라의 이름만 바꾸면 모두 똑같은 신화? 고구려 주몽, 청나라 누르하치, 몽골 칭기즈 칸의 건국 신화가 유사한 이유ㅣ익숙하면서...
0 notes
agtv7004 · 1 month ago
Video
youtube
(대한민국 건국 이래 최대 위기/자유 우파여 결집하라!에서)
0 notes
korea35824 · 10 months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이런 전직 대통령 없었다"…
용산, 尹 저격 앞장선
文에 분노
🗣毒舌
건국 이래
최악의 무능 반역의
상징인 문씨가 할 말은
아니지,
자기의
잘못을 모르는
저 정도의 뻔대면
정신병원에 가야하는 거
아닌가.
0 notes
hwanshikkim · 5 months ago
Text
 자유통일이 독립·건국의 완성(2349)
매년 8월이면 어김없이 해방, 광복, 독립, 건국 그리고 통일이라는 단어가 회자된다. 해방은 구속이나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를 찾는 것이고, 광복과 독립은 개인이 자유의지를 펼칠 주권(sovereignty)을 회복·확립하는 것이다. 건국은 자유민주에 기반한 나라를 세우는 것이고, 통일은 남북한이 자유에 기반한 정치공동체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 단어들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자유다. 물론 건국 시기에 대한 논란이 있긴 하지만 자유를 기반으로 한 건국도 완성됐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반도 북쪽은 아직도 자유가 미치지 않고 있어 온전한 건국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북한 주민이 전체주의의 압제에서 벗어날 길을 찾아내야 한다. 유일한 길은 통일한국을 완성하는 것이다.
통일은 ‘어떤 정치적 이유로 인해 나누어진 국가를 하나로 다시 합치는 정치적 행위’로,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통일은 다시 하나로 합친다’는 문장에는 ‘분단 현실을 부정하는 것’과 ‘합쳐진 상태가 지속돼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결국 통일은 ‘어떤 정치체제를 부정하고 어떤 정치체제를 지속할 것인가’와 동의어다. 이는 통일이 정치체제의 선택이며, 체제를 무시한 통일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는 경고다. 사회 일각에서 제기하는 감성적 민족주의에 기반해 체제를 무시한 통일지상주의의 위험성을 경계하라는 의미도 있다.
통일한국은 잘못된 체제를 부정하고 선택된 체제의 지속성을 담보해야 한다. 남북한은 분단 이후 서로 다른 정치체제를 유지해 왔다. 한국은 자유민주주의 체제, 북한은 전체주의 독재체제다. 두 체제의 확연한 차이는 자유의 유무이며, 자유의 유무가 삶의 질의 확연한 차이를 만들었다. 따라서 통일한국은 북한 전체주의 독재체제를 부정하고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지속하는 것이 역사적 순리다.
통일한국에서 자유가 소중한 까닭은 ‘자신이 주인이고자 하는 갈망을 갖고 그 갈망을 실현할 힘’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또한 자유는 풍요와 번영, 평등, 법치, 인권과 평화의 기반이다. 이처럼 자유는 ‘자기 삶을 완벽하게 자주적으로 지배하고 독립적 객체로서 기능하게 하는 가치’다. 따라서 통일한국은 자유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는 자유공동체가 돼야 한다.
한국은 30여 년 동안 민족을 고리로 한 민족공동체 통일 방안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분단 장기화로 북한에 의해 민족의 개념이 오염·훼손됐다. 즉 한국은 역사적 정통성에 바탕을 둔 (한)민족이지만 북한은 주체사상에 기반을 둔 김일성민족이다. 이런 현격한 차이는 민족공동체 형성에 큰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통일한국의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 따라서 통일한국의 연결고리는 민족보다 자유여야 한다. 자유의 가치가 남북한 주민의 미래를 더 잘 보장해줄 것은 자명한 이치다. 또한 자유통일이 민족의 정통성을 확립해 온전한 독립과 건국을 완성해 준다는 점도 의미가 크다.
지난 1월 북한 김정은은 ‘적대적 2국가’ ‘통일 불가’를 천명했다. 이는 한국 주도의 자유통일 필요성을 역설한 방증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시한 ‘통일 독트린’은 이런 시대적 소명을 담은 것이다. 이제 ‘다짐’을 넘어 ‘실천’ 방안이 중요하다. 우선 우리의 국력을 신장해 통일 과정에서 발생할 각종 난제에 대비하고, 난제 해결을 위한 정교한 전략전술의 실천 방안도 요구된다. 그리고 북한 주민들이 자유통일에 동참하도록 자유 가치를 전달·이식할 정보화 대안을 마련하고, 자유민주주의 국가와의 강한 연대로 자유통일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8/26/24/hwanshikkim.tumblr.com/archive
1 note · View note
dailyhongkong · 4 months ago
Text
홍콩 국경절 불꽃놀이, 2024년 75주년 기념 테마는 무엇일까?
(홍콩=데일리홍콩) 김한국 기자 –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75주년을 기념하는 화려한 불꽃놀이가 홍콩 빅토리아 하버를 수놓을 예정이다. 저녁 9시부터 23분간 펼쳐질 이번 불꽃놀이 행사는 그 어느 때보다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으며, 불꽃놀이와 함께 선보일 드론 쇼도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찬란한 불꽃, 번영하는 중국” – 31,888발의 화려한 불꽃 2024년 국경절 불꽃놀이는 “찬란한 불꽃이 번영하는 중국에 비춘다”라는 주제로, 총 31,888발의 폭죽이 터질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9개의 발사 지점에서 이루어지며, 불꽃놀이는 8막으로 구성되어 관객들에게 다채로운 시각적 경험을 선사할 계획이다. 드론 쇼와 불꽃놀이의 만남 – 75주년의 새로운 도전 특히 올해는 홍콩 불꽃놀이 역사상…
Tumblr media
View On WordPress
0 notes
hyundaikim · 10 months ago
Text
Tumblr media
국장 국가장례지도
KBS 재외공신 0504착신 에 의한 전화량 폭주 국민장 입니다 가족 운운하지 마십시요 못 만납니다 건국 하셔야 합니다
이기간 현존하는게 현상이라지만 일자리 부족 건국 개국 하시기 바랍니다
수갑푸는 의료행위 입니다 KBS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1 note · View note
agaapesblog · 1 year ago
Video
건국 대통령 이승만 미국 전역 방문 희귀영상(1954) #구독 좋아요 영상제작에 큰 도움됩니다.
0 notes
basic121sun · 1 year ago
Text
건국 설화 내용이 근친상간?, 태초부터 성진국인 나라 일본 [이게 웬 날리지]
youtube
1 note · View 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