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이언
Explore tagged Tumblr posts
slytherinshua · 7 months ago
Text
CUDDLING WITH AMPERS&ONE
genre. fluff. warnings. reader described to be shorter/smaller in brian's (but let's be real who is gonna be taller than him 😭). reader has maybe long hair in seungmo's. not proofread. pairing. ampers&one x fem!reader. wc. 930 (around 130 per member). request. requested by anon. a/n. in my writing for ampers era i'm so excited (maybe eventually i'll find a bias even) net. @kstruckne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KAMDEN ミ 캠든
He’s all for whatever you want as he honestly doesn’t have many preferences about how you cuddle 
As long as you’re content and he gets to be close to you, he’s a happy camper
Some days you just rest your head on his shoulder, other days you’re on his lap or spooning 
You often wake up with limbs completely tangled with his during the night— you’re not sure how it got that way, but the closeness of your boyfriend warms your heart
90% of the time, you’re the one initiating cuddles as his arms are always free for you
But he’s definitely the type to grab your waist and pull you onto his lap as you’re walking by, which is one of the few times he initiates <3
BRIAN ミ 브라이언
Sweetheart’s cradle all the way, it’s like his favourite way to cuddle you
With your head resting on his chest, arm wrapped around your waist, he feels so content with you in his arms
And you love listening to his steady heartbeat <3 there’s nothing more relaxing
Sometimes you hear it speed up when you compliment him too
Since he’s so tall, he wouldn’t even mind if you lay completely on top of him
He likes back hugs too or any standing up hugs/cuddles cause he loves the height difference
Would look down at you with a lovesick expression and kiss your forehead before pulling you into a tight hug
He’d never tease you about your height, but he’s silently endeared by how much shorter you are than him
JIHO ミ 지호
His cuddles are the softest thing in the world oh my god he’s so gentle and comforting
He needs to be so close to you, as close as humanly possible
Arms wrapped around your body, your arms wrapped around his body, legs intertwined, everything
And he’d be unable to control his smiles while cuddling too cause he’s just so happy whenever you’re in his arms !!
Best believe you have a routine of cuddling before sleep, finding the most comfortable position in each other’s arms before dozing off
If during the night you get separated, whoever is first to wake up will rectify that 
Being in Jiho’s arms for as much of the day as possible is the ultimate goal, which makes separating so he can leave for work a hard task for both of you
SIYUN ミ 시윤
Always always you’re on his lap
He’ll think of any plausible excuse just to keep you close so he can continue hugging you :(
Says he’s cold and you need to warm him up or that he’s deprived of cuddles and needs his daily dose, etc.
Somehow his convincing always leads to you cuddling against him, not that you ever would complain
His chest is your personal pillow and his thighs are your cushion— why would you ever choose your own seat when your boyfriend was right there?
The problem comes from Siyun’s habit of falling asleep while you’re cuddling, effectively trapping you because his arms are still wrapped securely around your waist
We all know he’s a deep sleeper too so good luck waking him up
KYRELL ミ 카이렐
He loves to cuddle you under blankets, especially if its cold outside
He perfected a burrito technique to keep you both completely covered head to toe with the blankets
You’re wrapped up so close to Kyrell and just so comfortable and warm
He’ll also just put the blanket over your legs if you’re cuddling on the couch 
He’s reach for your hand and lace your fingers together so carefully and then rub small circles over your knuckles with his thumb
Loves to watch movies like that— it definitely became a regular for stay-in movie nights
He also likes having you in between his legs, even if you’re just sitting on the floor
Would build legos with you like that with his head resting on your shoulder and his arms wrapped around your waist :’)
MACKIAH ミ 마카야
Either cuddling in bed facing each other, or a classic arm around your shoulder while sitting <3
The man is a yapper so he’ll probably be talking to you while cuddling (or listening to you talk!)
He likes to play with your hands/fingers as well, feeling the softness of your skin and the warmth from your body
Or just hold them and give little squeezes; if he squeezes 3 times in succession you know he’s saying ‘I love you’
He’s very classically romantic like he came straight out of a teen romcom
Rather than throwing you pickup/flirty lines on your dates, he’d more likely do it while you’re cuddling
Makes you 10 times more flustered just from the close contact, and you’d definitely bury your face into his chest/shoulder to hide how flushed you are
SEUNGMO ミ 승모
Seungmo is particular about cuddling, he has his preferences because, to him, it’s a very serious business
He wants to be on your lap
Whether it’s just his head resting on your thigh or you holding his entire body, that part doesn’t much matter to him 
You both love it even though it’s unconventional 
You because it gives you access to his hair to play with or his cheeks to nom kiss
Him because he loves the feeling of your fingers in his hair or tracing the lines of his face
He would grab one of your hands to press little kisses to your knuckles and would get so giggly if you gave him cheek/forehead kisses because your hair would tickle his face
He’ll also blow raspberries on your belly sometimes
↳ ampers&one taglist (bolded could not be tagged): @eternalgyu,, @hursheys
302 notes · View notes
hiddenkardnet · 1 month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250116 [X] KARD_Official: [🎥] [한국어 CC] 보는 순간 빠져드는 #KARD 히트곡 메들리 🎶 숨겨진 TMI 대방출! | 박준형 & 브라이언 BYOB EP.15 🔗 http://youtu.be/-8w3m3YQCqI
#KARD #카드 #BM #비엠 #JIWOO #전지우 #BYOB
12 notes · View notes
seokluvs · 7 days ago
Text
wips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na kamden ⋆ 캠든
yes, sir - you’ve been struggling to pay attention in class and your grades have been dropping. was something going on at home or was your new substitute teacher just a bit too distracting?
brian ho ⋆ 브라이언
all for you - you were never the type to keep secrets from your best friend, but when you started sneaking around with her brother, things got a bit difficult.
choi jiho ⋆ 지호
fallen angel - trying to get back to heaven, striking a deal with the devil had its own consequences.
feel it - while tutoring the bane of your existence, things got a bit more heated than you expected.
yun siyun ⋆ 시윤
taste you - obsession never looked good on siyun, it just wasn’t for him. however, when a new office worker seemingly attached herself to every part of his life, he just couldn’t help it.
choi kyrell ⋆ 카이렐
camstar - while jokingly browsing a camsite, something, or rather, someone caught kyrell’s eye.
mackiah mercer ⋆ 마카야
nothing to see, yet!
kim seungmo ⋆ 승모
nothing to see, yet!
Tumblr media
2 notes · View notes
091522 · 10 days ago
Text
언뜻 딴소리로 들릴 수도 있는 이야기로 이 장을 시작하고자 한다. 4장과 7장에서 우리는 뇌, 호르몬, 행동에 성차가 있다는 통념을 일부 부서뜨렸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사실로 확인된 성차가 하나 있기는 하다. 이 책의 주제와 먼 이야기처럼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내 말을 더 들어보시라.
초등학생 때부터 학생들에게 놀랍도록 일관되게 드러나는 현상이 하나 있으니,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수학을 더 잘한다는 것이다. 평균 성적을 따지자면 차이가 미미하지만, 분포의 최상위에 해당하는 수학 영재들 사이에서는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1983년에 미국 수학능력시험SAT 수학 과목에서 최상위 백분위수에 해당하는 여학생이 1명이라면 남학생은 11명이었다.
왜 이런 차이가 있을까? 테스토스테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있다. 발달과정중에 테스토스테론이 수학적 사고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성장을 촉진하는데다가, 성인에게 테스토스테론을 주입했을 때 수학 능력이 다소 향상되었다는 결과가 있기 때문이다. 오케이, 생물학적인 차이라는 거지.
하지만 2008년 『사이언스』에 발표된 논문을 보자. 저자들은 40개국을 대상으로 수학 점수와 성평등 수준의 관계를 조사했다(국가들의 경제·교육·정치 관련 성평등 지수를 근거로 삼았는데, 최악은 튀르키예였고 미국은 중간이었고 최고는 당연히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이었다). 그 결과는? 보시라, 성평등이 이뤄진 나라일수록 수학 점수의 성차가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에 이르러서는 성차가 통계적으로 사실상 무의미하다. 당시 세계 최고의 성평등 국가였던 아이슬란드에 이르면, 여학생들이 오히려 남학생들보다 수학을 더 잘했다.[*인지 영역에서 역시 일관되게 성차가 드러나는 항목은 여자아이들이 남자아이들보다 읽기를 더 잘한다는 현상인데, 이 현상은 성평등 사회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이 성차는 오히려 더 커진다.]
(326~327쪽)
7장에서 짧게 소개했듯이, 비교문화적 심리 연구의 대다수는 집단주의 문화와 개인주의 문화를 비교한 연구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거의 대부분 집단주의적 동아시아 문화와 개인주의 문화의 왕중왕인 미국 문화를 비교했다.[*이 장에서 미국인과 동아시아인을 비교하고 뒤에서 미국 문화와 다른 문화들을 비교한 걸 보고 나면, 많은 문화적 측면에서 가장 큰 이분법은 미국(과 서유럽) 대 나머지 세계 전체라고 볼 수 있음을 여러분도 실감할 것이다. 미국인은 ‘WEIRD(위어드)’ 그 자체다. 서구적이고(westernized), 교육받았고(educated), 산업화되었고(industrialized), 부유하고(rich), 민주적이다(democratic).] 정의에 따르면, 집단주의 문화는 조화, 상호의존, 순응을 중시하고 집단의 요구가 개인의 행동을 이끈다. 반면 개인주의 문화는 독자성, 개인의 성취, 독특함, 개인의 요구와 권리를 중시한다. 좀 신랄하게 표현하자면, 개인주의 문화는 너무나도 미국다운 개념인 ’내가 최우선‘으로 요약된다. 한편 집단주의 문화는 미국평화봉사단 교사들이 집단주의 국가에서 겪는 전형적인 체험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학생들에게 수학 문제를 내고 답을 맞혀보라고 하면 아는 학생들조차 튀기 싫고 친구들을 부끄럽게 하기 싫어서 손을 들지 않는 현상이다.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의 대비는 몹시 뚜렵하다. 개인주의 문화의 구성원들은 독창성과 개인의 성취를 더 많이 추구하고, 일인칭 대명사를 더 많이 쓰고, 자신을 관계보다(“나는 부모입니다”) 개인적 성질로(“나는 건축업자입니다”) 정의하고, 자신의 성공을 상황 요인보다(“내가 적절한 시기에 적당한 장소에 있었기 때문이죠”) 내적 요인의 덕으로(“내가 X를 아주 잘하기 때문이죠”) 돌린다. 과거를 기억할 때는 사회적 상호작용보다(“그해 여름은 우리가 친구가 된 시기였죠) 사건을(”그해 여름은 내가 수영을 배운 때였어요“) 떠올린다. 집단적 노력보다 개인적 노력에서 동기와 만족을 얻는다(이 사실은 미국의 개인주의가 불순응의 문화라기보다 비협력의 문화에 가깝다는 것을 보여준다). 경쟁의 동인은 남들보다 앞서고 싶다는 데서 온다. ’소시오그램‘을 그려보라고 하면―자신과 친구들을 각각 원으로 그리고 언들을 선으로 이어서 사회적 연결망을 표현하는 교우 도식이다―미국인들은 자신에 해당하는 원을 정중앙에 가장 크게 그리는 편이다.
대조적으로, 집단주의 문화의 구성원들은 사회적 이해 능력이 더 뛰어나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마음 이론을 발휘해야 하는 작업을 더 잘하고, 타인의 관점을 더 정확히 이해한다. 이때 ’관점’ 파악은 타인의 추상적 사고를 헤아리는 작업뿐 아니라 어떤 물체가 타인의 위치에서 어떻게 보일까 하는 작업까지 포함한다. 이들은 누군가가 또래 압력 때문에 규범을 어겼을 때 집단을 더 많이 비난하는 편이고, 어떤 행동에 대해서 상황적 ���명을 더 많이 하는 편이다. 경쟁의 동인은 남들에게 뒤처지지 않으려는 데서 온다. 소시오그램을 그릴 때, ‘나’에 해당하는 원을 정중앙에 그리지 않고 제일 크게 그리지도 않는다.
이런 문화차이는 자연히 생물학적 차이로도 드러난다. 가령 개인주의 문화의 구성원들은 친척이나 친구의 사진을 볼 때보다 자기 사진을 볼 때 (정서적) 안쪽이마앞엽 겉질이 더 강하게 활성화하는데, 동아시아 피험자들은 활성화 정도가 훨씬 낮다.[*이런 연구는 제대로 해내기가 엄청 어렵다. 뇌 촬영은 과학인 동시에 약간은 예술이라서, 지구 반대편에 있는 두 스캐너와 촬영 규약으로 얻은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비교한다는 건 만만찮은 일이다. 대안은 두 문화의 피험자들을 한 스캐너로 조사하는 것이지만, 이 또한 만만찮다. 그렇게 모은 피험자들은 대표성이 없을 것이다. 그중 절반은 유학생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유학생은 보통 정보가 많고, 부유하고, 미국의 대학 도시로 건너와서 심리학개론 연구의 피험자를 자원할 만큼 모험심이 큰 편이다.] 심리적 스트레스에 드러난 비교문화적 차이를 보여주는 예로서 내가 제일 좋아하는 또다른 예를 들면, 자유 연상을 해보라고 시켰을 때 미국인은 자신이 남에게 영향을 미쳤던 사건을 떠올리는 경우가 동아시아인에 비해 더 많고, 동아시아인은 남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쳤던 사건을 떠올리는 경우가 더 많다. 미국인에게 남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쳤던 일을 자세히 말해보라고 하거나 동아시아인에게 자신이 남에게 영향을 미쳤던 일을 자세히 말해보라고 하면, 둘 다 그런 사건을 떠올리는 게 불편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로 인해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분비된다. 스탠퍼드대학교 동���이자 친구인 진 차이와 브라이언 넛슨은 유럽계 미국인들은 흥분한 표정을 보았을 때 중변연계 도파민 시스템이 활성화하지만 중국인들은 차분한 표정을 보았을 때 활성화한다는 것을 연구로 보여주었��.
13장에서 이야기할 텐데, 이런 문화 차이는 서로 다른 도덕 체계를 낳는다. 집단주의 사회 중에서도 가장 전통적인 사회에서는 순응과 도덕이 사실상 동의어이고, 규범을 강제할 때 죄책감보다(”내가 그 짓을 하고서 자신에게 떳떳할 수 있을까?“) 수치심에(”그러면 남들이 날 어떻게 보겠어?“) 의지한다. 집단주의 문화는 보다 공리주의적이고 결과주의적인 도덕적 입장을 두둔한다(예를 들면, 폭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무고한 개인을 투옥하는 일을 더 선뜻 지지한다). 집단주의 문화는 집단을 엄청나게 중시하기 때문에, 그 구성원들은 개인주의 문화의 구성원들보다 내집단 편향이 더 강하다. 한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한국계 미국인 피험자들과 유럽계 미국인 피험자들에게 각자의 내집단 혹은 외집단 구성원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이 담긴 사진을 보여주었다. 모든 피험자가 내집단 구성원을 볼 때 감정이입이 더 많이 되었다고 보고했고, 실제로 그때 그들의 뇌에서 마음 이론을 관장하는 영역이(가령 관자마루이음부가) 더 많이 활성화했다. 하지만 편향의 정도는 ��국계 피험자들이 훨씬 더 컸다. 그리고 개인주의 문화에 소속된 피험자든 집단주의 문화에 소속된 피험자든 각자의 외집단 구성원을 경시하는 점은 같았으나, 둘 중 전자만이 내집단에 대한 평가를 부풀렸다. 달리 말하면, 동아시아인은 미국인과는 달리 굳이 내집단을 치켜체우지 않고도 외집단을 열등하다고 볼 수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이런 차이가 뜻밖의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 사실은 이 분야의 거장인 미시간대학교의 리처드 니스벳이 개척한 연구에서 드러났다. 서구인은 문제 풀이에서 더 직선적인 방식을 택하는 편이고, 공간 부호보다 언어 부호에 더 의지하는 편이다. 피험자들에게 공의 움직임을 설명해보라고 시키면, 동아시아인은 공이 환경과 상호작용함으로써―마찰함으로써―생기는 관계적 요소로 설명하는 편이지만 서구인은 공의 무게나 밀도와 같은 내적 특질에 집중하는 편이다. 서구인은 길이를 절대 용어로 더 정확히 알아맞히지만(”이 선의 길이는?“), 동아시아인은 상대적 가늠을 더 잘한다(”이 선은 저 선보다 얼마나 더 깁니까?”). 또 이 문제를 보자. 원숭이, 곰, 바나나 중에서 어울리는 것을 두 가지만 묶으라면? 서구인은 범주적으로 사고하여 원숭이와 곰을 묶는다. 둘 다 동물이니까. 동아시아인은 관계적으로 사고하여 원숭이와 바나나를 묶는다. 원숭이를 생각하면 원숭이의 먹이가 떠오르니까.
놀랍게도, 문화 차이는 감각 처리에서도 드러난다. 서구인은 정보를 좀더 집중된 방식으로 처리하는 데 비해 동아시아인은 보다 전체적인 방식으로 처리한다. 어떤 복잡한 장면 한가운데에 사람이 한 명 서 있는 사진을 보여주면, 동아시아인은 맥락에 해당하는 배경을 더 정확히 기억하지만, 서구인은 중앙의 사람을 더 잘 기억한다. 심지어 눈동자의 운직임에서도 이런 차이가 관찰된다. 서구인의 눈은 보통 맨 먼저 사진의 중앙을 보지만, 동아시아인의 눈은 전체 배경을 훑는다. 게다가 서구인에게 사진의 전체 맥락에 집중하라고 시키거나 동아시아인에게 중앙의 대상에 집중하라고 시켜면, 그들의 이마엽 겉질이 더 열심히 일하느라 더 많이 활성화한다.
7장에서 보았듯이, 우리는 생애의 아주 초기부터 문화적 가치를 몸에 새긴다. 그러니 문화가 성공, 도덕, 행복, 사랑, 기타 등등에 대한 우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크게 놀랍지 않다. 하지만 우리 눈이 그림의 어느 부분에 집중하는지, 우리가 원숭이와 바나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공의 궤적을 물리학적으로 어떻게 생각하는지에도 문화 차이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놀랍게 느껴진다. 문화의 영향은 실로 엄청나다.
집단주의/개인주의 문화 비교에서 유념해야 할 주의사항도 당연히 있다.
· 가장 중요한 점은, 모든 문제에서 그렇듯이 이 현상도 ‘평균적으로 그렇다’는 것이다. 서구인 중에도 대다수 동아시아인보다 더 집단주의적인 사람이 무수히 많다. 대체로 다양한 성격 지표에서 개인주의 성향이 높게 측정된 사람일수록 뇌 촬영에서도 개인주의적 패턴이 강하게 확인된다.
· 문화는 시대에 따라 변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집단에 대한 개인의 순응 수준이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가령 일본에서 신생아에게 독특한 이름을 지어주는 비율이 갈수록 늘고 있다). 그리고 한 개인이 특정 문화에 주입된 정도가 빠르게 바뀔 수도 있다. 피험자에게 사진을 보여주기 전에 개인주의 문화 혹은 집단주의 문화를 연상시키는 단서를 접하게 하면, 피험자가 사진을 전체적으로 처리하는 정도가 그 단서에 따라 바뀐다. 이중 문화에 속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특히 더 그렇다.
· 집단주의 문화와 개인주의 문화와 인구 집단 사이에 유전적 차이도 있다는 것을 잠시 후 살펴볼 텐데, 그렇다고 해서 여기에 무슨 유전적 운명이 있다는 뜻은 아니다. 이 결론을 뒷받침하는 가장 훌륭한 증거는 이런 연구에서 흔히 대조군으로 사용되는 집단, 즉 동아시아계 미국인들에서 나온다. 동아시아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자의 후손이 유럽계 미국인과 같은 같은 수준의 개인주의를 습득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약 한 세대면 충분하다.
· 당연한 소리지만, ‘동아시아인’이나 ‘서구인’은 단일한 집단이 아니다. 베이징 출신 사람과 티베트 고원 출신 사람에게 물어보라. 아니면 버클리, 브루클린, 빌럭시 출신의 세 미국인을 고장나서 정지한 엘리베이터에 몇 시간 함께 넣어두고 지켜보라. 앞으로 보겠지만, 한 문화 내에도 크나큰 변이가 존재한다.
사람들이 지구의 한쪽에서는 집단주의 문화를 발달시키고 다른 쪽에서는 개인주의 문화를 발달시킨 이유가 무엇일까? 미국이 개인주의 문화의 대표가 된 데는 최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이민이다. 현재 미국 인구의 12%는 이민자이고, 또다른 12%는 (나처럼) 이민자의 자식이고, 0.9%의 순수 원주민 인구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지난 500년 안에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이다. 이민자는 어떤 사람들인가? 안정된 옛 사회에서 괴짜, 불평분자, 만족하지 못하는 자, 이단자, 말썽꾼, 과잉활동성이 있는자, 경조증이 있는다. 인간 혐오자, 역마살이 든 자, 관습적이지 않은 자, 자유를 갈망하는 자, 부를 갈망하는 자, 지루하고 억압적인 코딱지만한 마을에서 벗어나고자 갈망하는 자, 아무튼 갈망하는 자였다. 거기에 두번째 이유를 겹쳐보자. 식민지 시절과 독립국 역사를 아울러 대부분의 기간에 미국에는 끊임없이 확장하는 개척지가 있었다. 신새계로의 티켓만으로는 모자라다고 느낄 만큼 극단적인 낙관주의를 품었던 사람들은 그곳에 끌렸다. 자, 그 결과가 바로 개인주의 문화의 대명사 미국이었다.
동아시아가 집단주의 문화의 교과서적 사례가 된 까닭은 무엇일까?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생계를 꾸린 방식이 문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 그 방식은 생태학적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설명의 열쇠다. 동아시아에서 생계는 첫째도 둘째도 쌀농사였다. 약 1만 년 전부터 경작된 벼는 막대한 양의 집단 노동을 필요로 하는 작물이다. 벼를 심고 거두는 일은 집집이 돌아가며 하는데, 한 집의 논작물을 수확하는 데만도 온 마을이 매달려야 하기 때문이다.[*미국도 노동집약적 농업이 과거에 없진 않았다. 하지만 그 과제를 집단주의가 아니라 노예제로 풀었다.] 노역은 그뿐만이 아니다. 처음에 환경을 바꾸는 데도, 그러니까 산을 깎아 계단식 논을 만들거나 논에 물을 대기 위한 관개시설을 만들고 유지하는 데도 집단 노동이 필요하다. 용수를 공평하게 누는 것도 문제다. 발리에서는 사제들이 물을 관리한다. 발리의 명물인 물의 사원들이 그 상징이다. 중국 청두시 근처에는 5000제곱킬로미터가 넘는 논에 물을 대는 두장옌이라는 이름의 관개 체계가 있는데, 그 역사는 무려 2000년이 넘는다. 동아시아에서 집단주의의 뿌리는 벼의 뿌리만큼이나 깊다.
(334~340쪽)
동아시아/서구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이분법은 놀랍게도 유전자 차원에서도 상응하는 현상으로 드러난다. 앞 장에서 도파민과 DRD4, 즉 D4 수용체 유전자를 살펴보았던 것을 기억할 것이다. DRD4는 변이가 유난히 많은 유전자로, 인간의 경우 최소 25가지 변이체가 있다(다른 영장류들은 이보다 적다). 그런데 이 변이는 DNA 서열의 부동에 의한 무작위적이고 무의미한 변이가 아니다. 강력한 선택압을 받아서 선택된 변이다. 가장 흔한 형태는 4R 변이체로, 동아시아인과 유럽계 미국인 절반가량이 이 변이체를 갖고 있다. 7R 변이체도 있는데, 이 변이체가 만드는 수용체는 겉질에서 도파민 반응성을 떨어진다. 그래서 이 변이체는 새로움 추구, 외향성, 충동성에 연관된다. 이 변이체가 생겨난 것은 현대 인류보다 앞선 시점이었지만, 이 변이체가 극적으로 흔해진 것은 지난 1만 년에서 2만 년 사이였다. 유럽인과 유럽계 미국인의 약 23%가 7R 변이체를 갖고 있다. 동아시아인은? 겨우 1%만이 갖고 있다.
그렇다면 7R의 발생 빈도 변화와 문화의 변화 중에서 어느 쪽이 먼저였을까? 4R과 7R 변이체, 그리고 2R 변이체는 전 세계에 퍼져 있다. 그것은 곧 인류가 13만 년 전에서 5만 년 전 사이에 아프리카로부터 퍼져나갔을 때 이미 존재했던 변이체라는 뜻이다. 그런데 예일대학교의 케네스 키드가 7R의 분포를 조사한 것을 보면,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이 있다.
다음 그래프에서 맨 왼쪽부터 보자. 아프리카, 유럽, 중동의 여러 인구 집단들에서는 7R이 약 10~25%의 빈도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른쪽으로 나아가면, 아시아 본토에서 출발하여 섬에서 섬으로 이동함으로써 말레이시아와 뉴기니에 도달했던 집단들의 후손은 7R 빈도가 그보다 약간 더 높다. 약 1만 5000년 전에 베링 육교를 건너서 북아메리카로 이주했던 이들을 선조로 둔 무스코기, 샤이엔, 피마 등 북아메리카 부족들도 마찬가지다. 그다음은 중앙아메리카의 마야인으로, 약 40%가 7R을 갖고 있다. 그다음은 남아메리카의 기이바족과 케추아족으로, 약 55%가 갖고 있다. 마지막은 더 멀리 아���존 유역까지 내처 남하했던 이들의 후손이다. 이 티쿠나, 수루이, 카리티아나 부족은 약 70%가 7R 변이체를 갖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이다. 달리 표현하자면, 이들은 미래의 앵커리지 시내에 도달한 뒤에도 멈추지 않고 1만 킬로미터를 더 이동하기로 결정했던 사람들의 후손이다.[물론, 어떤 한 개인이 그만큼 멀리 이동했을 리는 없다. 인류가 서반구에서 남쪽 끝까지 이주하는 데는 수천 년이 걸렸다.] 충동성과 새로운 추구에 연관되는 7R 변이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는 것은 인류 역사상 최대의 이주를 감행했던 이들이 남긴 유산인 셈이다.
이제 그래프 중앙을 보자, 여기에 있는 중국, 캄보디아, 일본, 대만(원주민 부족인 아메이와 타이야도 포함하여) 사람들은 7R 변이체 빈도가 0에 가깝다. 동아시아인이 쌀농사를 짓기 시작하며 집단주의 사회를 건설했을 때, 7R 변이체를 도태시키는 선택압이 강하게 작용했던 것이다. 키드의 표현을 빌리면, 이런 인구 집단들에서 7R은 “거의 사라졌다”. 어쩌면 7R을 가진 개체들이 행글라이딩을 발명하다가 목이 부러졌을 수도 있고, 역마살이 들어서 알래스카로 건너가려다 이미 베링 육교가 사라진 뒤라 바다에 빠져 죽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그들이 짝으로서 바람직해 보이지 않았을 수도 있다. 이유야 어쨌든, 동아시아의 문화적 집단주의는 7R 변이체를 도태시키는 선택압과 함께 공진화했다.[*앞에서 말했듯이, 동아시아계 미국인들도 보통 이주 후 불과 몇 세대 만에 유럽계 미국인들 못지 않은 개인주의자가 된다. 그러면 혹시 이주를 선택한 동아시아인들은 동아시아인인 전반도다 7R 빈도가 높을까(또 중국의 밀 재배 지역 인구는 쌀 재배 인구보다 7R 빈도가 높을까)? 케네스 키드에 따르면, 아쉽게도 두 질문의 답은 아무도 모른다.]
(342~344쪽)
Tumblr media
행동 - 로버트 새폴스키
4 notes · View notes
you-just-said-that · 1 month ago
Text
Tumblr media
브라이언의 저 실소가 좋았다. 어이없을 때마다 분위기에 상관없이 한 번씩 씩 웃는 거. 아, 이 드라마 진짜 진짜 재밌는데. 늘 못 박듯이 얘기하지만 내 인생 드라마. 미자는 당연히 보면 안 되고요. 누가 스무 살 때쯤 본다고 해도 여기에 나오는 인생의 쓴 맛에 공감이 가려나 모르겠다. 이십 대 중반쯤에 보면 격렬하게 감정 이입되고 깔깔 거리면서 볼 수 있는 미드. 남 이야기가 아니라고. 난 평생 브라이언 키니처럼 살 거야. (=태도를 배우겠다(O) 개쓰레기처럼 막장으로 살겠다(X))
/ -Do anything. Say anything. Fuck anything. No excuses. No apologies. No regrets.
3 notes · View notes
wayvment · 5 months ago
Text
WayV Tiktok Update (241122)
Bring Your Own HIGHFIVE🖐️ (WITH #브라이언 #박준형 #BYOB)
2 notes · View notes
iamkenlee-blog · 6 months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데이지 - 마거리트 - 구절초 & 가을"
온난화로 인해 가을이 길어지고 있는 것 같은? 11월 중순인데 아직도 패딩을 꺼내지 않았다. 페이스북에는 은행, 단풍 사진이 올라온다. 개인적으론 최근 골목길을 거닐다 유독 데이지가 눈에 띈다. 이것도 늙으면 꽃 좋아하게 된다는 증상인 건지.
흔하게 보는 이 들꽃을 나는 줄곧 데이지(Daisy)라고만 알았는데 구글에서 사진 검색해 보면 마거리트(Marguerite), 구절초(九節草)도 다 같은 모양이다. 사진으로는 암만 봐도 구별 못 하겠다. 내친김에 잠깐 검색한 결과를 아래에 정리.
우선 데이지와 마거리트는 모두 여자 이름으로 흔하다. Daisy는 "���루의 눈(=Day's Eye)"를 의미하는 고대 영어에서 왔단 게 정설인 듯. 이탈리아 및 라트비아 국화다. 해가 뜨고 짐에 따라 변화가 있기 때문에 Day를 태양으로 의역해 '태양의 눈'이라고도 하나보다.
Marguerite는 고대 페르시아어 마르가리따(Margarita)에서 파생한 말로서 영어로는 마가렛(Margaret), 애칭은 '매기의 추억'에 나오는 매기(Maggie)를 비롯해 마고(Margot), 메간(Megan)이, 메그(Meg), 페기(Peggy) 등등. 전설적 배우 그레타 가르보(Greta Garbo)의 그레타도 같은 어원이라고.
구절초는 이름만으로도 한약재 느낌이 팍 나는데, 소화불량, 월경불순 등에 쓰인다고 한다. 九節草란 이름도 직역하면 (어느 부위인지는 모르겠지만) 아홉 번 꺾인다는 뜻이겠으나 음력 9월 9일에 약빨이 가장 좋다고 해 붙여졌단 주장도 있는 듯.
가을 얘기로 시작하다 자동 연상한 음악 하나. 재즈 피아니스트 조지 시어링(George Shearing)이 1980년에 발매한 '블루스 골목 재즈(=Blues Alley Jazz)'란 공연 음반이 있다. 베이스 연주자 브라이언 토르프 (Brian Torff)와 함께 연주한 2중주. 여기에 수록한 '뉴욕의 가을(=Autumn In New York)'이란 곡이 떠오르네.
youtube
3 notes · View notes
hiran-kritayakirana · 8 months ago
Video
youtube
He was a fairy...🧚‍♂️#앰퍼샌드원 #AMPERSANDONE #브라이언 #BRIAN #마카야 #MACKIAH
2 notes · View notes
slytherinshua · 24 days ago
Text
៸៸៸ DISPUTE OF LOVE ( 앰퍼샌드원 )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summary . . . how they act after an argument.
genre headcanons , fluff , angst , comfort , ampers&one x reader   cw fighting (obv) but nothing described too in detail , not proofread   wc 725   request yes   note they slayed their comeback so hard i decided they needed another fic   net @andearnet @kstrucknet @daydreamnet
KAMDEN ミ 캠든
kamden will definitely still be simmering after an argument with you
he really doesn’t mean to get so worked up, but he does, and so easily too
he’ll need some time to let off some steam, especially if you’re still annoyed with him too
if the argument was bad enough to make you cry, though, he stops being mad immediately 
there’s a clear line in his head, and fighting to the point of your tears is far past it
even if he still is a bit annoyed, he’ll talk to you with a soft voice and hold you in his arms to make sure you know he isn’t angry anymore
JIHO ミ 지호
first of all, arguments would be very rare with jiho
and more playful than serious
i don’t think either of you would ever get too upset over something, since he is so easygoing and would always address any issues before they escalate into a fight
however on the rare occasion your bickering turned a little more serious, he would feel so bad after :(
especially if he said anything mean to you he will be so disappointed in himself for even letting the words out of his mouth
he’ll be apologising profusely even after you’ve long since made up
BRIAN ミ 브라이언
brian tries to avoid arguments by not engaging, especially once he starts to get annoyed
the only time he’ll bite back with his words is if you’re being really pushy with the fighting
and in that case, he can say some pretty mean things, but he will quickly calm down
really tries to make things better by making you smile as quickly as possible because whether you had been scowling or frowning, he hates both expressions on you
fighting is still all in all a rare occurrence, but brian definitely knows how to deescalate and calm the situation for both of you when needed
SIYUN ミ 시윤
i think he’s very level-headed and wouldn’t be one to actually fight that much
he tries to talk things through in a calm way as much as possible
he firmly believes that shouting and name-calling won’t help any situation
arguments definitely still happen, and the usual disagreements are unavoidable, but siyun is usually pretty reasonable 
when he’s tired, he doesn’t have the energy to talk about an issue before an argument comes up, so fighting can be common during those times
but in those instances he’ll ask if you can argue later instead of when he’s tired
KYRELL ミ 카이렐
arguments with kyrell usually start from something stupid and they escalate out of control to something a bit more serious
which usually makes it easy to take a step back and realize where you both went wrong
kyrell looks at logically and dissects the situation, making sure you’re both on the same page and feeling good about how things were resolved before moving on 
probably would get a little extra clingy after resolving a fight, because he doesn’t like staying distant 
plus hugs usually help make you both feel better anyway <3
MACKIAH ミ 마카야
mackiah will have to take a big step back after an argument before he’s ready to talk about it again 
especially if it was heavy
he wants time to sort out his thoughts and not make the situation worse with a short temper 
he’ll always find his way back to you when he’s ready to see if you want to talk or need cuddles or kisses which he is always happy to give you
is able to say sorry quite easily, and he always means it, so it’s rare that you stay mad at him (even if he was in the wrong)
sometimes it just takes a bit of extra time for everything to return back to normal after a fight
SEUNGMO ミ 승모
seungmo is stubborn and not one to let up too easy
so fights with him could come up quite often 
but they’re not very heavy arguments, and you both don’t hold any hard feelings
in fact, you probably joke about them after the fact and create little inside jokes together about how you both reacted
he has to sometimes stop himself before he makes situations worse without meaning to
but you both try your best to keep everything in your relationship lighthearted 
there’s nothing that washes your anger away faster than seungmo’s laughter, after all
ampers&one taglist (bolded could not be tagged): @eternalgyu,, @loserlvrss,, @xikskrrrs,, @cupidslovearrows,, @tmrwsuns
71 notes · View notes
fybriankang · 2 years ago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day6_kisstheradio: 🌙 230907 키스더라디오 데뷔 8주년을 맞은 인간 톰 브라땡 아니 강 브라이언, 우리 영디✨ 컬러만 다른 체크셔츠만 수백장이면 뭐 어떻습니까.. 이렇게 얼굴에서 멋이라는게 폭발하는데❤️‍🔥 지난 8년 동안, 그리고 오늘도 영디 덕분에 저희는 행복했어요! 잘자라 내 사람아 굿나잇🎶 #데이식스의키스더라디오 #데키라 #영디 #영케이
2 notes · View notes
seokluvs · 3 months ago
Text
masterlis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smut - 𖤓 suggestive - ☾
na kamden ⋆ 캠든
keep you company 𖤓 - where kamden and brian help their overworked best friend with her sexual frustration.
brian ho ⋆ 브라이언
keep you company 𖤓 - where kamden and brian help their overworked best friend with her sexual frustration.
choi jiho ⋆ 지호
up all night 𖤓 - trying to keep his restless girlfriend company over the phone, jiho has a fun way to spend the night.
yun siyun ⋆ 시윤
coming soon…!
choi kyrell ⋆ 카이렐
coming soon…!
mackiah mercer ⋆ 마카야
coming soon…!
kim seungmo ⋆ 승모
coming soon…!
misc
attention - hwang seongbin 𖤓 - dragging your boyfriend away from his stupid video games was a bit more difficult than you’d like to admit.
Tumblr media
4 notes · View notes
mymars2025 · 2 days ago
Text
정동(Affect)이란?
이번 달 미학 스터디에서는 음악사회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헤즈먼드챌시(David Hesmondhalgh)의 저서 『음악은 왜 중요할까?(Why Music Matters)』를 읽고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눴다.
그동안 미학 스터디에서 다뤄온 미학 이론들은 막연하고 어렵게만 느껴졌는데, 이��� 책을 통해 '정동(Affect)'이라는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게 되었다.
Tumblr media
'정동'은 서양 철학의 'affect' 개념을 번역한 용어로, 라틴어 'afficere(영향을 주다, 작용하다)'에서 유래했다. 현대 철학에서는 특히 '언어화되기 전의 감각적 반응'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정동은 단순한 감정이나 기분이 아니라 신체와 정신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상태이며, 개인의 내면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 문화적 맥락 안에서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감정(feeling), 정서(emotion), 기분(mood) 보다 더 원초적인 잠재적 경험으로 보기도 한다.
스피노자는 『에티카』에서 정동을 "신체의 행동 능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신체의 변용"으로 정의했다.
그에게 정동은 단순한 주관적 감정이 아니라 존재의 역량(potentia)과 직결된 문제였다.
"정동은 존재의 힘의 변화다"라는 그의 명제는 현대 정동 이론(Affect Theory)의 출발점이 됐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천 개의 고원』에서 스피노자의 정동 개념을 발전시켜 "신체가 다른 신체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능력"으로 재해석했다.
이들에게 정동은 언어나 의미 체계로 환원될 수 없는, 신체들 간의 직접적 관계를 가리킨다.
브라이언 마수미는 감정(emotion)과 정동을 구분한다.
감정은 개인적이고 문화적으로 코드화된 경험인 반면, 정동은 그 이전의 전개인적(pre-individual) 단계에서 발생하는 강도(intensity)의 경험이다.
감정은 “나는 슬프다”처럼 명명될 수 있지만, 정동은 명명되기 이전의 진동, 떨림, 흐름으로 존재한다.
신경과학자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연구도 이를 뒷받침한다.
그는 정동이 의식적 인식 이전에 신체에서 먼저 발생하는 ���리적 변화라고 말한다.
Tumblr media
"예술 작품은 감각의 존재이다. 감각, 지각, 정동은 그 자체로서의 존재이며,
그것들은 경험된 어떤 것을 넘어서서 유효하다.
예술 작품은 감각의 존재이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것은 그 자체로 존재한다."
- 『철학이란 무엇인가?』,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지음
음악은 가사나 메시지를 해석하기 이전에, 리듬과 음향, 진동을 통해 몸에 먼저 반응을 일으킨다.
전통적인 음악학이 화성 구조나 형식적 분석에 집중했다면, 정동 이론은 음악이 신체에 불러일으키는 물질적 효과, 즉 소름이 돋는 순간, 전율, 떨림, 흥분 같은 생리적 반응에 주목한다.
이는 스테레오와 앰프 같은 현대 음향 기술의 발전과도 긴밀히 연결된다.
1960년대 록 음악을 예로 들면, 그 시대의 청년들이 록 음악에 열광했던 이유는 가사나 이념 때문이 아니라 전례 없는 강도의 음향적 충격과 정동적 에너지 때문이었다.
일렉트릭 기타의 리프, 드럼과 베이스의 박동은 단순한 음악적 요소가 아니라, 신체에 직접 작용하는 정동의 힘이었다.
음악은 메시지를 해석하기 전에, 몸이 먼저 반응하는 감각의 사건이다.
헤즈먼드챌시는 『음악은 왜 중요할까?』에서 이러한 음악의 본질을 정동적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며, 특히 ‘정동적 전환(affective turn)’에 주목한다.
정동적 전환은 1990년대 이후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일어난 패러다임의 변화로, 언어와 담론 중심의 분석에서 벗어나 신체적 경험과 물질성을 중시하는 흐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환은 음악 연구에서 특히 중요한데, 음악이 바로 언어 이전의 신체적 경험을 가장 직접적으로 구현하는 예술 형식이기 때문이다.
헤즈먼드챌시는 이 정동적 전환을 통해, 음악이 단지 문화적 텍스트나 사회적 코드의 전달체가 아니라, 신체와 감각, 생물학적 리듬에 직접 작용하는 물질적 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음악은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느껴지는 것이다.
Tumblr media
정동 이론은 단순한 학문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예술과 문화를 경험하는 방식과 감각의 차원을 근본적으로 다시 묻게 만든다.
음악을 의미의 전달체가 아닌 정동의 생산자로 이해하는 순간, 감상과 비평의 언어도 달라진다.
정동 이론은 우리에게 음악의 본질에 대하여, 그리고 AI 시대에 인간이 직접 행하는 음악과 예술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해 준다.
좋은 음악은 왜 좋은가?
생각보다 먼저, 몸이 그 ‘좋음’에 반응한다.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우리는 본능적으로 그것을 안다.
음악은 언어와 이성의 영역을 넘어, 우리의 몸과 영혼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 인간을 인간 이상이게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예술이다.
그래서 우리에게 앞으로 예술은, 여전히 혹은 더욱더 중요해질 이유일 것이다.
Tumblr media
0 notes
you-just-said-that · 8 months ago
Text
Tumblr media
매력 개쩔어. 이 드라마가 진짜 어른들의 세계다! '섹스 앤 더 시티(Sex and the City)'는 에피소드 하나도 제대로 안 봤지만 그 드라마랑 비교되더라. 잘 나가는 커리어우먼 넷이 정기적으로 만나 브런치를 먹으며 연애 얘기를 한다는 내용은, 음. '그게 어른들 이야기의 전부일까?' 싶은. 근데 '퀴어 애즈 포크(Queer As Folk)'는 진짜 현실이다.
여기서 여러 의미로 인생 망하지 않은 캐릭터가 없고. 사랑에 실패하고, 사경을 헤매고, 헤어지고, 다시 붙잡고, 마약 해서 나락으로 떨어지기도 하고, 갱생하고, 부모님한테 외면 당하고, 사람들한테 무시당하고, 신문 기사에 나고, 배신 당하고, 화해하고, 실망하고, 뭐 그렇습니다. 보는 재미 쏠쏠하다. 설정이 그렇다 보니 시도 때도 없이 '청소년 관람 불가'다운(?) 장면이 막 나와서 미성년자에겐 당연히 추천을 못하겠는데 성인이라면 꽤 낄낄거리며 볼 만하다. 게다가 어른들 입장에선 그 드라마에 나오는 짠한 일상들이 남 이야기가 아니라고.
'브라이언 키니'는 진짜 개쓰레기로 나오는데. 본인도 자기가 개쓰레기란 걸 알아서 훈수 둘 수 없는 캐릭터. 어쨌든 내 올타임 인생 미드.
4 notes · View notes
enterweek · 14 days ago
Text
우원식 의장, 브라이언 스타일 미 하원 운영위원장 접견
우원식 국회의장은 17일 오후 의장집무실에서 브라이언 스타일 미 하원 운영위원장과 조 모렐리 하원 운영위원회 간사를 만나 한미 양국 간 협력강화, 의회교류 활성화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제119대 미 의회 출범 이후로도 한국과의 교류가 더 활발해지고 있는 것을 환영한다”며 “이는 양국 간 정파를 초월한, 한미동맹에 대한 굳건한 지지로 인해 가능한 일”이라고 평가했다.우 의장은 이어 “최근 우리 국회는 2년간의 준비를 통해 한미의원연맹을 만들고, ‘한미동맹 지지 결의문’을 채택하는 등 의회외교를 강화하고 있다”며 “한미동맹은 경제동맹으로서도 매우 중요한데, 미국의 관세정책, IRA법, 반도체법 등에 대한 문제들을 잘 풀어 이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우려가 잘 해소되길 바란다”고…
0 notes
kimhappy · 1 month ago
Text
새로운 영웅들 New Heroes
프랑코 "비포" 베라르디
Tumblr media
10년 전, 나는 <Heroes>라는 책을 썼고, 이 책은 2015년에 Verso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었다. 그 책에서 내가 ‘영웅’이라 부른 인물들은, 오늘날 ‘대량 살인범’이라 불리는 사람들—특히 젊은이들이었다. 그들은 슈퍼마켓, 콘서트 홀, 교회, 학교 같은 장소에서 무작위로 사람들을 향해 총을 쏜다. 
나는 제임스 홈즈가 콜로라도 오로라의 한 영화관에서 저지른 범죄에 충격을 받은 상태에서 이 책을 썼다. 그는 다크 나이트 라이즈가 상영되던 중, 배트맨 복장을 한 채 자동소총 두 자루를 꺼내 관객 열두 명을 살해했다. 처음엔 많은 사람들이 그 소란을 영화의 연출 일부로 착각했다. 책 속에서 나는 조승희, 페카-에릭 아우비넨 같은 인물들—즉, 무고한 이들을 살해한 것으로 ‘유명해진’ 소년들의 개인적인 이야기와 상상들을 정리했다. 하지만 그 사이 상황은 바뀌었다. 그때만 해도 대량 살인은 예외적인 사건이었다. 지금은 그런 행위가 널리 퍼졌고, 총기 난사는 삶의 흔한 일부가 되었다.
나는 그 책에서 조승희, 페카-에릭 아우비넨, 그리고 무고한 행인 사람들을 죽인 것으로 유명해진 소년들의 사생활(그리고 그들의 상상들)을 정리했다. 
그동안 세상은 많이 변화했다. 당시 대량 살인 (Mass Murder)은 예외적인 사건이었다. 지금 그러한 종류의 살인은 확산되었으며 총기 난사는 흔한 일상이 되었다. 
어떤 사건은 충격이 너무 커서, 정치인과 평론가들이 2-3일 정도는 머리에 재를 뿌리며 반성하는 척하고, 새로운 규칙과 엄격한 법안을 만들겠다고 호들갑을 떤다. 하지만 이는 악어의 눈물일 뿐이다. 무기의 확산은 계속되고 있다. 
내가 총기 살인자들에 대해 흥미를 느꼈던 지점은 그들이 풍기는 예언자적 분위기였다. 그들은 다가올 변이의 예감이자 전조였고, 마치 천사들처럼 현실과 정보 환경 사이의 이중적 영역, 즉 서구 집단 정신의 대기권 경계에서 징후를 드러내고 있었다. 
폴 오스터는 그의 마지막 저서 <피범벅 국가 Bloodbath Nation>에서 ‘죽음을 향한 뿌리 깊은 성향’이야말로 미국식 삶의 본질이라고 말하며, 그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무기 숭배’를 지목한다. 나는 그의 분석과, 미국 사회에 치명적 무기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는 점에 대한 비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나 내가 총기 난사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조금 다르다. 내 관심은 무기가 아니라 ‘정신’에 있다. 
나는 총기 난사범이란, 지난 수십 년간 신자유주의가 조장한 공격적 가치들과,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심리-신경계를 재구성한 결과로 생겨난 심리적 돌연변이의 가장 극단적인 예라고 생각한다. 
디지털 언어 체계에 의해 포맷된 세대는 지금, 지각, 개념화, 실행의 관계 자체가 변이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 이 세대는 어머니의 목소리보다 기계로부터 더 많은 말을 배웠고, 기존의 개념 도구로는 설명할 수 없는 정신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 정보 환경(infosphere)의 (무한한) 가속과 그에 따른 주의력 포화는, 사유의 과정과 행동 사이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뒤틀고 변화시켜버렸다.
즉시성과 가상화로 인해, 사고와 실행 사이의 관계는 너무나도 깊게 변형되었고, 그 결과 지난 30년간 성장한 세대의 행동은 심리학이나 정신분석 치료로는 점점 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되어가고 있다.
최근 옥스퍼드 영어사전은 2024년의 단어로 “brain rot(썩은 뇌)”을 선정했다. 2위는 ‘Romantasy’였는데, 이는 다정함과 애정이 현실에선 사라졌고 이제는 오직 판타지 속에만 존재한다는 인식을 담은 문학 장르다. 3위는 ‘demure’로, 이는 ‘수줍은’, ‘조용한’, 어쩌면 ‘고립된’을 뜻하는 말이다.
이 세 단어는 허구 혹은 공포 속에서 삶을 배운 세대의 정신병리학적 상태를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어휘들이다. 하지만 나는 이 새로운 행동 양식을 병리학으로 읽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이것은 ‘변이(mutation)’다. 요즘 정신과 의사들은 점점 더 많은 아이들에게 ADHD 진단을 내리고 있다. 주의력 결핍이 아이들의 정신을 혼란스럽게 하고 교육 과정을 방해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나는 이 진단이 헛소리라고 생각한다. 연결된 뇌가 처한 상황을 병리화하는 것은 완전히 쓸모없고, 오히려 오해를 낳는다.
정신과 의사들과 교육자들이 병리학이라고 부르는 행동은 사실 누군가의 정신 리듬을 정보 환경의 리듬에 맞추기 위한 단순하고도 당연한, 그리고 절망적인 시도일 뿐이다.  
상상해보자. 당신은 한 편의 영화가 상영되고 있는 스크린 앞에 앉아 있다. 영사 기사는 프레임의 속도를 높이기 시작한다—만 배, 10만 배로. 당신은 더 이상 스크린 속의 색의 흐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 상황에서 당신은 멍청해지고 있는 걸까, 아니면 영사 기사가 당신에게 잔인한 장난을 치고 있는 걸까?
치매는 병리학적 현상이 아니라 시스템적 현상이다. 신경 자극의 가속화가 공황과 우울의 효과를 내기 시작하면서, 치매는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은 점차적으로 순차적 사고, 비판적 사고, 합리적 사고-심지어는 최소한의 이성적 사고마저도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 
그렇기에, 치매는 내가 치료할 수 없다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이론적으로, 분석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가장 집중해야 할 주제가 되어야 한다. 정보 환경의 리듬은 어떤 방식으로도 늦춰질 수 없다. 인간의 뇌는 이미 그 리듬에 의존하고 있고, 신경 자극의 강도를 낮추는 것 조차 견딜 수 없기 때문이다. 어쨌든, 이미 너무 늦었다. 치매는 이미 자기만의 세계를 만들어냈다. 
어떤 측면에서, 노년 세대의 탈진과 쇠퇴를 두려워하는 노인성 치매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지난 수십 년간 전지구적으로 몰아친 거대한 개판(shitstorm)에 사정없이 노출된 세대의 치매가 있다.
히틀러의 나치즘의 부활로 보이는 어떤 징후들은, 실은 미친 듯하지만 완벽하게 논리적이고 초효율적인 공격성이 드러난 것일 뿐이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은 2023년, “brain rot (썩은 뇌)”라는 단어의 사용률이 230퍼센트 증가함에 따라, 이를 2024년의 단어로 선정했다. 이러한 표현은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동시대 인구의 자기 인식을 드러낸다. . 
인지적, 감정적 사고를 위한 '숙성의 시간'이 붕괴된다는 것은 곧, 윤리적 이해, 공감, 그리고 비판적 합리성의 붕괴를 의미한다.
ABUNDNT LIFE에서 사만다는….
나는 오래전부터 인지적 돌연변이가 만들어낸 치매적 효과에 관심을 가져왔기 때문에, 최근 두 사건이 내 주의를 끈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첫 번째는 루이지 만지오네라는 젊은이가 UnitedHealthcare의 CEO 브라이언 톰슨을 뉴욕의 한 가운데에서 총으로 쏜 사건이다. 
두 번째는 위스콘신 매디슨에 위치한 어번던트 라이프 기독교 학교에서 벌어진 총격 사건이다.
“사만다”라는 이름을 사용했던 열다섯 살 소녀 나탈리 루프노우는 교사 한 명과 학생 한 명을 살해하고 여섯 명을 다치게 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무작위로 총을 쏘고 자살로 끝을 맺는 사만다의 행동은 내가 책에서 본 현상과 유사하기 때문에, 먼저 이 사건과 이 사건이 암시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한다. 
학교 총기 난사 사건은 2008년 18건에서 2023년 82건까지, 꾸준히 증가해왔다. 2024년 미국에서는 적어도 83건의 학교 총기 난사 사건이 있었다. 
2014년에 내가 책을 쓰고 있을 당시, 이런 종류의 살인을 저지를 수 있는 아이들은 인종이나 계급에 상관없이 다양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백인이든 흑인이든, 부유하든 가난하든. 하지만 한 가지는 확실했다. 전부 남자 아이들이었다. 나는 불안이라는 에너지가 공격적인 외향성으로 표출될 때, 그것이 남성성과 연결된다고 보았다.
사만다는 내 해석을 무너뜨렸다. 25년간 남자들만 해왔던 일을, 처음으로 여자가 해냈다.
사만다의 온라인 생활을 면밀히 조사한 수사관들은 그녀가 트랜스젠더 여성이라는 루머를 묵살했다. 
우리는 그녀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다. 나는 페이스북에서 그녀가 검은색 티셔츠를 입고 있는 사진을 본 적이 있다. 그 티셔츠에는 콜럼바인 고등학교에서 13명을 살해한 범인 중 한 명이 좋아했던 독일 밴드의 로고가 그려져 있었다.
그녀는 페카-에릭 아우비넨 (Pekka-Eric Auvinen)의 팬이었다. 페카-에릭 아우비넨은 2007년 11월 7일 헬싱키에서 북쪽으로 60킬로미터 떨어진 핀란드 투술라에 위치한 요켈라 학교에서 7명을 살해한 18세의 핀란드 청년이었다. 그는 “인류애는 과대평가되었다(Humanity is Overrated)”라는 문장이 적힌 티셔츠를 입은 사진을 온라인에 올린 후 범행을 저질렀다. 
대통령 조 바이든은 어번던트 라이프 총기 난사 사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뉴타운에서 우발데까지, 파크랜드에서 매디슨까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많은 다른 총기 난사 사건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이런 총기 폭력의 재앙에서 아이들을 보호할 수 없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일상으로 받아들일 순 없습니다. 모든 아이들은 교실에서 안전할 권리가 있습니다. 우리 학생들은 어떻게 숨기고 숨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읽고 쓰는지를 배워야 합니다. 
팔레스타인 아이들이 매일 죽어가는 제노사이드를 방관하며 지켜보는 바이든의 말은 공허하게 울린다. 바이든이 보호하고 싶다고 선언한 (미국인) 아이들에 대해 말하자면, 나는 지역 TV 방송국에서 어번던트 라이프 대학살에서 잔인한 장면 한 가운데 있었던 10살의 여자 아이와 한 인터뷰를 보았다. 그 소녀는 옆 교실에서 뭔가 위험한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경찰에 신고했다. 트라우마가 되었냐고? 그 정도는 아니었다. 그 10살 소녀는 감정 기복 없이 상황을 묘사했고, ‘도와주세요’라고 외치는 교사의 목소리가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그 어린 여자 아이는 이미 새로운 현실을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몰살의 시대의 새로운 일상(new normal)의 일부다. 
복수하는 자 
몰살의 시대는 다면화되었다. 
이 몰살의 시대는 두 개의 얼굴을 갖고 있다. 하나는, 자발적으로 '자살하는 학살자(suicidal exterminators)'로 변모해가는 소수의 집단이다. 다른 하나는, 자신이 겪은 고통을 어떤 개인이나 사회 집단, 인종 집단을 제거함으로써 치유하려는 복수자들의 얼굴이다. 루이지 만지오네는 바로 이 복수자들의 군단에 속한다. 이런 이들은 대부분, 단지 '살인을 저지른 자들'에게 투표하는 데 그치지만, 드물고 극단적인 경우, 실제 무기를 들고 행동에 나선다.
그렇다. 내 심장도 신자유주의의 잔혹함을 견딜 수 없어 하는 수많은 이들의 심장처럼 그를 향해 뛴다. 나 역시, 루이지 만지오네가 체포되지 않기를 바랐다. 루이지 만지오네보다도 훨씬 가난한 맥도날드의 점원이 경찰을 부르고 경찰이 루이지를 체포하기 전까지 루이지가 구속되지 않기를 바랐다. 그의 행동은 소셜 미디어로 퍼졌고 많은 이들이 그가 착취하는 자들을 향해 품었던 증오에 자신을 겹쳐보았다. 
그의 행동을 세계에서 가장 비참한 나라에서 불행과 질병을 팔아치우는 악당을 제거한 사건이라고 하자. 그렇다고 해서, 이걸 계급 투쟁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말도 안되는 소리다. 
계급투쟁은 근대의 고딕적 시기에는 분명히 진지한 것이었다. 그것은 착취당하는 이들이 스스로를 착취자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벌인 자각적이고 조직적인 투쟁이었다. 하지만 지금, 장대한 과잉 폭력이 지배하는 바로크 시대에 ‘계급 투쟁’이라는 단어는 더 이상 이해조차 되지 않는다.
우정과 복잡성, 노예 해방이라는 집단 프로젝트도 없이, 증오는 계급 투쟁이 아니다. 이것은 ‘자유 나치즘 (liberal Nazism)’이라는 격렬한 시대에 태어나버린 운명에 대한, 혼돈의 복수다. 
착취, 양심, 연대, 공동의 기획—이 모든 것은 이제 동시대 복수자들의 언어에서 사라져버렸다. 고통, 굴욕, 분노는 철저히 개인적인 감정이며, 수백만 명이 그 감정을 공유한다고 해도, 결국 그들은 각자 흩어진 채로 ‘복수자 대통령(Avenger in Chief)’에게 투표할 뿐이다.
복수에 대한 욕망은 우리의 스크린과 전자 신호로만 연결된 고립된 관계 속에서 점점 커지고 있다. 
만지오네는 성경과 포켓몬, 앤 랜드, 피터 틸, 일론 머스크를 한데 뒤섞는다. 그럼에도 그는 어떤 본질적인 것을 이해하고 있다. 허리를 다친 사람이라면, 고통이 견딜 수 없다고 말하기보다는 '이 통증 때문에 일을 할 수 없다'고 의사에게 말하라고 조언한 대목에서 그걸 알 수 있다.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고 있고, 내가 보기엔 ‘일을 못하게 만든다’는 말에 의료 시스템이 훨씬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참을 수 없는 고통에 대한 묘사보다 훨씬 더.
만지오네는 기존의 전형적인 대량 총기 살해범에서 벗어난다. 그는 신중하게 그의 타겟을 정했고, 비교적으로 명백한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제스처는 복수를 향한 욕망을 상징하는 대통령이 선출되는 나라, 그 나라의 시대적 배경 위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복수의 욕망은 하나가 아닌 셀 수 없는 동기를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 복수는 단 하나가 아닌 수많은 타겟을 향한다. 우리는 ‘트럼피즘(Trumpism)’을 모든 이가 모든 이를 향해 복수하는 일종의 무차별 복수극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트럼프가 시행하고자 약속한 정치 프로젝트는 복수의 성격을 띠고 있다. 그리고 그 복수는 단 하나가 아닌 수많은 타겟을 향하고 있다. 첫 번째 대상은 그의 ‘업적’을 방해하려고 했던 민주당원들이었고, 무엇보다도, 인종주의적 아메리칸 드림의 ‘순수함’을 위험에 빠트렸던 사람들의 위협에 대한 복수다. 트럼프와 그의 지지자들은 미국이라는 조국을 불법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이들, 즉 천백만 명의 미등록 체류자들에 대한 복수도 약속했다. 그들 중 대다수는 노동자들이고, 많은 이들은 어렵고 위험한 일들을 하고 있음에도 제대로 된 대가조차 받지 못한다. 그들은 매일 “선량한 백인 시민들”과 함께 섞여 살아간다. 이 일이 어떻게 끝나게 될까? 
약속된 “역대급 추방”은 행정적인 조치나 질서 있는 경찰 작전 따위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합법적인 절차만으로 불법 체류 인구를 제거하거나 심각하게 줄이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 
이제 일어날 일은, 수백만 명의 노동자들이 몸을 숨기게 만들고 비난과 공포를 확산시킬 자기 충족전 예언의 실현이다. 그 결과, 많은 이주민들은 스스로 떠나려고 할 것이다. 또 많은 이들이 어느 쪽이든 ‘정의’를 스스로 실현하려 들 것이다. 
쿠 클룩스 클란(Ku Klux Klan, KKK)이 돌아왔다. 하지만 이제 이번에는 그것이 인류의 역사상 가장 강력한 ‘기관’이다. 
두 명의 미국 군인
내가 이 글을 마무리하고 있는 2025년 초, 미국 군대 출신의 한 참전용사가 뉴올리언스의 관광 중심지에서 차량으로 14명을 살해한 뒤, 경찰에 의해 사살되었다. 그는 IS 깃발을 들고 있었고, 이름(샴수딘 바하르 자바르)은 아랍계처럼 들리지만, 그는 미국 태생이었다. 또 다른 미국 군인, 매튜 라이벨스버거—37세의, 훈장을 여러 차례 받은 그린 베레 특수부대 요원—는 라스베이거스의 트럼프 인터내셔널 호텔 앞에서 렌트한 테슬라 사이버트럭을 폭파시켰다. 그는 그 차량 안에 함께 있었다. 샴수딘 바하르 자바르와 매튜 라이벨스버거 둘 다 군 복무 이력이 있었으며,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한 공통점도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라이벨스버거는 트럼프 지지자였다.
그렇다면, 이런 사건들에서 우리는 어떤 일관된 의미를 이끌어낼 수 있을까?
나는 이 새로운 ‘영웅들’에 대해 많은 것을 알지는 못한다. 그러나 그들의 행동은 공포와 치매, 그리고 무엇보다 혼돈의 시대, 즉 트럼프의 시대를 여는 완벽한 서곡이다. 이 새로운 두 ‘영웅’은, 정신이상 상태였던 사만다나, 도널드 트럼프를 암살하려 했던 토마스 크룩스와도 아무런 관련이 없다. 복수자 만지오네와도 거리가 있다. 이들은 모두 서로 다른 종류의 고통, 광기, 무력한 분노,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적 망상들의 조합일 뿐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행위는 앞으로 수개월, 수년 동안 점점 더 확산될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미국 사회가 무너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미국 사회는 원래부터 폭력, 공포, 그리고 치매 위에 세워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표면 아래에서는 무언가가 진동하고 있다. 무언가 새로운 것이 등장하고 있다. 나는 그것을 “모두가 모두를 향해 벌이는 혼돈의 전쟁(chaotic war of all against all)”이라 부른다. 혼돈과 광기의 전쟁은 그 동전의 한 면이다. 그리고 그 반대편에는 언어적 행동, 존재의 경로, 기대마저 자동화되는 세계가 있다.
혼돈과 자동 기계는, 폭력적인 공생 관계 안에서 함께 성장하고 있다.
프랑코 베라르디, 일명 “비포(Bifo)”는 볼로냐에서 유명한 라디오 알리체(Radio Alice)를 창립한 인물이자, 이탈리아 아우토노미아 운동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작가이자 미디어 이론가, 그리고 사회운동가다.
출처 : https://www.e-flux.com/notes/649956/new-heroes
0 notes
dailymaker · 1 month ago
Link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준공식 개최
0 notes